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루> 신비의 공중도시 마추픽추(MachuPicchu)
<1> 아구아스 까리엔테스(Aguas Calientes)
마추픽추(MachuPicchu)로 가려면 페루의 수도 리마(Lima)에서 출발하는 기차를 타고 신성계곡(神聖溪谷/Sacred Valley)으로 불리는 우루밤바(Urubamba) 강변의 잉카(Inca)족 고대도시 오얀따이땀보(Ollantaytambo) 역에 들렀다가 계곡을 따라 내려가면 종착역인 아구아스 깔리엔테스(Aguas Calientes) 역에 도착한다.
종착역 앞에는 아름다운 건물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조그만 마을이 있는데 마을 이름이 ‘아구아스 깔리엔테스(Aguas Calientes)’이고 역 앞에는 기념품 가게, 식당, 카페들이 빼곡하게 들어선 거리가 관광객들을 맞는다. 마을은 가파른 산들로 둘러싸여 있는 옴폭한 분지로, 사방의 봉우리들은 아무리 둘러보아도 사진에서 보았던 산꼭대기 마을 마추픽추가 있을 만한 흔적이 전혀 없는, 깊고 깊은 계곡 속의 자그마한 마을일 뿐이다. 그런 까닭인가 사람들은 마추픽추를 ‘비밀의 공중도시, 수수께끼의 도시’ 등으로 불렀고 ‘세계 7대 불가사의(不可思議)’ 중 하나로 꼽았던 것이리라.
기차역을 나서면 조금 앞에 마추픽추를 오르는 버스가 기다리고 있고 좌석이 채워지면 곧바로 출발한다. 강을 건너 우거진 숲을 지나자 곧바로 뱀이 꼬리를 물 듯 지그재그로 건설된 가파른 비포장도로가 나타난다. 7~8여 회 꼬불거리며 오르기를 30여 분이면 산꼭대기 마추픽추 주차장에 도착, 조금 떨어져 마추픽추 유적 입구가 있고 그곳은 언제나 입장권을 사려는 관광객들로 바글거린다.
매표소를 지나노라면 왼쪽에 1911년, 이곳 마추픽추를 처음 발견하여 세계에 알린 미국 예일대(Yale U.) 빙엄교수의 자그마한 기념 동판이 보이고 연이어 좁고 울창한 숲길을 따라 언덕을 돌아가면 위대한 잉카의 유적 마추픽추의 전경이 파노라마(Panorama)처럼 눈 앞에 펼쳐진다.
<2> 하이람 빙엄(Hiram Bingham) 교수
1911년, 미국 예일대학의 고고학 교수였던 하이람 빙엄(Hiram Bingham/1875~1956) 교수는 잉카의 만꼬(Inca Manco) 왕이 스페인 정복자들에 맞서 싸웠다고 문헌상에 기록되어있는 마지막 저항지인 ‘빌까밤바(Vilcabamba)’를 찾으러 이곳 신성계곡으로 온다.
마추픽추(현재 모습) / 마추픽추 오르는 찻길 / 와이나픽추 오르는 길 / 빙엄 교수
빙엄 교수는 한 인디오 농부로부터 산꼭대기에 귀신(鬼神)이 나오는 허물어진 고대도시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한 인디오 소년을 앞세우고 답사를 마친후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 신비에 싸인 비밀도시 마추픽추가 비로소 처음으로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빙엄 교수가 처음으로 마지막 돌계단을 통하여 이곳에 올라왔을 때는 나무와 풀로 뒤덮여 전체 규모를 가늠하기 어려웠고 다니기도 어려웠지만 지금은 말끔하게 정돈되어 한눈에 모든 것을 뚜렷하게 볼 수 있다.
당시 빙엄 교수는 밀림으로 뒤덮인 이곳 유령도시에서 인디오 한 가정이 사는 것을 발견하였고 130여 구(具)의 유골과 5,000여 점의 유물을 발견하여 수습하였다고 한다.
<3> 미스터리의 마추픽추 공중도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의 하나로 꼽히는 마추픽추는 해발 2,400m의 산 위에 완벽하게 숨겨진 공중도시로, 잉카인들의 마지막 저항지로 소문으로만 알려졌던 비밀의 도시 빌까밤바(Vilcabamba)로 추정되던 곳이었다. 그러나 훗날 학자들에 의해 전쟁의 유물들이 발견되지 않음으로 빌까밤바는 아니라고 판명되었다고 한다.
