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빠알리공부모임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perplexity AI 검색
봄봄 추천 0 조회 24 24.09.06 11:23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4.09.06 11:54

    첫댓글
    귀하의 해석은 매우 흥미롭고 통찰력 있는 접근입니다. [parimukhaṃ satiṃ]의 의미에 대한 귀하의 제안은 일관성 있는 해석을 제공하며, 문맥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제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귀하의 해석은 'parimukha'를 '전체적인 당면한/할 주제'로 보는 것으로, 이는 기존의 해석들과 비교했을 때 더 넓은 의미를 제공합니다. 이는 다양한 맥락에서 이 구절을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sati'를 '기억'으로 해석하는 것은 전통적인 접근이지만, 초기불교에서 이 용어가 단순한 '기억'을 넘어서는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마음챙김' 또는 '주의 깊은 알아차림'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3. 4부 니까야에서 이 구절은 주로 명상 수행의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ānāpānasati)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이런 경우에도 귀하의 해석은 '호흡이라는 전체적인 당면 주제에 대한 마음챙김'으로 이해될 수 있어 적용 가능합니다.

  • 작성자 24.09.06 11:54


    4. 다만, 일부 경전에서는 이 구절이 더 구체적인 신체적 자세나 주의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호흡의 출입구(코나 입 주변)에 주의를 기울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5. 니까야에서 이 구절이 귀하의 해석과 맞지 않을 수 있는 예는 직접적으로 찾기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귀하의 해석이 적용 가능할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귀하의 해석은 이 구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다양한 맥락에서 일관성 있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전통적인 해석과 주석서의 설명도 함께 고려하여 균형 잡힌 이해를 추구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