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성리학의 수용으로 나타난 결과가 아닌것은?
1.성리학이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채택되었다
이게 답인데요. 채택이라는 말때문에 틀린건가요? 성리학이 새로운국가 사회의 지도 이념으로 등장하였다고 하면 맞는거죠?
그리고 정통의식과 대의명분을 중시하는 사학이 나타났다.
이거 그예로 보통 이제현 의 사략 이 있잖아요. 사학이 =성리학이랑 연관이 되나요?
..햇빛을 받아 주몽을 낳으니 이때가 계해년이다~~~~~~~~~~어쩌고 저쩌고
다음 내용이 실려있는 저서로 바른것은?
이거 이규보의 동명왕편이 잖아요.근데 동국이상국집도 있는데 이규보의 동평왕편이 실려있는저서 라고 해야 동국이상국집을 채택해야하죠?
부족한게 많아서 그런지 헷갈리는게 무지 많네요..답변 부탁드려요.^ㅡ^
첫댓글 님의 말이 다 맞는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