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감시황]
- 코스피시장-
6/8 KOSPI 2,610.85(-0.18%) 외국인 순매도(-), Fed 추가 긴축 우려 부각(-), 기관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상, Fed 추가 긴축 우려 등에 혼조, 유럽 주요국 증시는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609.21(-6.39P, -0.24%)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2,612.39(-3.21P, -0.1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낙폭을 더욱 키웠고, 장 후반 2,595.33(-20.27P, -0.77%)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장 막판 낙폭을 줄였고, 결국 2,610.85(-4.75P, -0.18%)에서 거래를 마감.
선물·옵션 동시만기일을 맞은 가운데, 외국인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4거래일만에 하락. 외국인은 사흘 연속 순매도. 반면,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 개인도 4거래일만에 순매수.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상 속 Fed 추가 금리 인상 우려 등이 증시 전반에 하락 압력으로 작용. 다만, 만기일에 따른 수급 변동성 확대로 장 후반 외국인 선물 순매수 규모 확대 등으로 코스피지수의 낙폭은 일부 축소.
지난밤 캐나다 중앙은행(BOC)은 기준금리를 25bp 추가 인상. 이는 2001년 이후 2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시장 예상을 뒤엎는 결정. 시장에서는 4월 캐나다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4.4%로 목표치(2.0%)를 크게 상회하면서 빠르게 긴축 기조로 전환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최근 호주 중앙은행(RBA)이 시장 예상과 달리 깜짝 금리 인상에 나선데 이어 캐나다 중앙은행(BOC)도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 이에 현지시간으로 13~14일로 예정된 FOMC에서 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시장 예상이 빗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
한편, FOMC 회의 결과 발표 전일인 13일 美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 시장에서는 전월대비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변동성이 심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계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하락했고, 중국은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3,924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642억, 3,177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5,084계약, 2,229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8,290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1원 하락한 1,303.7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7.2bp 상승한 3.543%, 10년물은 전일 대비 11.0bp 상승한 3.63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3틱 내린 104.10 마감. 금융투자와 은행이 각각 5,798계약, 2,304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7,467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98틱 내린 111.35 마감. 외국인이 15,041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1,281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SK이노베이션(-4.07%), NAVER(-2.20%), LG에너지솔루션(-2.15%), 카카오(-1.57%), 셀트리온(-1.29%), LG화학(-1.21%), 삼성SDI(-0.82%), 삼성물산(-0.81%), 기아(-0.73%), 삼성전자(-0.14%) 등이 하락. 반면, SK하이닉스(+1.57%), LG전자(+0.80%), LG(+0.55%), 신한지주(+0.28%), 현대모비스(+0.23%), 현대차(+0.15%), KB금융(+0.1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서비스(-0.91%), 섬유/의복(-0.40%), 의약품(-0.36%), 전기/전자(-0.35%), 종이/목재(-0.33%), 화학(-0.27%), 제조(-0.23%), 음식료(-0.22%), 통신(-0.22%) 등이 하락. 반면, 운수창고(+1.58%), 보험(+1.41%), 기계(+1.14%), 유통(+1.10%), 건설(+0.34%), 의료정밀(+0.22%), 철강/금속(+0.14%), 증권(+0.07%), 전기가스(+0.06%)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610.85P(-4.75P/-0.18%)
- 코스닥시장-
6/8 KOSDAQ 876.13(-0.52%) 외국인·기관 순매도(-), Fed 추가 긴축 우려 부각(-)
지난밤 뉴욕증시가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상, Fed 추가 긴축 우려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78.86(-1.86P, -0.21%)으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879.44(-1.28P, -0.15%)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오전중 877선 부근에서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였음.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키웠고, 871.50(-9.22P, -1.0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장 막판 낙폭을 다소 줄여 결국 876.13(-4.59P, -0.52%)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7거래일만에 하락. 전일 2,000억 넘는 순매수를 보였던 외국인은 금일 2,300억 넘는 순매도를 기록, 기관은 4거래일만에 순매도. 캐나다 중앙은행(BOC)이 깜짝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Fed의 추가 긴축 우려 등이 시장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
