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정안공소
충남 공주시 정안면 아래양지말길 21
62. 풍세공소
풍서리는 1901년 공주본당 파스키에 신부의 사목담당 지역이었고
75명의 신자가 있었다.
1921년 풍세공소에 39명의 신자가 있었으며,
1939년 천안본당 설립으로 공소가 이관되었다.
공소예절은 교우집에서 열리다가
1989년 교우집 3층을 임대하여 공소미사와 공소예절을 했다.
현재의 공소건물은 1995년 대지를 매입하고,
1998년 9월 기공식에 이어 2000년 11월 17일
경 요셉 주교의 집전으로 축복되었다.
관할본당: 천안 구룡동 성당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풍서2길 103-9
63. 광덕공소 -천안
병인년(1866년) 소학골 순교자인 배문호(베드로)의 자녀들 일부가
광덕사 인근 계곡에 위치한 부원동에 이주하여
교우촌을 이루면서 신앙이 전파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250여 명의 신자가 있었다.
1968년경부터 대흥마을 교우집에서 공소예절을 하다가
광덕 지역에 산재한 공소를 통합하여
1974년에 면 소재지에 공소건물을 신축하고 공소를 이전하였다.
관할본당: 천안 구룡동 성당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신흥리4길 58 (신흥리 150-1)
64. 매곡공소-아산
1950년 중반대에 공동체가 형성됨.
관할본당: 모산 성당
충남 아산시 탕정면 매곡로 87-11
65. 갈산공소-아산
1884년 갈산리는 두세 신부의 사목 담당 공소였고
그당시 신자가 121명이였다.
1954년 온양성당 관할 공소였고,
가정집에서 공소예절을 가져오다가 1970년에 현 공소 건립
현재는 모산성당 관할 공소이며, 공소활동은 없다.
관할본당: 모산 성당
충남 아산시 탕정면 탕정면로 55
66. 소동공소
1800년대 말 경상도 출신 전 발라바가
천석꾼이었던 윤석복의 집에 머물며 신앙을 전파하였다.
1921년 공세리성당 크램프 신부가 소동리(바르미)에 공소를 설립하였다.
당시 신자수는 17명이었다.
윤석복(가밀로)이 초대 회장을 맡아 집에서 공소예절을 하였다.
1934년 윤 회장이 토지와 1천원을 희사하여 18평 규모의 목조 초가 공소를 건립하였다.
그 후 1967년, 1979년에 각각 공소를 재건축하였고,
현재의 공소건물은 2002년 신축되었으며 부속 건물들이 마련되었다.
관할본당: 성환성당
충남 아산시 음봉면 연암율금로295번길 119-12
67. 신휴리공소
신휴리에 전교가 시작된 것은
1920년 경 김대기(도민고) 형제가 영세를 받고서 비롯되었다.
1964년 교우 가정은 다섯 가족이 되었고,
1978년 둔포성당 소동공소에서 공소가 분리되어
6가구 14명으로 신휴리공소가 설립되었다.
그 후 10여 년간 초대 이종현(야고보)회장집에서 공소예절을 가졌다.
현재의 공소건물은 강학수 회장이 토지를 봉헌하고
교우들은 정성을 모아 증축공사를 마쳤다.
관할본당: 성환 성당
충남 아산시 음봉면 관용로 261번길 2-1
68. 상홍리공소
상홍리 공소는 전통 한옥에 서양의 종교 양식을 결합한 건물로
1919년에 건립되었다.
고종 23년(1886년) 병인박해 당시에 100명이 넘는 천주교도들이 살았던 곳이다.
이러한 교세를 바탕으로 폴리(Desideratus Poly)신부가 1919년 성당을 신축하고
이듬해 서산시 팔봉면 금학리에 있던 서산성당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이로써 이곳은 서산 지역 천주교의 중심이 되었다가
1937년에 성당이 동문동으로 이전하면서 공소가 되었다.
상홍리 공소는 본당을 중심으로 본당 앞의 종탑,
본당의 뒷부분에 덧대어 지은 제의실로 구성되어 있다.
제의실은 1923년과 1969년에 증축한 것이다.
현재의 종탑은 1986년에 원형대로 복원한 것으로,
중앙 회랑인 신랑(身廊)과 양옆의 측랑(側廊)으로 이루어진
서양식 교회의 3랑 구조를 3칸의 한옥 기와 건조물로 구현한
독특한 형태이다.
본당 내부의 제단부는 옛 형태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천주교의 전통적인 의식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상홍리 공소는 한옥과 서양식 건축이 조화미를 이룬
근대 건축의 귀중한 유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제338호)
관할본당: 서산 동문동 성당
충남 서산시 음암면 상홍2길 122
69. 양대리공소
1970년대 초 유병석 베드로의 희사로 양대리 567-3번지 소재
전 162평의 토지에 30여여 평 규모의 시멘트벽돌조 공소를 건축하였다.
공소 설립은 그 보다 뒤인 1982년 9월 20일에 이루어졌다.
석림동본당이 설립된 1987년 당시 교우수는 70여 명이었다.
공소는 양대반 사랑의 모후 쁘레시디움 주회와
공동체 모임의 장소로 활용해왔다.
관할본당: 석림동성당
충남 서산시 양대7길 19
69. 탑곡공소
1970년 설립
탑곡리(길마재, 질마재)는
1909년 홍성 결성에 소재하고 있던 수곡본당 폴리 신부의 사목담당 공소로
신자수 101명이 있었다.
1945년경 한의술을 갖고 있던 정학영 초대 회장집에서
10여 명이 모여 공소예절을 하였다.
1972년 서산본당으로부터 운산성당이 분리, 설립되면서
공소관할은 운산성당으로 이관되었다.
2010년 본당구역으로 편입되어 건물 사용이 중지되지된 상태다.
관할본당: 운산성당
충남 서산시 음암면 안치중곡길 92 (탑곡리 691-5)
70. 송시리공소
1963년 설립
송시리공소는 1949년 대전교구 교세통계표에
처음으로 나타나며 신자수는 72명이었다..
초대 김원실 공소회장 시기부터 공소 건물이 건축되기 전까지
회장집에서 공소예절을 가졌다.
서산본당 관할 공소로 시작하여 석림동성당을 거쳐
2004년 에천동성당의 관할이 되었다.
현재의 공소 건물은 1984년 제4대 김진오(오질론)회장 재임 시기에
공소 신자들의 봉헌 및 본당 지원으로 건축하였다.
현재 공소는 본당의 부석2반에 편성돼 있다.
관할본당: 서산 예천동성당
충남 서산시 부석면 송시3길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