후일 학자들은 건물의 수와 주변에 조성된 계단식 밭의 규모로 미루어 볼 때 상주인구가 2,000명에서 10,000명 정도로 추정했다니 상당히 규모가 큰 산상(山上) 도시(마을)였음을 알 수 있다.
아직도 미스터리인 것은 수습된 유골들을 분석한 결과 80% 이상이 여자와 아이들 유골이고 성인 남자의 유골은 거의 없었다고 하며, 그 까닭이 무슨 연유인지 아직도 수수께끼라고 한다.
이 유적은 총면적은 5㎢ 정도로 그 절반은 주변 비탈면의 계단식 밭이고 나머지 절반이 산 정상의 평평한 부분의 주거지인데 서쪽의 높은 곳은 신전과 궁전이 있고 동쪽 낮은 곳은 주민 주거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의 계단식 밭 바깥으로는 다시 성벽과 까마득한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이다.
관광객들이 처음 서게 되는 곳은 마추픽추(늙은 봉우리라는 뜻)의 뒤쪽 언덕 위로, 눈 아래로 유적 전체가 한눈에 펼쳐져 보이며 그 뒤로 와이나픽추(WaynaPicchu:젊은 봉우리)가 마추픽추를 호위하듯 우뚝 솟아있는 모습은 정말 형언할 수 없는 감동과 신비감을 자아낸다.
우선 사진으로 보아오던 것에 비하여 굉장히 규모가 크다는 것에 놀라게 되고 또 상상하던 것보다 훨씬 더 신비로워서 말문이 막힌다. 이 마추픽추는 산 아래에서는 전연 보이지 않는, 산봉우리 위에 건설된 완벽하게 숨겨진 도시이다.
놀라운 것들이 수두룩 하지만 특히 돌을 다듬고 끼우고 짜 맞추어 지은 각종 신전(神殿)들의 정교하고도 아름다운 건축 솜씨, 그리고 이 높은 산꼭대기에 주민들의 생활용수와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물을 끌어오는 놀랍도록 완벽하게 설계된 수로(水路)도 또한 미스터리인데 지금도 수로에는 맑은 물이 흐르고 있다. 이 도시의 형성을 두고 학자들은 초기에
① 스페인군의 공격을 피해 세운 비밀도시
② 훗날 스페인에 복수하기 위한 군사훈련을 위해 건설한 비밀도시
③ 자연재해, 특히 홍수를 피해 고지대에 만든 피난용 도시
등으로 추측하기도 하지만 도시의 건물 배치나 기능으로 보아 『태양신께 제사를 드리기 위하여 세워진 특별한 신성(神聖) 도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한다.
16세기 후반, 잉카인들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이 도시를 버리고 바람처럼 사라진다.
유골을 조사한 결과에서 보였듯이 왜 여자들과 아이들 유골만 있고 남자 장정들의 유골이 없는지 아직까지도 가설(假設)이 난무한다고 한다. 여자들과 아이들만 굶어 죽었는지, 스페인 정복자들의 손에 들어가는 것이 싫어서 일부러 죽이고 떠났는지, 또 새로운 도시를 찾아 더 깊숙한 오지로 남자들만 떠났는지, 스페인군과의 전투에서 남자 장정들은 모두 죽었는지.... 가지가지 의문만 남기고 이 매력이 넘치는 공중도시는 ‘버려진 도시, 폐허의 도시’가 되었던 것이다.
그 이후, 약 400년 동안 밀림 속에 묻혀 있다가 빙엄 교수에 의해 발견되는 것이다.
<4> 중앙신전
매표소를 지나 유적 입구에 오면 정교하게 쌓은 석문(石門)이 나타나는데 석문을 지나면 가운데 높은 언덕 위에 중앙신전이 보인다.
인티우아타나(태양을 묶는 기둥) / 허물어져 가는 중앙신전 / 벽감(壁龕)의 방
신전 앞에는 어마어마하게 큰 돌 제단(祭壇)이 있고 그 뒤쪽은 석축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한쪽 부분이 허물어지고 있어 안타까웠다. 그 원인은 끊임없이 오르내리는 관광버스와 너무 많은 관광객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여 유네스코에서 일일 관광객을 500명으로 제한할 것을 페루 정부에 건의했다고 한다.
