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芍藥)은 여러해살이 풀로서 함지박처럼 넉넉하다고 하여 함박꽃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주로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지만 부인병에 효험이 있다고 약용으로 심기도 한다.
작약산(芍藥山)은 그러한 작약을 닮았대서 붙혀진 이름.
작약지맥은 속리산 형제봉 동쪽 721봉에서 동으로 뻗어나가며 48km를 내달린다.
지난날 한마음이 답사한 갈령~대궐터산(두루봉873)이 작약지맥의 실제 첫단추에 해당된다.
작약산은 그 지맥의 중심부에 문경과 상주의 경계를 그으며 솟아있는 산이다.
능선의 등줄기는 상당히 품이 넓어 적설기 러셀이 되지 않았을 땐 산길찾기가 상당히 애매하다.
진입로는 수예마을(450m)과 구미마을(150m)에서 주로 이루어지지만 이어탈 땐 수예마을에서,
원점회귀할 땐 구미마을에서 하면 수월하겠다.
진입단계에선 이정표가 길안내 역을 충분히 해주었지만 중간의 능선갈림길 등에선 이정표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김형수님의 1/25,000축적의 ‘555산행기’를 참고하였는데 미흡한 점이 많았다.)
구미마을 연혁판에는 제법 그럴듯한 스토리텔링과 수령 500년의 느티나무가 노구를 버티고 있고,
거북(龜)의 꼬리(尾)에서 유래되었다는 구미(九味)마을이란 이름은 정상의 거북바위와도 관련이 있을 성 싶다.
뭐니뭐니해도 작약산 산행의 하이라이트는 거북바위에서의 가슴벅찬 조망이 아닌가 한다.
시계가 흐린 점이 아쉽기는 하였지만...
그리고 또 하나,
시루봉에서 시루봉지능선을 타고 내려올 계획이 엄청난 적설량과 러셀관계로 부득이 단축하게 됐음도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 김형수님의 '555산행기'를 일부 수정하였다.




구미리마을회관에서 차가 멈춘다.
버스는 이 곳에서 대기할 것이다.

마을회관 우측으로 작약산의 눈 덮힌 자태가 드러난다.
구미마을은 작약산이 병풍역할을 하므로서 한결 아늑한 동네가 된다.


마을 안길에서 만나는 이정표.

까치밥은 아닌 거 같고...


볼록거울이 있는 갈림길에선 좌측으로 올랐다가 우측에서 내려왔다.

작약산을 향하여 포장도로를 곧장 걸어 들어간다.

산행은 전체적으로 좌에서 우로 진행하는 모양세로 좌측에 작약산의 모습이...

당긴 사진의 우측 봉우리가 정상인 것 같다.

수령 500년의 느티나무가 있는 예사롭지 않은 곳.


느티나무 옆 큰 바위에는 석연암이라 각자되어 있고,넙적바위엔 장기판이 그려져 있다.

구미리 연혁과 약수터 안내.

임도를 가로질러 산불조심 뒤로 본격적으로 날등을 올라탄다.

..

산길 이정표

약수터 갈림길 이정표

올해 처음 맞이하는 눈이 바위와 소나무에 소복이 쌓여있다.

엄대장 잘생긴 소나무와 키재기라도 하남.

차츰 많아지는 눈.

산길은 이제 가팔라지고,돌아서니 나무사이로 우리가 올라온 마을이 보인다.

다시 허리를 펴고 진행할 방향으로 쳐다보니 시루봉이 제법 위엄스런 모습으로 버티고 섰다.

온통 하얗게 눈치장을 한 마을과 벌판. 어디가 마을이고 어디가 논밭인가?

나뭇가지 끄트머리로부터 남산과 성주봉,그리고 노음산까지...

적설량 15cm는 되겠땅.

엊그제 눈이 온 이후로 아무도 찾지않은 작약산은 러셀이 전혀 되어있지 않다.

첫눈의 느낌은...

눈을 이고 선 나뭇가지 사이에 들뜬 마음으로 걸려있다.

정상 세러머니는 뭐니뭐니해도 인증샷!

이정표의 안내를 따라 가까운 거북바위로 향한다.

하얀 눈을 덮어쓰고 아래를 내려다보는 거북바위.