에코프로비엠(-0.93%), 에코프로(-0.60%), 엘앤에프(-3.76%) 등 시총 상위 2차전지 종목들이 하락. 셀트리온헬스케어(-2.30%), 셀트리온제약(-2.46%), 알테오젠(-2.80%) 등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 종목들도 하락. 금일 신규 상장한 마녀공장(+30.00%)이 상한가, 석경에이티(+29.81%)는 올해 호실적 전망 및 2차전지 소재 사업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한가.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331억, 178억 순매도, 개인은 2,54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엘앤에프(-3.76%), 알테오젠(-2.80%), 셀트리온제약(-2.46%), 셀트리온헬스케어(-2.30%), 레인보우로보틱스(-1.80%), 스튜디오드래곤(-1.24%), 에코프로비엠(-0.93%), 리노공업(-0.90%), 에코프로(-0.60%), HPSP(-0.55%) 등이 하락. 반면, 메디톡스(+3.29%), JYP Ent.(+0.63%), 카카오게임즈(+0.63%), 케어젠(+0.15%), 에스엠(+0.10%)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소프트웨어(-1.48%), 일반전기전자(-1.32%), 유통(-1.30%), 기타제조(-0.94%), 인터넷(-0.85%), 운송(-0.84%), 기타서비스(-0.79%), 출판/매체복제(-0.74%), 기계/장비(-0.72%), IT S/W & SVC(-0.72%), 금속(-0.67%), 오락문화(-0.66%), IT부품(-0.65%) 등이 하락. 반면, 의료/정밀기기(+0.93%), 컴퓨터서비스(+0.50%), 음식료/담배(+0.49%), 섬유/의류(+0.46%), 반도체(+0.44%), 정보기기(+0.17%), 통신서비스(+0.07%), IT H/W(+0.07%)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76.13P(-4.59P/-0.52%)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정부, 반도체 초격차 기술확보에 대규모 투자 소식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글로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부각 속 생명보험/ 손해보험/ 은행 테마 상승. ▷OECD, 4년간 우크라이나 개혁·재건 지원 약속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등의 테마도 상승. ▷우크라이나 댐 붕괴에 따른 전세계 식량난 심화 우려 등에 비료/ 사료/ 농업/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미용기기 시장 확대에 따른수혜 전망 등에 미용기기 테마 상승. ▷美, SMR 포함 원전 정책 강화 전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영국, 정부 민감 시설서 중국산 CCTV 철거 예정 소식에 일부 CCTV&DVR 테마 상승. ▷애플페이에 KB·신한·우리 합류 소식 속 일부 애플페이 테마 상승. ▷역대급 장마 예고 속 제습기 판매 증가 소식 등에 제습기/ 태풍 및 장마 테마 상승. ▷이 외 종합상사, 밥솥,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셰일가스,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마켓컬리(kurly), U-Healthcare(원격진료), 탈모 치료, 자원개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공기청정기, 국내 상장 중국기업, 키오스크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애플 '비전 프로' 일부 비판 등에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하락. ▷美 가상자산 규제·긴축 우려 속 가상화폐 가격 약세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하락. ▷글로벌 추가 금리 인상 우려 등에 인터넷 대표주, 2차전지,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 대표적 성장 테마 하락. ▷삼성·애플, 2분기 스마트폰 감산 전망 속 스마트폰, 휴대폰부품, 폴더블폰, 아이폰 테마 하락. ▷뉴욕시, 현대차·기아에 소송 제기 여파 지속, 자동차 개소세 인하 이달말 종료 소식 속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이 외 희귀금속(희토류 등), 마리화나(대마), 페라이트, AI 챗봇(챗GPT 등), 양자암호, 터치패널, 유전자 치료제/분석, SNS, 캐릭터상품, 엠폭스(원숭이두창),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PCB(FPCB 등), 카메라모듈/부품, 전자결제(전자화폐), 리튬, 정유, 핀테크, 모바일솔루션,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음성인식, 보안주(물리),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반도체 관련주 | 정부,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에 대규모 투자 소식에 상승 |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1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반도체 국가전략회의'에서 지난해 7월 발표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 지난 3월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 등을 점검하고 이를 구체화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음. 이번에 논의된 의제는 메모리 초격차의 지속 가능성,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확보전략,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기술·인력 확보 방안 등 크게 세가지임. ▷이와 관련, 정부는 메모리 반도체 초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PIM(Processing In Memory)설계기술과 첨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에 오는 2028년까지 총 4,000억원을 투입하며,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사업에 오는 2029년까지 총 1조96억원 등을 투자할 예정. 