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실크로드(Silk Road/비단길)와 누란(樓蘭)의 미녀
◆역사의 여로(旅路) 실크로드(Silk Road)◆
<1> 신장(新疆) 위구르(維吾尔) 자치구의 지역적 특성
실크로드(Silk Road) / 신장 위구르 자치주(붉은색) / 천산북로, 천산남로, 사막남로
중국대륙의 서북쪽 국경부근인 중앙아시아에 있는 신장위구르(維吾尔) 자치구는 중국에 합병(1884)되기 전 서역(西域)으로 불리던 지역으로 대부분 타클라마칸(Taklamakan)사막과 고비(Gobi)사막이 차지하는 황량한 사막지역이다.
이 지역은 곳곳에 형성된 작은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흉노족(匈奴), 돌궐족(突闕), 몽골족(蒙古) 등 소수민족들이 수립하였던 수십 개의 작은 소국(小國)들이 난립하여 흥망을 거듭하던 곳이기도 하다.
이곳 중국의 위구르(維吾尔) 자치구를 보면 동쪽은 깐수성(甘肅省)과 칭하이성(靑海省), 남쪽은 시짱(西藏) 티베트 자치구, 북동쪽은 몽골, 북서쪽은 카자흐스탄, 서쪽으로는 키르키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인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고 알타이산맥, 텐샨(天山)산맥, 쿤룬(崑崙)산맥이 가로로 길게 누워 국경선을 이루는 지형이다.
텐샨산맥을 경계로 북쪽은 중가르(准噶尔) 분지, 남쪽으로 타림(塔里木)분지, 동쪽으로 투루판(吐魯番) 분지가 펼쳐져 있으며 신장(新疆)의 강(疆)은 세 산맥(一)과 분지(田)를 형상화한 글자라고 한다.
또 쿠무타크(庫木塔格) 사막 근처의 둔황(敦煌) 부근은 모래가 많고 모래바람이 심하여 사주(沙州)로, 투루판(土魯番)지구는 분지(盆地)인데 너무 더워 화주(火州)로 불린다. 이곳은 불모의 땅인 타클라마칸 사막, 고비사막, 쿠무타크(庫木塔格) 사막 등 황량한 사막이 끝없이 이어져 있는 곳이다.
<2> 비단길(Silk road)과 옥의 길(Jade road)
실크로드는 글자 그대로 낙타 등에 중국의 비단을 싣고 유럽으로 가고 유럽의 여러 물산이 중국으로 유입되던 낙타 캐러밴(Caravan)의 교역로를 의미하지만 그 이전에도 옥(玉)의 생산지로 유명한 신장성(新疆省) 허텐(和田/和闐)의 질 좋은 옥이 중국으로 유입되던 옥의 길(Jade Road)로 먼저 시작되었다고 한다.
타클라마칸사막 서남단(西南端)의 허텐은 옥과 함께 사금(砂金), 비취(翡翠)의 생산지로도 유명하였던 지역으로 이곳에서 생산된 것은 주로 중국으로 들여왔다고 하는데 그래서 그런가 중국 사람들은 예나 지금이나 옥(玉)을 무척 좋아한다.
이 지역의 명칭은 서역으로부터 옥이 들어오는 관문이라 하여 옥문관(玉門關)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후일 비단이 오가면서 옥의 길(Jade Road)이 다시 비단길(Silk Road)로 이름이 바뀌었다.
<3> 천산북로(天山北路)와 천산남로(天山南路)
실크로드의 시발점은 중국 본토의 시안(西安), 혹은 더 멀리 뤼양(洛陽:현재의 鄭州)으로부터 시작하여 당시는 국경 부근인 깐수성(甘肅省)의 옥문관(玉門關)과 양관(陽關)을 지나갔으니 사실상 깐수성이 실크로드의 기점(起點)이었던 셈이다.
