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명절(名節)과 민속(民俗)놀이<2>
<24절기(節期) 1>
또, 한식(寒食)은 보통 4월 5일 또는 4월 6일로,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며 가슴 아픈 개자추(介子推)의 전설이 숨어있는 날이다. 복날(伏日)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있는 세 번의 절기로서 경일(庚日)인데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으로 나누어 불리며 더위가 가장 심한 기간이다.
음력 10월 중의 오일(午日)을 말(馬) 날이라고 하고, 하늘에서 천신이 내려왔다는 날 강신일(降神日)도 있다. 동지 뒤의 셋째 미일(未日)을 납일(臘日), 또는 납향일(臘享日), 납평(臘平), 납(臘)으로도 불린다. 납향(臘享)은 농사 등의 일을 천지신명에게 고하는 제사(祭事/祭日)를 올린다는 의미이다.
24절기의 의미를 조금 덧붙여 본다.
(1) 입춘(立春):양력 2월 4일경, 음력 1월로, 봄이 시작되는 날이다.
가정에서는 콩을 문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대문 기둥, 대들보, 천장 등에 좋은 글귀를 써 붙인다. 마을에서는 공동으로 입춘굿을 크게 하고 농사의 기초인 보리 뿌리를 뽑아 풍흉(豐凶)을 점쳤다.
2) 우수(雨水):양력 2월 19일경, 음력 1월로,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뜻이다.
이때면 대동강(大同江) 얼음이 풀리고 물고기가 올라오며, 기러기는 다시 추운 지방을 찾아 떠난다.
(3) 경칩(驚蟄):양력 3월 6일경, 음력은 2월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
이때 보리싹의 성장을 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豐凶)을 가늠했으며, 개구리나 도롱뇽 알을 먹으면 건강에 좋다 하여 먹는 풍습이 있었다. 또, 1년 동안의 빈대(Bed Bug)를 모두 잡기 위해 흙담을 쌓거나,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두기도 했다.
(4) 춘분(春分):양력 3월 21일경, 음력 2월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이다.
농촌 지역에서는 흙을 일구고 씨 뿌릴 준비를 한다. 그러나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는 속담이 있듯이 바람이 강해 매우 추운 날도 있는데 이런 추위를 흔히 꽃샘추위라 하였다.
(5) 청명(淸明):양력 4월 6일경, 음력 3월로, 봄이 되어 삼라만상(森羅萬象)이 맑고 밝으며 날씨가 화창해 나무를 심기에 적당한 시기이다. 대부분 한식(寒食)날과 겹친다. 농사를 준비하기 위해 논밭 둑을 손질하고, 못자리판을 만들기도 하는 날이다.
(6) 곡우(穀雨):양력 4월 20일경, 음력 3월로, 봄비가 내려 작물에 싹이 트고 농사가 시작된다.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므로 사람들은 수액(樹液)을 먹으러 깊은 산이나 명산을 찾기도 한다. 봄나들이를 가서 수액을 받기 위해 나무 밑에 홈을 파고 통을 매달아 놓으면 수액이 흘러넘친다.
(7) 입하(立夏):양력 5월 5일경, 음력 4월로, 이때부터 여름이 시작된다.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며, 해충과 잡초가 많아져 농가 일손이 바빠지는 계절이다.
(8) 소만(小滿):양력 5월 21일경, 음력 4월로, 햇볕이 충만하고 만물(萬物)이 자라서 가득 차게 된다는 뜻이 소만(小滿)으로, 초여름 모내기가 시작된다.
(9) 망종(芒種):양력 6월 6일경, 음력 4·5월로, 논보리나 벼 등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씨를 뿌리는 시기이다. 이 시기가 끝날 때까지 밭보리를 베어 햇보리 밥을 먹게 되며, 논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으로 농사일이 가장 바쁜 시기이다.
아이들은 보리 이삭줍기에 바쁘다. 밤이슬을 맞은 보리를 먹으면 1년 동안 허리가 아프지 않고,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배탈이 없다는 말도 있었다.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 하여 망종의 시기로 풍흉(豐凶)을 점치기도 했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음력 4월 중에 망종(芒種)이 들어야 좋다고 했다.
(10) 하지(夏至):양력 6월 21일경, 음력 5월로, 12시면 태양이 가장 높게 있어 북반구에서는 낮 시간이 1년 중 가장 길고, 일사량(日射量)도 가장 많은 날이다. 햇감자가 나오는 시기인데 이 시기가 지날 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마을마다 기우제(祈雨祭)를 올렸다.
(11) 소서(小暑):양력 7월 7일경, 음력 6월로, 한국은 장마전선이 걸쳐 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이다.
농사에 쓸 퇴비를 준비하고 논두렁, 밭두렁에서 잡초를 뽑는 시기인데 소서(小暑)는 ‘작은 더위’라는 뜻.
(12) 대서(大暑):양력 7월 23일경, 음력 6월로, 더위가 극도에 달한다. 대부분 중복과 겹치며, 장마전선으로 비가 자주 온다. 대서(大暑)는 ‘큰 더위’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