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하반기 급격한 하락세를 기록하다 연말부터 다소 회복세를 보이면서 2월 마지막 주 현재 닭고기(정육, 1kg, 전국 도매가) 가격은 kg당 3,080원에 거래되고 있음. 특히 이번 주 20%에 가까운 상승율을 기록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
○ 연말 이후 가격 상승 원인
● 공급물량 급감
- 2005년 상반기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며 3분기∼4분기 초 가격 급락세를 이끌었던 닭고기 공급물량이 3분기부터 큰 폭의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닭고기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음.
- 농림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닭고기 공급물량은 2005년 2분기 8천만 두수를 초과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이후 급격한 감소세로 전환돼 4분기에는 5천만 두수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남.
● 수요 증가
-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조류독감이 국내에선 발병되지 않는 가운데 최근 건강을 중시하는 웰빙의 영향으로 백색육을 선호하는 추세가 두드러진데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금지 조치로 쇠고기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대체 수요가 닭고기로 몰리며 수요 증가세가 두드러졌음.
- 농림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5년 닭고기 1인당 소비량이 12년 만에 처음으로 쇠고기 1인당 소비량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남.
- 2005년 국내 1인당 육류 소비량은 전체 31.9kg으로 지난 2004년에 비해 0.6kg 증가. 특히 쇠고기와 돼지고기 소비량이 0.3kg, 0.5kg 줄어들었지만 닭고기 소비량은 2004년에 비해 무려 1.2kg(18.18%) 증가한 8.0kg을 기록하였음.
○ 향후 전망
닭고기 가격이 이처럼 수요 증가 및 공급물량 감소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공급 물량 증가로 인해 추가 상승세가 장기적으로 지속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됨.
- 지난해 종계 병아리 입식수수의 증가로 올해 육계 사육두수는 지난해보다 4.7% 증가한 6,733만수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것도 가격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 지난 해 가격 하락 영향으로 2005년 냉동 비축물량이 2004년에 비해 100% 넘게 증가한 상태임.
- 또한 국내 닭고기 시장의 7%를 조금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산 닭고기가 한•미 FTA 체결된다면 수입물량이 급증하면서 국내 닭고기 시장은 국내산 공급량은 물론 수입산까지 증가세를 보이며 공급 과잉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특히 아직 국내에선 조류독감이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조류독감이 확산되고 있어 국내에서도 조류독감이 발생한다면 지난 2003년 말∼2004년 초와 같이 소비가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가격 역시 급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최근 닭고기 가격의 강세는 단기간에 머무른 가운데 중•장기적으로는 공급물량 증대 여파로 하락세로 전환돼 올해 안에 kg당 2,000원 하향 돌파를 테스트할 것으로 예상됨. 만약 조류독감까지 발생한다면 올해 사상 최저 수준까지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