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어의 종류및 효능
1) 민물장어(=뱀장어)

가장 흔히들 떠올리는 장어입니다.
뱀장어라고도 부르는 이것은 전남 강진의 목리천이나 전북 고창의 풍천장어가 유명한데요.
일본말로는 우나기라고도 합니다.
간장 양념을 해서 구워먹기도 하고 초밥 재료로도 쓰이고 밥 위에 얹어서
덮밥으로도 먹는 것이 민물장어입니다.
주로 우리나라 동, 서, 남해와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크기는 1m까지정도가 됩니다.
몸에 점액이 많아 몹시 미끄럽고 피부는 겉으로 보기에는 비늘이 없는 것 같으나 살갗에 작은
비늘이 묻혀 있습니다.
(Tip) 풍천장어를 아직도
풍천지방에서 잡힌 장어를 이야기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다.
우리나라의 강이나 큰 하천들은
백두대간을 경계로 동쪽 지방에서는 서에서 발원해 동으로 흐르고(西出東流),
서쪽 지방에서는 동에서 발원해 서로 흐른다(東出西流).
그러나, 고창군 심원면 선운도솔암 서쪽에서 발원해 동백꽃으로 유명한 선운사 앞을 거쳐
서해로 빠지는 하천은 서에서 발원해 북향했다가 다시 서해로 흐르는 서출동류 현상을 보인다.
이렇게 동출서류의 자연현상을 거역하고
서출동류로 역류하는 하천을 풍수학에서는 ‘풍천‘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선운사 앞 하천만이 그러하기 때문에
풍천은 풍수학의 일반명사이면서 선운사 앞 하천을 일컫는 고유명사로 굳어졌다.
곧 풍천은 선운사에서 발원해 선운사 입구 삼거리에서 북향했다가
서해로 빠지는 하천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정확히는 선운사 입구 삼거리 부근의
북향(역류)하는 지점을 말한다. .
즉 풍천장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민물장어와 풍천장어는 같은 장어를 말하는데 이를 다른 장어로만 알고 있다.
다시 말하면 풍천이란 말은 특정지역도 아니고 다른종류의 장어도 아니다.
바닷물과 강물이 어우러지는“풍천(바람 風, 내 川)자를 쓰는 데
보통 바다에 물이 들어 올 때 육지로 바람을 몰고 오는데 이때 나타나는 장어를 지칭하여
풍천장어(민물장어)라고 사용하였던 것이다. 풍천(風川)은 보통명사 이다.
물, 바람이라는 말을 어느 특정인이나 지역에서만 소유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처럼
같은 장어를 두고 뱀장어,민물장어, 풍천장어라고 부르는 것이다.
2) 붕장어(=아나고)

횟집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붕장어(conger eel)는 일본말 '아나고'로 부르며,
회로 인기가 높고 구어 먹어도맛이 좋습니다.
붕장어는 측선을 따라 흰 감각공이 배열되어 쉽게 구분된다.
한반도 주변 붕장어는 가을에 알을 낳으러 제주도 남방으로 회유하며,
12월에서 1월에 일본 대륙사면 근처에서 알을 낳는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묘한 중독성이 있는 붕장어입니다.
고소하면서도 약간 뭔가가 씹히는 즐거움이 있다고 해야할까요?
약간 호불호가 갈리는 붕장어입니다.
3) 먹장어 (=꼼장어)

포장마차 술안주로 가장 흔한 꼼장어입니다.
먹장어는 턱이 없고 입이 흡반 모양으로 생긴 원구류에 속하는 원시어류로
꼬리지느러미가 없는 것이 특징이에요.
그러니 꼼장어 먹을 때 "왜 이 장어는 꼬리가 없어!!"하고 불평하지 마시길.
먹장어는 그 껍질이 부드럽고 질겨서 지갑 등을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한답니다.
흔히 안주로 먹을 때 나오는 꼼장어는
이 껍질이 벗겨져서 나오기 때문에 약간 징그러운? 그런 형태로 접하게 됩니다.
4) 갯장어(=하모)