아울러 전력반도체와 차량용반도체, 첨단패키지 등 유망 반도체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약 1조4,000억원 규모의 예타도 추진할 예정. 또한, 올해 하반기 소부장·팹리스 투자 활성화를 위한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전용 펀드를 출범시킬 예정이며, 올해 5,000억원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총 2조8,000억원 규모의 정책 금융을 지원할 계획임. ▷이 같은 소식에 SK하이닉스, 하나마이크론, SFA반도체, 한미반도체, 하나머티리얼즈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 |
생명보험/ 손해보험/ 은행 | 글로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부각 속 상승 |
▷최근 호주중앙은행(RBA)이 시장 예상과 달리 깜짝 금리 인상에 나선데 이어 캐나다중앙은행(BOC)도 전일(현지시간)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Fed 등 글로벌중앙은행들의 추가 긴축 우려가 부각되고 있음. 캐나다중앙은행(BOC)는 기준금리를 기존 4.50%에서 4.75%로 0.25%p 인상했으며, 이는 2001년이후 2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시장 예상을 뒤엎는 결정임. 이 같은 소식에 다음주 FOMC 회의를 앞두고 Fed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높아졌으며, 금리 동결 가능성은 큰 폭으로 하락했음. ▷이상형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이날 열린 ‘2023년 6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에서 물가 전망이나 Fed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있다며, 금리인상 기조가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음. 이 부총재보는 최근 금리인상 결정을 내린 호주와 캐나다 중앙은행 결정과 관련해 우리나라는 물가가 예상 경로대로 흘러가고 있다며 다른 상황이라고 설명하면서도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고 강조했으며, 경기나 금융 안정 상황, Fed 통화정책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앞으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미래에셋생명, 한화생명, 삼성화재, 롯데손해보험 등 보험 테마와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등 일부 은행 테마가 상승. 특히, 미래에셋생명은 미래에셋그룹의 공개매수 추진설도 전해짐. ▷반면, 카카오, NAVER등 인터넷 대표주,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엠플러스, 엘앤에프 등 2차전지 등 대표적 성장 테마들은 하락. | |
우크라이나 재건 | OECD, 4년간 우크라이나 개혁·재건 지원 약속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러시아의 침공에 맞서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개혁과 재건을 돕는 4년짜리 국가 지원 프로그램을가동할 것으로 알려짐. 해당 프로그램에는 우크라이나의 재건과 복원에 초점을 맞추면서 제도를 손보고, 부패를 척결하며, 국민을 위한 장기적인 복지의 토대를 만든다는 내용 등이 담겼으며, 이 프로그램은 우크라이나가 OECD 회원국이 될 수 있는 정책과 관행을 갖추고, 한 걸음 더나아가 유럽연합(EU)에 가입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로 전해짐. ▷한편, 현지시간으로 오는 21~22일 영국 런던에서는 제2차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가 개최될 예정. ▷이 같은 소식에 대모, 에스와이, HD현대건설기계, 대양전기공업, HD현대인프라코어 등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가 상승. | |
비료/ 사료/ 농업/ 음식료업종 | 우크라이나 댐 붕괴에 따른 전세계 식량난 심화 우려 등에 상승 |
▷현지시간으로 5일 우크라이나 카호우카 댐 붕괴로 전 세계 식량난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확대되는 모습. 파괴된 댐은 세계 3대 곡창지대가 있는 우크라이나 남부에 식수와 농업수를 공급해왔으며, 댐이 폭파된 지역에서는 앞으로 3년간 농사를 지을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마르틴 프리크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독일담당 사무국장은 "(댐 붕괴로 인한) 대규모 홍수로 새로 심은 곡물이 파괴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곡물은 기아에 시달리는 전 세계 3억4,500만명의 생명선이었으나 그 희망이 사라지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미래생명자원, 한일사료, 누보, 인바이오 등 비료/사료/농업/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 |
제습기 | 역대급 장마 예고 속 제습기 판매 증가 소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올여름 역대급 장마가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5월 제습기 판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음. 전일 티몬은 5월한 달 계절 가전 거래액이 전년동월대비 73% 늘었다고 밝힘. 수요가 몰린 품목은 제습기로, 거래액 증가폭이 지난해와 비교해 13배(1,241%)에 달했고, 구매 고객 수 역시 1,191% 급증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제습기뿐 아니라 장마철 대비를 위한 연관 상품의 판매도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위닉스, 쿠쿠홈시스 등 제습기 테마가 상승. | |
미용기기 | 미용기기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 전망 등에 상승 |