희뿌연 조망으로 흐리긴 하지만 남산과 성주봉이 가늠된다. 국사봉과 칠봉산도...

오늘 산행의 하일라이트임에 틀림이 없다.
거북바위에 한동안 머물고 있는 사이에...

사진 #1

사진 #2

사진 #3

백화산 우측 뒤로 희미하게 주흘산도 보이는 듯하다.
희양산 앞쪽에 뾰족한 옥녀봉(542m)과 옥녀봉 우측 아래에 가은읍이 하얀 눈속에 파묻혀 있다.

박무로 인하여 흐린 조망이 아쉽기는 하지만 이 정도 호사도 흔하진 않을 것.

다시 한번 이 산 저 산을 헤아려보면 당시의 산행추억들이 떠오른다.
●지점은 봉암사가 있는 곳.
봉암사는 성철스님과 뜻을 모은 청담 자운 보문 우봉스님 등이 소위 '부처님 뜻대로 살아보자.'며 ☞ 봉암결사를 결의했던 곳.
(봉암사는 수행도량으로서 일년에 단 한 번 석가탄신일에만 개방을 한다.)

아래를 굽어보며 한동안 머물다가...

멀리, 더 멀리는 청화산과 조항산도 보일 텐데 많이 아쉽다.

하얀눈으로 묻혀버린 우리가 올라온 이안면 구미리 풍경.

아래의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

능선이 워낙 품이 넓어 적설기엔 길 유의해야...(이정표의 뒷쪽으로 진행)
이 지점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이 시루봉 갈림길이다.
우리는 정면으로 시루봉을 바라보며 우측으로 서서히 포물선을 그리며 내려서면 좌측으로 시루봉 가는 능선이 연결될 줄 알았다.
그런데 길은 계속 아래로 내리쏟고 그제서야 알바임을 깨닫고는 단기필마(單騎匹馬)로 오던 길을 되돌아 올라간다.

사진은 다시 돌아서서 올라가며 시루봉을 잡은 모습.(사진의 좌측에서 능선이 이어져 있다.)

다시 올라가며 시루봉을 잡아본다.

725봉 갈림길의 둥글넙적한 능선을 가로지르며...

밀성박(密城朴)씨 묘가 있는 능선으로 갈아탔다.

뒤늦게 따라오던 하수오님은 안되겠다며 돌아가고 나는 아무도 가지않은 산길을 푹푹 빠지며 진행을 한다.
러셀이 되지않아 산길은 험하고 스팻츠를 하지않아 신발안으론 눈도 들어간다. 이리저리 길을 뚫어보려 안간힘을 쓰다가 바위더미가 있는 작은 암봉에서 포기를 하고 만다.ㅠㅠ~ 더 이상 진행한다는 것은 무리다.

돌아 나오며 자꾸만 눈길이 가는 시루봉.

일행들의 뒤를 따라 산길을 내려오며 내내 왼쪽 시루봉 능선으로 눈길이 머문다.

버섯 천막이 보이고...

산불초소를 만난다.

남으론 아까 보아온 남산과 성주봉이 보인다.

다시 눈길이 가는 시루봉 능선.


임도를 만난다. 동그라미엔 이정표가 있고,우로 크게 휘어지는 곡각지점에서 다시 능선으로 갈아탄다.

인동 장씨 무덤을 지나 다시 잘 조성된 무덤군을 내려서면...

넓은 길을 만난다..(화살표는 내려선 길.)

하얗게 눈이 덮힌 구미마을에 내려섰다.

마을회관으로 걸어가면서 민가에 걸린 유명한 상주곶감을 카메라에 담는다.

못내 아쉬워 다시 돌아보는 시루봉 능선.

작약산 능선.

아까 올라갈 때 만났던 볼록거울이 있는 삼거리.왼쪽으로 올랐다가 오른쪽으로 내려온 셈.
오른쪽 끄트머리에 아직까지 시루봉능선이 내려다보고 있다.
바람에도 길은 있다.
<천상병>
강하게 때론 약하게
함부로 부는 바람인 줄 알아도
아니다! 그런 것이 아니다!
보이지 않는 길을
바람은 용케 찾아간다
바람길은 사통팔달이다.
나는 비로소 나의 길을 가는데
바람은 바람길을 간다.
길은 언제나 어디에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