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8호선이 다른 노선에 비해 너무 짧고 복정~모란 구간에서 성남을 빙 두르는 구조라 남쪽으로 연장한들 돈다 생각하여 연장을 안하고 있는것같습니다. 그래서 현재 판교역까지 연장하기로 한것 같지만 저는 판교역이 아닌 GTX성남역으로, 그리고 기왕 한거 남쪽으로 그간 교통이 안좋던 쪽으로 보내봤습니다.

1. 모란역 다음의 삼평(탄천종합운동장)역; 벌말사거리에 위치
삼평동주민들과 야탑동,이매동주민 이용 주변 지하철이용인구 약 6만명(26144+18605+27618)

2. 삼평역 다음의 성남역 (GTX성남역 예정, 성남여주선과 환승) 그리고 그 다음역인 서현역(분당선과 환승)
성남역에는 성남여주선을 타고 여주이천광주 사람들이 잠실로 나가고자 할때, 그리고 주변 이매동과 백현동 삼평동이있고 서판교사람들도 성남역을 이용합니다.
서현역은 분당의 중심이며 최대 유흥지입니다. 8호선을 타고 많은 사람들이 서현역을 더 쉽게 이용할것 같고 분당선과 환승이 됩니다.

3.샛별역: 샛별사거리 위치 분당내부의 중심이라 버스가 굉장히 많지만 상대적으로 샛별마을은 지하철을 이용하기엔 다소 불편했습니다. 버스와의 연계효과도 노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수내동분당동정자동 주민들이용

4.분당서울대병원역 8호선 연장의 핵심!!!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병원 및 장례식장으로 외부에서 정말 많이 방문객이 찾고 출퇴근 간호사 및 직원들로 꼭 역이 필요하다 느꼈습니다. 그리고 기존 버스의 경우 샛별역의 샛별사거리에서 버스를 타고가면 30분이 넘게 소요되는데, 샛별역과 분당서울대병원역은 1정거장으로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습니다. 분당이 아닌 타지 사람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곳이 분당서울대병원인데 기존에는 지하철이 없어 미금역에서 버스를타고 15분걸려 서울대병원에 도착하였지만 미금역은 사거리로 버스를 타기에도 많이 힘들었습니다. 8호선이 서울대병원을 지나면 굉장히 편해질것 같습니다.

5. 분당서울대병원 다음역으로는 불곡산입구역 구미동역이 있습니다. 이들 지역도 지하철과 다소 멀었던 지역입니다.
그리고 분당선과 환승이 되는 오리역 다음으로 신분당선 예정지인 동천역입니다. 수지에서 분당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버스를 탈경우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1시간은 소요되었는데 8호선이 분당 내부로 들어가면서 많이 줄어들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수지및 분당 판교 그리고 모란쪽 성남사람들의 GTX이용이 획기적으로 편해질것입니다. 성남여주선은 서판교와 판교 여주의 연결로 분당과 성남을 GTX역으로는 연결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8호선의 연장으로 GTX 접근이 매우 향상됩니다.
기존 수지에서 분당내부로(가깝지만 교통이 안좋아 1시간 이상소요), -8호선 연장후 버스가 많은 구미동역(3분)이나 샛별역(10분)에서 버스를 타면 분당으로는 30분이면 전지역을 갈 것이다.
구미동에서 서현역 기존에는 30분소요 지하철 연장후 8분
샛별역에서 서울대병원역 기존의 51번버스를 타면 한번에 가지만 30-40분 소요. 8호선연장후 3분
성남에서 서현역 기존에는 모란역에서 굉장히 긴 환승을 통해야만했지만 8호선연장후 한번에 도착
또한 8호선연장으로 판교와 구미동에서 분당구청(서현역)으로의 진입이 쉬워진다.
판교에서 분당서울대병원 380번버스를 타고 40분소요. 한번에가지만 거리가 멀어 오래걸린다. 8호선연장후 10분소요.
이처럼 분당과 분당 그리고 분당과 분당 주변지역을 빠르게 연결해줍니다. 버스로는 한계가 있었던 부분이죠. 8호선을 모란이 아닌
수지까지 연장하는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첫댓글 삼평역-성남역(GTX)-서현역(분당선)-샛별역-분당서울대병원역-불곡산입구역-구미동역-오리역(분당선)-동천역(신분당선)입니다.
꿈같은 얘기지요. 경기도에서 요청을 한다해도 서울시에서 난색을 표명할듯합니다. . . 경기도에서 건설부터 운영비까지 준다면 가능하겠지만요. .
지금 모란역까지밖에 없는게 너무 아쉽네요ㅠㅠ
차라리 과천을 거쳐 광명까지 연장하는게 어떨까요?
판교에서 과천이랑 광명쪽은 성남여주선에 이어지는 월곶판교선이 (판교 서판교 운중동 인덕원 광명역까지를 잇는구간) 이미 개통예정이라서요.
모란역-성남시청역-삼평역-성남역-판교역-운중동역-기상동호역-은곡역-서한을역-인덕원역-동안양역-군촌역-안양역-광곡역-광명역-남오류동역-광명네거리역-오류동역-양평역-굴천역-가양역-행신지하역-행신역(경의선)-능곡역- 대곡역-규로역(8호선)-서오릉역-서벽제역-벽제역-삼릉역-소승역-신현역-강현사거리역-명지사거리역-일영사거리역-수포역-양주역-양락역-세평역-관포역-정부의정부청사역-수오룡역-명천역-동발곡역-강북신흥역-광서역-일룡역-북별내-별정역-별내역으로 순환망 도시광역철도망 형성하는 것이 낮다고 보이는데 오히려 님은 남쪽으로 쭉연장하는 듯 이노선을 계속연장하다 보면 어느새 천안경유하게 되는데
남쪽으로 어디까지 연장하려는지를 자세히 알려준다면 좋습니다.
@☆金勝進☆ 일단은 수지 중에서도 가장 북쪽끝인 동천역까지입니다. 하지만 수지내부 광교 수원시내까지나 수지내부 광교 경희대수원캠퍼스 동탄지구 이렇게 연장도 괜찮다고 봅니다
그리고 성남역-판교역-중판교역-서판교역~과천 인덕원~안양~광명구간은 이미 성남여주선과 연계될 월곶판교선의 구간과 겹치네요
@황금바가지 보면 그노선을 아마 지제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하면 않될지 한번 고려를 해보셨는지...
GTX 성남역은 판교역으로 환승처리 가능하게 되는거 아니었나요? 그리고 시흥동에 제2판교테크노밸리 생기기로 되었으니 거기 경유해서 판교역까진 충분히 타당성이 나올 듯..
성남역에서 판교역까지가 800m가 넘어서요... 통로만 만들면 환승이야 되겠지만... 성남여주선도 그래서 이매역 성남역 판교역 이렇게 따로서게 된데요!!!
서현역까지 연장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충분한 네트워크 효과가 있을듯 합니다.
전 최소한은 분당서울대병원역이라 생각합니다. 서울대병원을 방문하는 위문객 조문객들도 굉장히 많으신데 서울대병원역까지만의 연장이라도 돼야한다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