그러나 페루 정부는 주요 관광수입원(觀光收入源)인 이곳의 인원 제한이 어려웠는지 현재 비수기에는 1일 2,500명, 성수기에는 5,000명의 관광객이 들끓는다니 안타까운 일이다.
신전의 뒤쪽으로 돌아가면 신관들이 머무르던 방이 있는데 사람 얼굴 높이의 벽면에 깊이 20cm 정도의 사다리꼴 벽감(壁龕)이 쭉 둘러 있다. 그곳에 머리를 집어넣고 말을 하면 공명현상이 일어나 머리가 윙윙거린다. 잉카시대, 신관(神官)들은 코카 잎을 씹으며 큰 소리로 벽감에 대고 주문을 외어 최면상태가 일어나면 나와서 일반인들에게 최면상태에서 신(神)의 소리를 전하였다고 한다.
<5> 인티우아타나(Intihuatana)
중앙신전 뒤쪽 조금 높은 곳에는 태양을 묶는 돌기둥이 있다. 잉카인들은 천체의 궤도가 바뀌면 커다란 재앙이 온다고 믿었다고 하며 매년 6월 동지(새해)가 되면 이 ‘인티후아타나’라고 하는 높이 1.8m, 너비 36cm의 돌기둥에 바로 머리 위에 뜬 태양을 붙잡아 매려고 돌기둥에 끈을 매는 의식을 치렀다고 한다.
이곳은 지구의 남반구 쪽이다 보니 양력으로 6월이 한 해의 시작으로 새해 첫날이 되는 것이다.
<6> 태양의 신전과 콘도르 신전
원형의 성채 모양으로 건축된 태양의 신전과 달의 신전은 함께 있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그 아래 지하에는 왕의 무덤이었다는 지하 공간도 있다.
태양의 신전(복원 중) / 콘도르(Condor) 신전 / 지하 묘지(왕의 무덤)
태양의 신전 조금 아래쪽에는 매우 신비한 모습의 콘도르(Condor) 신전이 있다.
크고 삐죽한 두 개의 자연석 바위 위에 벽돌을 쌓았는데 흡사 거대한 콘도르가 날개를 편 모습이다. 그 아래쪽 넓적한 바위 위에는 콘도르의 부리와 눈도 새겨 놓아 멀리서 보면 날개를 활짝 펼친 콘도르 형상이다.
잉카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콘도르에 의하여 그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다고 믿었기 때문에 콘도르를 신성한 새로 여긴다.
신전 옆 바위 밑에는 감옥(監獄)으로 사용하였다는 지하 공간도 보이고 왕의 무덤 터도 보인다.
<7> 계단식 밭과 오두막
언덕 위는 신전건물과 일반인들 집이 있고 그 아래쪽은 빙 돌아가며 계단식 밭이 있는 형태로, 그곳에 서너 채의 오두막집 이 있는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보이지 않으니 농장을 관리하던 집인 모양이다. 그 옆 풀밭에는 남미의 특산종인 알파카(Alpaca)가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어 지극히 목가적(牧歌的)인 장면을 연출하고 있었다.
가파른 경사면에 석축을 쌓아 조성한 긴 띠 모양의 계단식 밭은 그 폭이 좁은 곳은 1m도 되지 않아 너무 좁고 높아서 자칫 실족(失足)하면 목숨이 위태로워 보였다. 가이드는 너무도 위험하니 아마도 죄수들이나 최하층민으로 경작하게 하지 않았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한다며 웃었다.
계단식 밭(흰옷-집사람) / 잉카 트레일 코스 / 아슬아슬한 절벽길
마추픽추의 건축물들을 조사한 고고학자들은 부분적으로 건축시기가 다른 것을 발견하였다고 한다.
주 신전, 태양의 신전 등은 잉카제국이 형성되기 800년 이상 앞서 선사인(先史人)들이 건조한 것으로 판명 났고, 그 위에 잉카인들의 뛰어난 건축기술로 쌓은 것, 또 조잡한 석조기술로 보아 그 이후에 쌓은 것 등 크게 3기(期)의 건축 시기를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대에 따라 도시의 기능도 달랐을 것으로 해석이 될 수 있다고 하며, 정교하고 튼튼하게 쌓은 것은 초기에 쌓은 석축(石築)이고, 조잡하고 엉성하게 쌓은 것일수록 후대에 쌓았다니... 웃긴다.
