1. 개요
경상북도 동북쪽에 있는 군. 북쪽은 울진군, 서쪽은 영양군과 청송군, 남쪽은 포항시와 접한다. 동쪽으로 동해 바다가 펼쳐져 있다.
2. 역사
고구려의 야시홀군(也尸忽郡)이었고 신라가 차지한 후 경덕왕 때 명주 소속의 야성군(野城郡)으로 고쳤으며 휘하에 지금의 청송군인 적선현과 진안현을 야성군 휘하에 거느리고 있었다. 고려 시대부터 경상도에 속했으며 지금의 이름인 영덕군으로 고쳤다.
조선 시대 때만 해도 영덕은 현재의 영덕군의 남쪽 절반이었고, 북쪽은 영해(寧海)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서로 다른 지역이었다. 일제강점기 때인 1914년 영해군을 흡수하면서 현재의 군역을 갖추게 되었고, 지역의 중심이 영덕읍 쪽으로 옮겨가면서 상대적으로 북쪽 영해 지역의 발전이 더디게 되었다. 그래도 여전히 영해면이 영덕군 북부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3. 인구
(1966년~현재)
1966년 119,191명
1970년 112,373명
1975년 108,941명
1979년 5월 1일 영일군 죽장면 하옥동 일부 → 영덕군 달산면 편입 및 옥계동 신설
1980년 91,206명
1985년 77,590명
1990년 65,415명
1995년 51,292명
2000년 44,172명
2005년 42,347명
2010년 41,377명
2015년 39,191명
2020년 36,313명
2025년 2월 32,9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4. 금융
영덕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제1금융권
국가기관
영덕우체국 (9)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제2금융권(상호금융)
농업협동조합
강구농협 (4)
영덕농협 (3)
북영덕농협 (7)
영덕울진축협 (2)
수산업협동조합
강구수협 (2)
영덕북부수협 (2)
새마을금고
영덕새마을금고 (3)
영해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강구신용협동조합 (1)
영덕신용협동조합 (2)
산림조합
영덕군산림조합 (1)
5. 관광
울진군과 같이 대게가 가장 유명하다. 주로 영덕군 앞바다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게껍질이 얇고 게살이 많은 것이 특징이어서 지역주민을 비롯해 외지에서도 영덕대게를 먹으러 원정방문을 하기도 한다. 철은 11월~5월 사이이고,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가 가장 맛있다. 이 시기를 맞춰 3월 초에 영덕에서는 대게축제를 개최한다. 그대 그리고 나를 촬영 후 두 배로 커진 강구항이 가장 유명하고, 대게축제도 이곳을 중심으로 개최한다. 대게집도 이쪽에 가장 많이 몰려있다. 강구항을 시작으로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보이는 작은 포구에도 대게집이 종종 있는 편이고, 북쪽의 축산항도 작지만 유명한 편이다. 1998년부터 현재까지 영덕군청 주최로 영덕대게축제가 열려지기도 한다. 그래서 대게축제시기에 강구항 쪽 교통에는 헬게이트가 열린다.
그런데 대게 생산지로 알려진 주변지역인 울진군과는 대게 문제로 사이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산 대게의 원조가 영덕이냐, 울진이냐를 놓고 두 지역간의 갈등이 빚어지기도 하였으며 지금도 두 지역 사이에서는 대게를 놓고 한 판 경쟁을 벌이는 수준.
대게 이외에도 오징어, 가자미, 과메기, 돔배기, 문어, 고등어 등의 해산물도 많이 팔며, 제사상에도 올린다.
영덕에는 해수욕장이 많은데, 그 중에서 고래불, 장사, 대진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장사해수욕장은 6.25 전쟁 당시 장사 상륙 작전 전적지로도 유명하며 해변에 기념관과 기념공원이 있다. 5분 거리에 부경온천이라는 온천도 있다.
병곡면의 6개 해안 마을을 배경으로 장장 20리에 달해 펼쳐져 있는 해수욕장이다. 고려 말 목은 이색이 상대산에 올랐다가 고래가 뛰어노는 걸 보고 "고래불"이라 명명하였다고 전하며,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해수욕장 중 하나이기도 하다.
송이버섯도 나름 유명하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영덕 송이가 등록되어 있을 정도다.
트래킹 코스로 해안가를 따라가는 블루로드가 있고, 대게 집게가 등대를 감싸고 있는 모양새인 창포말등대와 그 주변의 해맞이공원과 산림생태문화공원, 신재생에너지전시관, 풍력발전단지가 있다. 영덕군과 포항시에 걸쳐있는 내연산과 그곳의 대표 사찰인 보경사가 유명하며 그리고 높이 628m로 별로 높지 않은 팔각산이 있다. 모가 난 8개의 바위 봉우리가 형성되어 있어 팔각산이라고 부른다. 휴양림으로는 칠보산 자연휴양림이 있다. 가격도 저렴하고 시설도 좋아서 인기가 좋다. 한 달 전에 예약하지 않으면 가기 힘들 정도다.
