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無門關 제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
"기쁘도다. 우리 노스님이 말후구를 아셨다. "
하루는 덕산 선감 선사께서 바릿대를 들고 식당으로 나오시는데 설봉(雪峯)이 보고 "노스님 아직 종도 울리지 않았고 북 소리도 나지 않았는데 어디 가십니까?" 하였다. 덕산 선사께서는 이에 말없이 당신 방으로 되돌아 가셨다. 설봉이 암두(巖頭)에게 이 말을 하니 암두가 "대단하다는 덕산 노장님이 아직 말후구(末後句)를 모르셨네." 하였다. 덕산 선사 이 말을 듣고 시자를 시켜 암두를 불러놓고 "네가 나를 긍정하지 않는가?" 하시니 암두는 스님의 귀에 입을 대고 가만히 그 뜻을 말하였다. 덕산 선사께서 아무 말 없다가 다음 날 법상에 오르셨는데 과연 다른 때와 그 태도가 달랐다. 암두가 법문하시는 방 앞에 가서 손뼉을 치고 크게 웃으며 "기쁘도다. 우리 노스님이 말후구를 아셨다. 이로부터 천하의 어떤 사람이 올지라도 덕산 선사님을 어떻게 건드리지 못하리라."라고 했다.
德山 一日 托鉢下堂 見雪峯問 者老漢 鍾未鳴 鼓未 托鉢向甚處去 山 便回方丈 峯 擧似巖頭 頭云 大小德山 未會末後句 山 聞令侍者 喚巖頭來 問曰 汝不肯老僧那 巖頭密啓其意 山 乃休去 明日陞座 果與尋常不同 巖頭至堂前 掌大笑云 且喜得老漢會末後句 他後天下人 不奈伊何
말후구(末後句)에 대하여
말후구는 당나라의 선종을 배경으로 하는 덕산탁발화(德山托鉢話)라는 글에서 처음 등장한 단어이다. 암두밀계라고 표현되기도 하는데, 이를 두고 '가장 난해한 최상승의 향상구 공안'이라고 묘사하는 사람이 있으나, 공안(화두)의 재료는 아니다. 대부분의 화두와 선문답이 사고 관념을 '몸'으로 깨트리는 훈련이라면, 말후구는 공부를 마친 사람들이 현상계에 다시 적응하는 자신에 대한 해석이다. 그래서 말후구는 화두로 간주하지 않는 것이 바른 이해이다.
말후구는 한국어 사전에 없는 단어이며, 불교사전의 풀이는 "대오(大悟)의 철저한 극치에 이르러 지극한 말을 토하는 것으로, 구경(究竟)ㆍ필경(畢竟)ㆍ구극(究極)ㆍ지극(至極)의 뜻"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말후구는 특별한 상태나 비결에 대한 설명이 아니며 공부를 마치고 다시 '나'로써 살아가는데 발생하는 일체의 착오를 벗어나는 최후의 과정을 가장 적절하게 가리키고 있는 상징적인 표현일 뿐이다. 그러함에도 말후구의 내용을 관통하지 않으면 퇴전할 수도 있다.
먼저 한글로 해석된, 관련된 글 두 편을 소개한다. 스승인 덕산과 그의 제자인 암두와 설봉이 등장하는 이야기인데 조금 복잡하고 난해하다.
(1) [덕산탁발화]
하루는 공양시간을 알리는 종이 치지도 않았는데 덕산이 발우를 들고 조실채를 나섰다.
이때 밥 짓는 소임을 맡고 있던 설봉이 말했다.
“스님, 종도 치지 않고 북도 치지 않았는데 발우를 가지고 어디를 가십니까?”라고 하니,
덕산이 아무 말도 없이 조실채로 돌아갔다.
설봉이 이 사건을 암두에게 말하자, 암두가 말했다.
“덕산스님이 말후구를 모르는구나.”
덕산이 이 이야기를 전해 듣고는 시자로 하여금 암두를 불러오게 하고는 말하기를
“너는 스승인 나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냐?” 하였다.
암두가 덕산의 귀에 몰래 뭔가를 말하자 덕산은 다그치는 것을 바로 그만두었다.
다음날 덕산이 법좌에 오르자 과연 평소와는 모습이 달랐다.
암두가 법당 앞에 이르러 그 모습을 보고는 박수를 치고 크게 웃으면서 말했다.
“옳거니, 이 늙은이가 드디어 말후구를 알았구나. 후에 어떤 사람도 그를 어찌할 수 없을 것이다.
비록 그렇지만 3년뿐이로다.”
(2) [설봉이 머리를 숙이고 암자로 돌아가다]
설봉이 암자에 머무를 때에 두 스님이 찾아왔다.