<8> 와이나픽추(WaynaPicchu)
마추픽추 바로 옆에 우뚝 솟아있는 ‘젊은 봉우리’라는 의미를 지닌 와이나픽추는 높이가 마추픽추보다 100m 정도 더 높아 2,500m 정도로 구름에 싸여있어 신비감을 자아내는데 정상까지 계단식 등산로가 있다.
왕복 2~3시간이 걸린다는 와이나픽추 등산로는 매우 좁고 가팔라서 위험하여 따로 허락을 받아야 한단다.
하필 우리가 도착했을 때 빗방울이 떨어지고, 시간도 촉박하여 우리는 오르지 못하여 몹시 아쉬웠다.
빗속에도 오르는 사람들이 보였는데 아슬아슬하게 절벽 모서리의 등산로를 오르는 모습이 몹시 위태로워 보인다. 까마득히 골짜기 아래로는 아마존(Amazon)을 향하여 힘차게 흐르는 우르밤바(Urubamba)강의 거센 물줄기가 보이고, 고개를 젖혀야 봉우리가 보이는, 빙 둘러싸인 높은 산들은 잉카의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듯 보는 이들을 매료(魅了)시킨다.
가파른 고산지대의 산길을 코카 잎을 씹으며 무거운 짐을 등에 지고 묵묵히 걸어가는 옛 잉카인들의 모습이 눈에 보이는 것 같다. 2시간 남짓 마추픽추의 관광을 끝낸 후 아쉬움을 뒤로하고 다시 버스에 올랐다. 마을로 내려와 점심으로 송어 튀김을 먹었는데 그 특별한 맛 또한 잊을 수 없다.
< 마추픽추 여행 뒷 이야기>
벌새(Hummingbird) / 고산증세(집사람) / 안데스(Andes) 고갯길(해발 4,335m)
우리는 신성(神聖)계곡의 작은 도시 삐삭(Pisac)에서 1박을 했는데 아침에 창을 여니 꽃들 사이로 윙윙거리며 꿀을 찾아 날아다니는 벌새(Hummingbird)들이 보인다. 벌새는 꿀을 먹고 사는 새로 부리가 긴, 꿀벌(蜂)만 한 작은 꼬마 새(鳥)로 너무나 귀여운 모습이다. 붕붕~ 날개소리에 톡톡 직선으로 움직여서 처음에는 벌인줄 알았는데 자세히 보니 새다.
또 놀라운 것은 오얀따이땀보에서 마추픽추 아래 아구아스 깔리엔테스 종착역까지 1시간 30분 정도 걸리는데 1인당 관광열차 탑승비가 77불(10만 원)이란다. 기가 찼지만... 너무나 오고 싶었던 곳이라...
어디 그뿐이랴, 여기서 산 중턱 마추픽추까지 버스로 30분... 1인당 14불(1만 8천 원), 입장료 42불(5만 5천 원)...
삐삭(Pisac)은 해발 2,700m 정도인데도 고산증세로 호흡이 가쁘고 숨이 차는데 이곳 관광을 마치고 하늘 호수 티티카카(Titicaca/해발 3,850m)를 가다보면 안데스산맥을 넘어가는데 여기는 해발 4,335m....
잠시 차를 세우고 아마존(Amazon) 강의 발원이라는 작은 연못을 보러 가는데 어찔어찔하고 호흡이 가쁘다.
삐삭에서 나는 그런대로 참을 수 있었는데 집사람은 못참고 고통을 호소하였더니 호텔에서 산소호흡기를 가져다준다.
마추픽추를 오르는 찻길은 좌우로 지그재그 7~8번 꼬부라지는 길로, 관광을 끝내고 내려오다 보면 귀여운 소년이 ‘헬로’ 하면서 손을 흔든다. 우리도 차창으로 내다보며 같이 손을 흔들고 ‘헬로’...
한 번 꼬부라지고 내려오면 또 길옆에 그 소년이 서서 손을 흔들며 ‘헬로’.... 뛰어 내려왔겠지...
맨 아래 내려올 때까지 7~8번 계속하다가 다 내려오면 버스 문 앞에 서서 인사를 꾸벅하며 다시 ‘헬로~’
관광객들은 너무도 신기하여 소년에게 1달러를 내밀고, 소년은 꾸벅 절을 하고 받고, 받고....
이 소년을 헬로보이(Hello Boy)라고 부르는데 옛날 스페인 통치 시절, 하루에 240km(600리)씩 잉카의 산길을 뛰어다녔다는 파발꾼 차스키(Chasqui)의 후예라고 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