비단을 싣고 서역(西域-현 新疆)에 들어온 장사꾼들은 투루판을 거쳐 천산산맥 남쪽을 지나 신장성(新疆省) 서쪽 끝인 카스(喀什:카슈가르)에서 파미르 고원을 넘어 터키의 이스탄불로 이르는 천산북로(天山北路)를 이용했고 또 하나는 쿤룬(崑崙)산맥의 북쪽을 지나 카스(喀什)로 이르는 천산남로(天山南路)를 이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타클라마칸사막 남쪽을 지나는 사막남로(沙漠南路)도 있었다.
둔황(敦煌)과 옥문관은 깐수성(甘肅省)의 란저우(蘭州)에서 시작되는 하서회랑(河西回廊 혹은 河西走廊)의 서쪽 끝부분으로 이곳 대협곡이 황하(黃河)의 서쪽에 있다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 하서(河西/강의 서쪽)이다.
실크로드에서 반드시 거쳐 가야하는 깐수(甘肅)성의 좁고 긴 약 1.000km의 황량한 대협곡(大峽谷)은 마치 긴 복도와 같다고 하여 하서회랑(河西回廊)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고, 이 길은 당나라 고승 삼장법사가 천축국(天竺:印度)으로 불경을 가지러 다녀온 길이기도 하며, 그 이야기가 후일 서유기(西遊記)라는 소설로 씌어져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내가 이곳을 지날 때 너무나 더웠고, 길 옆에 서있는 서유기의 동상들(삼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도 보았다.
<4> 교역로(交易路)의 개척역사
BC 2세기, 전한(前漢)의 무제(武帝) 때 장건(張騫)장군은 이 지역을 지배하던 흉노(匈奴)를 정벌하기 위하여 군사를 이끌고 왔으나 오히려 흉노족의 포로가 되었다고 한다.
장건은 10여 년간 볼모로 잡혀 있으면서 흉노여자와 결혼도 하고 자녀도 있었지만 결국 탈출하여 고국으로 혼자 돌아가서 이 지역의 지리와 풍습을 기록하여 한무제(漢武帝)에게 바침으로 후일 흉노 토벌의 큰 공을 세운다.
장건(張騫)장군 동상 / 양관(陽關) 봉수대 / 양관고지(陽關故址/뒤는 타클라마칸사막)
그리고 이곳에 국경의 관문인 양관(陽關)을 설치하고 주변 여러 나라와 문물을 교역하는 루트를 개설했으며 대상(隊商)들을 보호하여 실크로드를 있게 한, 실질적인 실크로드의 개척자로 알려져 있다.
중국 서쪽 관문인 양관(陽關)은 글자 그대로 뜨거운 햇볕(陽)으로 가득 찬 불모(不毛)의 땅으로 이곳을 나서면 죽음의 땅 타클라마칸사막(Takla Makan Desert)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5> 누란(樓蘭)의 미녀
누란의 미녀 / 소하묘(小河墓) / 스벤 헤딘
신장 위구르자치주에 있는 선선(鄯善)은 기원전 19세기경에 나타났다가 사라진 옛 선선국(鄯善國), 일명 누란왕국樓蘭王國)의 수도였던 곳으로, 인근에서 누란(樓欄)의 미녀로 불리는 미라(Mummy)가 출토된 것으로 유명하다. 이 누란의 미녀 미라는 현재 우루무치(烏魯木齊)의 위구르 박물관으로 옮겨져 일반에게 공개되고 있다.
우루무치 위구르 박물관은 그 규모는 물론, 전시품의 질과 양에서 국내외의 비상한 관심을 끄는 곳일 뿐더러 그중 가장 세인들의 관심과 눈길을 끄는 것이 3,800년의 세월을 뛰어넘고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누란(樓蘭)의 미녀’로, 완벽하게 보존된 40대 초반 여성의 미라(Mummy)이다.