설봉은 그들이 오는 것을 보고는 암자의 문을 손으로 밀면서 말했다.
“뭐야?”
그 스님들도 똑같이 말했다.
“뭐야?”
그러자 설봉은 머리를 숙이고 암자로 돌아갔다.
그 스님들이 나중에 암두에게 찾아가게 되었다.
암두가 물었다.
“어디에서 오는가?”
“영남(嶺南)에서 옵니다.”
“설봉을 찾아갔었는가?”
“갔었습니다.”
“설봉에게 무슨 말(가르침)을 들었는가?”
그 스님들이 설봉과 만났던 상황을 이야기하자,
암두가 말했다.
“그가 무슨 말을 하던가?”
“설봉은 아무 말이 없이 고개를 숙이고 암자로 돌아갔습니다.”
“아, 내가 당초에 그에게 말후구를 말해주지 않는 것이 후회스럽구나!”
“그에게 말해주었더라면, 천하 사람들이 설봉 늙은이를 어찌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 스님들이 암두의 밑에서 하안거(夏安居)를 마칠 무렵에 이르러 다시 앞의 이야기를 꺼내며 가르침을 청하였다.
“왜 진작 묻지 않았는가?”
“감히 쉽지가 않았습니다.”
“설봉이 비록 나와 함께 같은 가지에서 나왔어도 나와 함께 같은 가지에서 죽지는 않았다.”
“말후구를 알고자 한다면 다만 이것일 뿐이다.”
말후구가 언급된 최초의 이야기들이지만 여기에서 말후구의 뜻을 추측하기는 어렵다. 말후구의 힌트는 덕산이 남긴 다른 이야기에 담겨 있다. 덕산은 암두가 말한 대로 말후구를 이해한 후 3년 뒤에 입적하였는데, 임종에 가까워 병석에 누워있던 덕산에게 한 제자가 "병들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까?"하고 묻자, "암, 있지!"라고 대답했다. "그가 누구입니까?"하고 묻자, 대답을 안 하고 누워있다가 재차 다그치자 덕산은 몸살을 앓는 사람처럼 "끙!"하고 소리를 내었다.
덕산은 처음에는 경론을 강의하는 대강사였고 선종의 직지인심을 인정하지 않았다. 남방의 '불온한' 선종을 제압하겠다고 남쪽 지방으로 나섰다가 오히려 선종을 받아들여 용담선사의 제자로 머물러 대단한 선지식이 되었다. 그런 인과로, 그가 처음에 심신에 익혀 남아있던, '나'를 닦는 교종적인 수행의 흔적이 덕산탁발화의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암두는 위의 이야기에서 처럼 스승을 가르치겠다고 나설정도로 수행 관습에 일체의 타협을 하지 않는 기질을 보였으며 제자들도 아주 소수만 두었다.
설봉은 암두와 달리 1천5백 명의 대중과 함께 하였고 늘 가부좌 수행을 하는 신중한 생활을 한 것으로 묘사된다. 큰 제자를 내지 않은 암두와 달리 설봉은 남종선의 5가(五家) 중에 운문종과 법안종을 여는 제자들을 배출하였다.
암두가 설봉이나 다른 도반들이 있는 공개적인 자리에서 말후구를 설명하지 않고 덕산에게만 은밀히 보였던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덕산과 단 둘이 있는 방에서 덕산의 귀에 몰래 뭔가를 말하는 희안한 행위를 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므로 글의 묘사는 과장된 것이다. 두 번째 이야기에서 하안거를 마친 두 스님에게 진작 묻지 않았음을 다그치는 장면에서 알 수 있듯이, 말후구는 엄청난 비전(秘轉)이 아닌 것이다.
덕산탁발화를 읽으면 제자(암두)도 아는 말후구를 스승(덕산)이 어떻게 모를 수가 있으며, 또 그런 사람이 어떻게 대선지식이 될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덕산과 암두는 사제지간이지만 두 사람 모두 공부를 마친 상태이다. 그러나 두 사람은 공부 마친 뒤의 해석이 달랐다. 즉 말후구의 관통은 공부의 문제가 아니라, 공부를 마친 뒤의 해석의 문제라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대스승인 덕산이 젊은 제자 암두에게 배울 수 있다.
암두의 말후구 설명을 들은 다음날, 덕산이 보여준 달라짐은 그의 법문이 아니라 기세일 것이다. 암두가 덕산과 설봉을 '늙은이'라고 표현한 것은 폄하가 아니라 공부를 마친 이라는 뜻이다. 공부를 마쳤어도 사후 해석이 바르지 못하면 미진함이 남아있어 고개를 떨구게 되는 것이다.