아울러 달산면에 옥계 계곡도 숨은 비경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인근 포항, 청송, 영양의 영향을 받아 불교세도 강해 보경사뿐만 아니라 유금사, 장육사 등의 사찰이 있다.
영해메타세콰이어숲
영해면 벌영리에는 메타세콰이어 길이 조성되어 있다. 놀라운 것은 이 곳은 원래 관광지로 조성된 것이 아니라, 어느 한 개인이 사유지를 국민들에게 개방한 곳이라고 한다. 군청 차원에서 관광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관련기사 나는 SOLO 18기 첫 방송 때 출연자들이 모인 장소이기도 하다.
5.1. 특산물
영덕대게 : 영덕이라고 하면 흔히 대게를 떠올릴 정도로 대명사처럼 자리잡은 명실상부 지역 대표 특산물. 영덕대게는 12월~5월까지 동해의 영덕, 울진, 포항의 구룡포, 삼척 등에서 수게만 잡아 현지 위주로 한정 판매한다.
고사리 : 청정영덕의 자연환경과 휴경지에 적합한 새소득작물로 육성한 영덕고사리는 향미와 식감이 우수하며, 특히 영덕고사리 영농법인을 중심으로 생고사리 수매와 균일한 가공 선별 시스템 완비로 최고 품질의 고사리 공급 및 소비자 선호도 증가.
복숭아 : 피서철 관광객에게 주로 판매하며, 해풍을 맞고 자란 영덕 복숭아 특유의 풍미로 관광객의 입맛을 매료시켜, 농가 소득은 물론, 7~8월 관광객의 최고의 과일 중 하나로 뽑힌다.
시금치 : 우수한 토질과 해풍 등의 영향으로 미네랄 등 풍부 및 식미가 우수하며, 재배 단지화로 균일한 품질의 시금치 생산으로 이마트 등 대형유통업체 위주로 납품되는 등 브랜드화 되어 있으며, 현재 "영해초"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불리기도 함.
6. 의료
영덕군 관내에는 58병상 종합병원인 영덕아산병원이 존재한다. 영덕군의 유일한 종합병원이자 응급의료시설이다.
영덕군의 인구 상황이 좋지 않음에도 소아청소년과가 있다. 그래도 관내에 15세 미만의 청소년이 2024년 기준 1500여명이 있어 유지가 가능하다. 만일 아이의 건강에 이상이 있으면 방문하도록 하자.
7. 출신 인물
강명비: 치어리더.
강웅원
경윤: 前 보이그룹 DKZ 멤버. 영덕고등학교 출신.
권신찬: 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파)의 창시자. 이전에는 대한예수교장로회의 목사였다. 병곡면 출신.
김광열: 영덕군수
김병로: 해양경찰청 차장
김병목: 전 영덕군수
김선영: 배우
김성호(1963)
김수광
김수현: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사회수석비서관, 참여정부 대한민국 환경부 차관 등 역임.
김영수(1907)
김영환(1935)
김우연
김원규: 정치인.
김은희(1961)
김인현: 선장,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해상법학자.
김종석: 現 기상청장
김준현(정치인)
김중한
김진규: FC 서울 소속 축구인
김찬우: 의사, 정치인
남영래
남웅종
남효채: 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한국지역진흥재단 이사장
다영(1997)
류중일: 前 LG 트윈스 감독, 前 삼성 라이온즈 감독, 前 야구선수. 강구면 출신.
문태준: 정치인. 의사.
박수환(1886)
박태하: 포항 스틸러스 감독
박형룡
손동표: 現 보이그룹 미래소년 멤버, 前 보이그룹 X1 멤버. 포항시 출생이지만 학창시절 대부분을 영덕에서 보냈다.
손준호: 수원 FC 소속 축구선수. 강구면 출신.
신돌석: 구한말에 활약한 의병장. 축산면 출신.
신미숙
신태용: 축구인, 現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영해면 출신.
오택열
이강석(1961)
이경자: 유튜버 공대생네 가족의 멤버. 영해면 출신.
이색: 고려 말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호는 목은(牧隱). 포은(圃隱) 정몽주, 야은(冶隱) 길재(또는 도은(陶隱) 이숭인)과 함께 고려 말 3은(三隱)이라 불렸다.
이수각(1872)
이수호
이용태(기업인): 삼보컴퓨터 창업주. 창수면 출신.
이완수: 前 감사원 사무총장, 검사
이진우: 前 정치인, 변호사
이현일: 조선 중기의 유학자이자 문신, 음식디미방의 저자 장계향의 아들.
이희진: 前 영덕군수
임춘대
장경식
정라곤
정수창: 前 두산그룹 기업인.
조주홍
진이한: 배우
최문기
최혜연
하이디: 가수. 영덕여고 출신.
한국원
황영기
황재철
D.공룡이
8. 사건 사고
2025년 3월 22일 발생한 2025년 의성-안동 산불로 대피명령이 내려졌다. 3월 27일 영덕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