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신분당선은 정자-강남으로 구간이 너무 짧아 그 진가를 아직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생각합니다. 신분당선 북부 연장을 가지고 용산이냐 시청이냐 가지고 논란이 많은데 저는 그냥 한남역에서 분기하여 용산역과 시청역 양방향으로 모두 나아가게 했고 더 나아가 용산방향으로는 여의도를 통해 인천 청라지구까지 연장해보았습니다. 또한 신분당선이 적은 정류장 빠른 연결이므로 최대한 역을 줄이도록 노력했습니다.

1.대략적인 그림입니다. 현재 강남역까지 밖에 없는 모습이 너무 아쉽습니다. 적어도 강남에서 신사역까지만 빠르게 연장되었으면 합니다. 짧은 구간임에도 9호선 7호선 3호선과 환승이되어 연계효과가 클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강남-신논현-논현신사 로 3호선신사역과 7호선 논현역을 하나도 합쳐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2.먼저 서울도심방향부터 신사역-한남역-한강진역-회현역 입니다. 모두 환승역이고 빠른 이동을 위해 정차역을 최소화합니다.

3.회현역-시청역-광화문(경복궁)역 5호선광화문역과 3호선 경복궁역을 하나로 합쳐도 될것같습니다.

4.광화문(경복궁)역 다음의 부암역입니다.

5.상명대입구역

6. 6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독바위역

7.은평뉴타운역

8.지축역으로 신분당선 시청방향연장은 끝입니다.

10.논현신사역-한남역-보광역-용산역 3호선신사역과 7호선논현역을 합쳣듯 4호선신용산역과 1호선 용산역을 용산역으로 합칩니다.

11.5호선 9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여의도역 다음으로 영등포구청역입니다.(영등포시장역은 지나가지만 서지는 않습니다.)

12.목동운동장역(양천우체국삼거리)-매봉산역-까치산역 입니다. 까치산역 다음으로는 위 사진의 이미지 말고 아래사진의 이미지가 맞습니다.

13.까치산역 다음의 신월역-고강역-원종역- 오정구청역 입니다. 이구간에서는 새로 건설되는 역이 많습니다. 신월, 고강, 원종 역은 모두 사거리 번화가에 위치해있어 접근이 편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간 교통이 불편했는데 신분당선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

14.계양경기장역-작전역

15.루원역(조만간 개통될 인천2호선과 환승됩니다.)

16.청라역-청라호수공원역-청라국제무역도시역으로 신분당선 용산방면은 청라까지 연장되어 끝납니다.
1.시청방향은 수원-수지-분당-판교-강남-한남-시청-부암동(평창동..)-은평-삼송지구 를 연결해줍니다.
2.용산방햔은 수원-수지-분당-판교-강남-용산-여의도-목동-부천-인천-청라지구 를 연결해줍니다.
첫댓글 1.시청방향
미금-정자-판교-청계산입구-양재시민의숲-양재-강남-신논현-논현신사-한남-한강진-회현-시청-광화문(경복궁)-부암-싱명대입구-독바위-은평뉴타운-지축
미금~지축까지 18정거장으로 50분정도 소요될것같습니다.
2.용산방향
미금-정자-판교-청계산입구-양재시민의숲-양재-강남-신논현-논현신사-한남-보광-용산-여의도-영등포구청-목동운동장-매봉산-까치산-신월-고강-원종-오정구청-계양경기장-작전-루원-청라-청라호수공원-청라국제도시
미금~청라국제도시 까지 26정거장으로 약 1시간정도 소요될것 같습니다.
조언, 평가 등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대충 그린거지만 좋게 봐주세요ㅎㅎ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 군부대가 저자리에 있는지 몰랐네요ㅠㅠ
근ㄷ 용산미군기지 평택으로 옮기지 않나요..? 옮긴다고 들었던거같아서요
@황금바가지 옮긴다고 했고 옮기고 있지만 아직도 남아있는 인원이 많습니다(서울이 평택보다는 여러면에서 나으니까요) 완전히 이전하고나서 점검이후에야 가능할 것입니다
@하남역 그러겠네요ㅎㅎ 그럼 일단은 광화문(경복궁) 방향으로까지만 먼저 뚫고 청라에서 여의도를 거쳐 용산까지 따로 용산선으로 공사하는게 날것같네요. 용산 지도를 보면 당연 서울에서 중심이라 생각합니다. 언제일지는 ㅂ모르겠지만 반드시 언젠가 개발될것이고요. 용산부분의 개통은 용산을 개발하면서 생각하기로 두는것도 좋을것같네요
청라쪽은 한강을 두번 건너야 하는데 수요에 비해 효율이 극히 떨어질 것 같습니다.
인천1호선과 환승되는 지역부터 논현역까지 비교를 해보면
기존의 7호선은 부평구청(인천1)~논현(7) 27개역 1시간이 소요 되지만
신분당선 작전(인천1)~논현(7) 14개역 40분 소요 예상 으로
경쟁력이 있을것같습니다. 그리고 지나가는 곳도 사람이 없는지역이 아닌 목동 영등포 여의도 용산 강남 큼직한 곳들을 연결하여 서로 간의 접근도 향상되어 단순히 청라~강남 연결이 아닌 다른 서울 중요지 연결까지 되어 좋을것같단 생각이 듭니다
@황금바가지 모든 것을 본인의 의지로만 생각을 하는 군요. 한남대교 건너서 고작 두 정거장 지나서 다시 한강을 건너야 하는데, 그러느니 아예 한강을 왔다 갔다 건너지 말고 강남으로 이동하는 것이 훨 나을거란 예깁니다. 뭐 이미 9호선이 다니긴 합니다만.
@디에스김 그렇ㄱ 보였나요..ㅠ 용산이 향후 서울의 분명한 중심이 될거라 생각하고 (시청-용산-강남 이렇게 되고 용산이 최고중심일것같아요) 용산을 서울 모든 방향으로 연결해 보려다 그렇게 된거같아요ㅠㅠ.
인천-여의도-용산-강남
수원(광교)-분당(판교)-강남-용산-시청 모두 굵직굵직한 곳들이라 연결의 필요성을 느꼈던거 같습니다. 불편하셨다면 죄송합니다.
분기를 하면 분기이후 배차간격이 2배로 벌어지니 가급적 지양해야한다고 봅니다.
청라같은경우는 대부분 9호선 및 공항철도로 커버가 가능하니 굳이 연장할 이유도없고요. 부천구간도 소사대곡선과 김포공항역을 이용해서 커버가 가능하지않을까 봅니다만.
그럴수도 있겠네요ㅎㅎ 그럼 신분당선은 용산쪽말구 시청방향으로 연결하는게 좋을것같네요. 그리고 용산방향은 향후 용산개발이 구체화되면 그때 생각해봐도 나쁘지않을것같습니다.
한남대교에서 시청으로 가는방향은 무조건 뚫는다고 능사가 아닙니다. 남산밑으로 뚫는것 자체가 서울시의 협의도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청쪽과 경복궁쪽의 교통난도 큰 요소고요. 산 아래로 간다는 것 자체가 그리 쉬운 공사도 아닐 뿐만 아니라 남산이 서울의 상징인점도 생각해야하고 광화문연장안은 예전부터도 많이 나왓었죠.
아 산밑으로 공사하는게 어려운거였군요. 그냥 터널뚫면 되는건줄알았어요...
한남에서 최대한 적은 역을 정차하여 광화문까지 연결하는데 초점을 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