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이와 토끼 경주는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앞서 가던 토끼가 낮잠자다가 부지런히 기어온 거북이에게 진다. 하지만 요즘의 경쟁사회에서 이런 일은 상당히 드물다. 거북이보다 훨씬 더 성실한 토끼가 즐비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북이라고 늘 지진 않는다.
그 거북이가 요행이 아니라 자기 실력으로 이길 수 있는 방법이 세가지나 있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첫째, 바다에서 경주를 하면 된다.
거북이가 느린 곳은 육지다. 물에서 바다거북 평균시속은 20㎞, 최고는 32㎞나 된다. 마린보이 박태환의 시속은 6㎞다.
둘째, 육지에서 경주한다면 내리막을 택하면 된다.
앞다리가 짧고, 뒷다리가 긴 토끼는 내리막에서 약하다. 대신 거북이는 목과 다리를 넣고 데굴데굴 구르면 된다.
셋째, 오래 달리기다. 그것도 아주 길게. 거북이의 평균수명은 150년, 토끼는 고작 8~12년 정도다.
우스개 같은 이야기일지도 모르지만 핵심적 포인트는 관점의 변화다. 한마디로 자기가 잘할수 있는 곳에서 1등을 하라는 거다.
이런 것을 슈퍼리치 세계에 대입해 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포브스에 따르면 전세계의 억만장자 1700여명 중 약 30%가 60대라 한다. 그들은 유통이나 의류, 부동산 등 전통산업으로 부를 일궜다.
토끼와 같은 슈퍼리치들과 비슷한 영역에서 경쟁해서 부를 얻을 가능성은 높지가 않다.
그래서 바다거북처럼 본인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곳에서 승부수 띄우는 게 상책이다. 자산이 133억달러가 넘는 엘론 머스크는 제 2 벤츠나 BMW를 추종하지 않았다. 세계 최고의 전기차 회사를 꿈꿨고 테슬라모터스를 세워 전기차의 대명사가 됐다. 또한 지구가 아닌 우주에서 돈을 벌기 위해 스페이스X를 세웠다.
인터넷ㆍ모바일 또한 무한 가능성의 세계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신화를 일궈낸 마윈 회장은 세계의 최고 유통강자인 월마트의 매출 (4700억 달러)을 연내에 추월하겠다고 장담했다. 2019년 매출 목표는 무려 1조 달러다.
국내엔 김범석 쿠팡 사장이 눈에 띈다.
그는 2010년 매우 생소했던 소셜커머스사업으로 시작해 지난해 무려 거래액 2조원, 기업가치 5조원이 넘는 ‘e-커머스 회사’로 키워냈다. 최근에는 자체 배송 인력인 ‘쿠팡맨’을 통해 직접적으로 배송해주는 ‘로켓배송’ 같은 혁신적 아이디어로 시장의 판을 바꾸고 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으로부터 1조원의 투자도 이끌어냈다.
레드오션인 미디어업계에도 사례는 즐비하다. 그리스 출신의 아리아나 허핑턴은 뉴스 큐레이션 미디어인 허핑턴포스트로, 또 ‘미디어시장의 파괴자’로 불리고 있는 조나 페레티는 버즈피드로 마치 보란 듯이 기성언론을 누르고 있다. 두 매체의 매달 방문자수가 대충 1억~2억명에 이른다. 그들은 자산 5억 달러와 1억 달러의 슈퍼리치가 됐다.
시간 지나면 이들 능가하는 또 다른 바다거북이들이 또 나올 것이다.
성공해도 ‘제 2의 누군가’로 불리는데 그친다면 노력의 가치는 희석된다.
미지의 영역에서 과감하게 승부를 걸어 승자가 된다면 더욱 빛날 것이다. 다행히도 그 영광의 자리는 공평하게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첫댓글 사람보다 오래사는 거북이고기가 맛좋타는데
멋진글이다. 이렇게 내가 모르는게 정보다
거북이가 시속32키로라고?
겁나게 빠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