중국의 옛 문헌(文獻) 속에 보면 기원전 1,900년 무렵, 중앙아시아의 사막 가운데 있는 로프노르(Lop Nor) 호수를 끼고 누란(樓蘭)이라는 아름다운 왕국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었다.
그런나 호수로 흘러들던 강물이 흐름을 바꿔 호수가 말라버리면서 도시는 사막화되어 모래 속에 묻혀 왕국과 함께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리고 말았다. 수많은 고고학자와 역사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던 누란왕국의 위치와 유적은 20세기 초반까지 아무런 단서도 찾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1927년에 스웨덴의 탐험가 스벤 헤딘(Sven Hedin/1863~1952)이 문헌 속에 나오는 신비의 고대국가 누란왕국을 찾으러 이곳으로 오는데 기막힌 행운으로 1,500년을 주기로 흐름이 바뀌어 제자리로 돌아오는 하천(河川)이 최근 그 흐름이 제자리로 바뀐 것을 발견하고 하천 주변 모래 속에서 고대유적을 찾아낸다. 사막 가운데 작은 하천 옆에서 도시와 묘지 유적을 찾았고, 이 묘지가 작은 하천 옆에 있다하여 ‘소하묘(小河墓)’라고 명명했으며 나중 이 유적이 문헌 속의 바로 그 누란(樓欄) 왕국으로 밝혀졌다.
전설처럼 문헌상에서 존재하여 고고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4,000년 전에 화려한 문화와 번영을 누렸던 누란(樓蘭)왕국이 베일을 벗고 비로소 그 실체를 드러내게 되었고, 수많은 유물 중에서도 완벽한 형태로 발굴된 이 여인의 미라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자그마한 키(155cm), 작은 머리에 오똑한 콧날, 치렁치렁 땋아 내린 검은 머리칼, 화려한 옷과 장식물로 아름답게 치장한 여인의 미라는 건조한 사막의 모래 속에서 3,800년 동안 완벽하게 보존되어 오늘 우리에게 옛 누란왕국의 영화와 번영이 사실이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 미라는 엷은 미소를 머금고 있는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서 일명 ‘죽은 모나리자’, 또는 ‘누란(樓欄)의 미녀(美女)’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이 미라의 주인공은 누란왕국의 왕비거나 고위직 부인으로 보이는 45세 정도의 여인으로 골격과 체형이 백인(白人)으로 보이며 그것도 서유럽 인종의 백인에 가까워 보인다고 한다.
이것은 당시 중앙아시아의 동쪽 끝인 이곳까지 서(西)유럽인들이 진출하였다는 사실의 증명으로 놀라운 일이라고 한다. 전시된 모든 유물들은 촬영이 금지되어 카메라에 담지 못하는 것이 너무나 아쉬웠다.
이 위구르 박물관에는 중앙아시아에서 발굴된 엄청난 양의 미라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었지만 나는 다른 것은 눈에 잘 들어오지 않고 이 ‘누란의 미녀’를 본 순간 이상한 감동에 사로잡혀 쉽게 자리를 뜨지 못하고 근처를 수차례 배회하며 설레는 가슴을 가라앉혀야만 했다.
1960년 일본작가 이노우에 야스시(井上 靖)가, 2019년에는 우리나라의 작가 백시종(白始宗)이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넘나드는 픽션으로 이 이야기를 엮어 ‘누란(樓欄)의 미녀’라는 제목으로 책을 집필하여 크게 히트하기도 하였다.
지금도 이곳 위구르(維吾尔)족 여인들은 미인이 많기로 유명한데 나도 여행하는 내내 실감할 수 있었다.
저녁에 감상한 우루무치 민속가무단의 화려한 복장과 특이한 몸짓의 춤사위 또한 두고두고 기억에 남는다.
삭막한 하서회랑(河西回廊) / 화염산(火焰山) 천불동(千佛洞) / 밍샤샨(鳴砂山) 낙타 등반 / 무용수와 사진
우루무치 민속가무단 / 위구르 미녀 / 백시종의 책<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