덕산이 남긴 힌트를 보면 말후구의 핵심은 깨달음의 내용이 '나'의 속성이 아니라는 것이다. 깨달음의 이해는 '나'에게 일어나는 것이고, 그 내용인 무아(無我)는 '나'와 무관하여 서로 교섭하지 않지만 '나'와 무아가 같은 가지로 묶여있다. 대명사로 거칠게 표현하면 '그것은 그것이고, 이것은 이것'이다.
공부를 마친다는 것은 생로병사에 대한 일체의 질문이 끝나고 안도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이 설명은 은유나 비유가 아니므로 문장 그대로 이해하면 된다. 그러나 공부를 마쳐도 생로병사의 원인이 된 '나' 또는 '사고 기능'을 사용해서 그것들이 만들어낸 세상을 살아야 하므로, 공부를 마치기 전에 갖고 있던 정보, 기억, 관념, 습관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공부를 마쳤다고 그런 것이 인과도 없이 저절로 변형되는 일은 없다. 탐진치의 문제는 사라졌지만 탐진치는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공부를 마친 이는 사고 기능으로 얻는 인식이 실상계에 대한 부분적이고 왜곡된 나툼이라는 사실을 수행의 결과로 안다. 사고 기능의 바깥에는 미지이지만(시공간 감각을 바탕으로만 인식이 가능한 사고 기능의 한계를 넘어서지만) 분명하게 작용하는 것이 있음을 이해한다. 그것은 내가 안도감으로 해석하여 표현하는 느낌인데, 뇌파와 호르몬의 분비가 변화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안도감이라는 해석조차도 붙기 이전의 느낌이다. 이런 현상이란 어떤 기이하고 신비한 일이 벌어지는 것이 아니다. 잠을 자거나 깊은 명상에 이르렀을 때처럼 뇌의 파장이 변화되고 이에 반응하여 신체 호르몬이 바뀌는 것과 같은 것이다.
'나'가 일상의 모든 사건들에 대하여 습관화되고 세뇌된 대로 대응하여 인과가 충실히 반영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 모든 것이 관념적인 현상이라는 이해와 안도감에 둘러 쌓이는데, 그 근거가 바로 사고 기능의 바깥에 웅장하게 자리 잡고 있는 그 느낌이다. 이 상태를 현실적으로 묘사해보자면, 부당한 대우를 받아(원인) 화를 내고 있지만(결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뇌파가 안정적이고 기분을 평온하게 하는 호르몬이 분비가 되는 것이다. 이것이 연기와 무아이다.
이런 것은 사고 기능의 이해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뇌의 습관을 새로 만들어내는 수행의 결과물이지만, 사실은 전두엽에 과도하게 몰입된 인간을 제외한 모든 생명체의 일상적인 상태이다. 인간은 수행을 통해 그 원천의 상태를 회복하는 것일 뿐이다.
이것이 덕산이 병중에 제자가 병들지 않는 사람도 있느냐고 물었을 때 그렇다고 대답한 내용이다. 가상 현실계의 '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생로병사를 겪지만, 그것과 별개로 그 바탕의 실상은 흔들림 없는 안도에 붙들려 있다. 전두엽의 발달로 만들어진 동일시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동일시가 문제되지 않는 것이다. 병을 얻어 죽어가는 '나'가 명백하지만, '생각'이 없는 오로지 지금 여기에는 시공간이 없으므로 병과 죽음도 없어서 '나'의 죽음에 대하여 그러든지 말든지이다.
공부를 마친 사람이 죽을 때까지 의심을 놓지 않는 이유는 '사고 기능'을 사용하며 살기 때문이다. 사고 기능은 기억과 습관을 도구로 이용하므로 조금이라도 익숙해져서 기댈 틈이 보이면 고착된다. 뿐만 아니라 세상과 환경은 쉬지 않고 변하므로 세상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탁마를 멈춰서도 안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가 공부를 못 마쳐서가 결코 아니다. 또 이런 과정을 거쳐서 이해자량과 경험자량은 그 한계를 넓혀가며 끊임없이 깊어지는 것이다.
무문 선사 평창
만약 이것이 말후구라면 덕산과 암두 두 분 다 꿈에도 말후구 도리는 보지 못했다. 알고 보면 덕산, 설봉, 암두 모두가 한 누각의 꼭두각시니라.
無門曰 若是末後句 巖頭 德山 俱未夢見在 檢點將來 好似一棚傀儡
무문 선사 송
최초구(最初句)를 깨달아 얻으면
문득 말후구를 알리라
말후구니 최초구니 하면
어느 한 구도 모르는 자이니라
識得最初句
便會末後句
末後與最初
不是者一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