갯장어(sharp-toothed eel)는 하모라고도 불리며
일본말로 “물다”라는 뜻의 “하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아닌게 아니라 생긴 모양부터가 붕장어(아나고)보다는 훨씬 포악하게 생겼습니다.
주둥이도 날카롭고, 강단이 있어 보입니다.
표준어로는 갯장어라고 불러야 맞고,
하모의 주요 산지인 여수 지역에서는 보통 참장어라고 부릅니다.
갯장어는 잔가시가 많아서 손질하는 게 아나고보다 훨씬 힘듭니다.
가시들을 발라내고 잘게 썰어서 내오는 갯장어 회는 미식가들의 입안에 군침이 고이게 하는
여름철 별미 중의 별미라고 할 수 있죠.
갯장어는 양턱이 크고 날카로운 이빨과 큰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민물장어의 효능

1. 피부를 좋게 한다.
- 세포를 젊게하여 피부의 탄력을 쥬지해 주며,
노화를 방지해주고,강정작용이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답니다.
2. 면역력 향상과 각종 심혈관 질환에 좋습니다.
- 장어에는 비타민A,비타민B가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비타민A는 성장과 생식작용, 점마막피부 저항력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비타민B는 체내의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작용을 억제해 주어 혈관에 활력을 불어넣어줍니다.
또한 피부 노화방지를 해주며, 동맥경화,뇌졸중,혈관근육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어
각종 심혈관 질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동맥경화 치료와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지요.
3. 스테미너 및 두뇌발달에 좋습니다.
- 민물장어는 지방에 레시틴, EPA, DHA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습니다.
민물장어에 들어있는 지방 성분이 뇌기능을 활성화시켜서 두뇌발달에 매우 좋다고 해요.
비타민A,비타민B가 풍부해서 남성의 스태미너에도 좋다고 합니다.
바다장어(아나고)의 효능
여름철에는 더위와 땀흘밈이 많아 체력이 소모되어 입맛을 잃기 쉽지요.
이럴때 단백질함량이높고칼로리가 높은 바다장어가 허약한 것과 양기가
부족한 것을 도와준답니다.
- 바다장어의 지방은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 들어있음.
- 바다장어는 피곤함을 예방하고 에너지를 만들어 줌.
- 성장을 촉진시켜주며저항력을 좋게하며 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 DHA,EPA(오메가3) 많이 들어있어 뇌경색,초기동맥경화,심근경색,혈전증등이 예방됨
- 생식기능과 시력을 좋게하며 폐결핵으로 몸이 마른 사람에게 보양식으로 아주 좋다고 합니다.
- 여성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 도움.
- 남성스테미너식 대표음식
- 피를 맑게하고 동맥경화에 도움을줌
바닷장어, 가격·맛·효능 ‘1석3조’에 인기 급등
[무한매거진 뉴스팀]
보양식으로 인기가도를 달리고 있는 장어.
그 가운데서도 바닷장어의 인기가 ‘쾌속질주’를 거듭하고 있다.
일부에서 잘못 알고 있는 것과 다르게 바닷장어는 민물장어와 영양성분에서
지방함유량을 제외하면 그 차이를 찾을 수 없다고 한다.
식감의 차이가 있다고 하지만,
그 차이는 미미할 뿐 아니라 최근 양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물장어에 비햐면,
청정바다에서 자란 바닷장어의 오히려 탄력이 뛰어나고 깔끔한 뒷맛을 갖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또한, 칼로리는 소고기의 두 배에 달하고,
비타민A 함량이 풍부한 단백질의 보고이며, DHA 등이 풍부하게 함유된 바닷장어는
매력적인 음식으로 확실하게 각인되고 있다.
더욱이 민물장어가 양식으로 대체되면서 치어 값이 오르고 사료 값도 올라,
자연산에 버금가는 비쌀 정도로
양식장어의 몸값이 오른 것도 바닷장어의 가치를 높여 주고 있다.
특히, 양식장어의 대부분은 필리핀, 인도네시아의 치어를 수입,
양식한 이종장어로 알려져 있어 성분과 식감에서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점도
청정해역에서 자란 100% 자연산 바닷장어의 가치가 높아지는 이유가 되고 있어
앞으로도 바닷장어의 인기 행진은 쭉 이어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무한매거진
김상호 기자
201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