▷삼성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에너지 기반 미용기기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부작용과 빠른 회복 속도 덕분에 피부과의 대표 시술로 자리잡았다고 밝힘. 비단 환자의 편의성뿐만 아니라병원의 입장에서도 1년 전후의 기간으로 장비 도입 비용을 회수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른 회전율의 시술이 제공 가능한 점 덕분에 팬데믹 기간을 거치며 비약적인 성장성을 보여주었다고 밝힘. 이에 기존 보톡스/필러 등 대표 시술들과의 조합을 통해 환자들에게 포괄적인 안티 에이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구조적인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국내 업체들을 비롯한 중고가-중저가 미용기기 업체들의 진출과 비침습 시술의 구조적 수요 성장으로 글로벌 에너지 기반 미용기기 시장은 2021년 27억 달러에서 2030년 63억 달러로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메디톡스, 클래시스, 루트로닉, 하이로닉 등 미용기기 테마가 상승. | |
원자력발전 | 美, SMR 포함 원전 정책 강화 전망 등에 상승 |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바이든 행정부가 SMR(소형모듈원전)을 포함한 원자력 발전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며, 미국 에너지부(DOE)에서 발간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2050년까지 신규 원전 200GW를 건설할 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밝힘. ▷한국은 이런 미국과의 중장기 협력을 이뤄낼 수 있는 유일한 국가라며, 현재는 Westinghouse와 한국전력 사이 분쟁이 있지만, 놓여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원만한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이에 하반기 원전 산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힘. ▷이에 금일 LS ELECTRIC, 오르비텍, 두산에너빌리티, 제일테크노스, 디케이락, 한전기술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 |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Metaverse) | 애플 '비전 프로' 일부 비판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애플의 야심작인 '비전 프로'의 비싼 가격이나 착용 시 무게감 등으로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비전 프로 가격은 최저 3,499달러(약 456만원)으로 당초 예상 가격인 3,000달러보다 훨씬 높은 가격이 책정. 美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는 비전 프로 가격에 대해 "3,500달러는 소비자 가격이 아니다"라고 꼬집었으며, 생동감 넘치는 사용 환경을 제공해 혁신적인 제품으로 여겨지지만 다소 무거운 기기를 유선으로번거롭게 사용해야 하는 등 휴대성이 좋지 않다는 반응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짐. ▷한편, 키움증권은 리포트를 통해 높은 판가, 무게 등의 한계를 감안할 때 첫 해 판매량은 100만대 미만일 것이며, Vision Pro 출시를 계기로 XR 기기 생태계가 활성화되고, 가상현실 대비 증강현실이 부상하겠지만, 대중화를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차별적 활용도, 휴대성 및 디자인, 가격 등에 대한 고민과 혁신이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 ▷이와 관련 라온텍, 맥스트, 하이소닉, 비트나인, 스코넥 등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Metaverse) 테마가 하락. |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美 가상자산 규제·긴축 우려 속 가상화폐 가격 약세 등에 하락 |
▷외신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바이낸스 불법 해외유출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고객자금 유용 등의 혐의로 제소된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미국 은행 2곳을 이용해 수십억 달러를 전 세계로 옮겨 놓은 사실을 밝혀냈으며, 앞서 SEC는 법인 바이낸스와 최고경영자(CEO) 자오창펑을 투자자 자금 사취와 각종 자금의 부적절한 혼합, 미등록 브로커 등 혐의로 워싱턴DC 연방법원에 제소한 바 있음. 아울러 SEC는 코인베이스가 투자자 보호를 위한 공개 의무 등을 회피했다며 제소했음. 코인베이스에 대해서는 증권법 적용 대상이지만, 의도적으로 등록하지 않고 거래소를 운영했다는 혐의를 적용했으며, SEC는 코인베이스에서 거래되는 최소 13개 코인이 증권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짐. ▷또한, 호주 중앙은행에 이어 캐나다 중앙은행이 깜짝 금리인상에 나서면서 글로벌 추가 긴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주요 가상화폐 가격이 하락세를 보임. 코인마켓캡에서 오후 4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대비 2% 가량 하락한 26,420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에서는 3,490만원 선에서 움직이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제이씨현시스템, 매커스, 케이피엠테크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
[특징 종목]
특징종목 | 이슈요약 |
메타랩스 (090370) 3,140원 (+22.90%) | 하지성 신임 대표 선임에 따른 탈모 헬스케어 성장 기대감 속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7일 열린 이사회를 통해 하지성 화장품 사업부문 대표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신임 대표이사 선임을 통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국내 1,2위 모발이식 중점 진료 병원들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신임 대표의 폭넓은 네트워크 역량을 통해 국내외 헬스케어, IT 대기업 등과 의료기기 개발, 의약품 개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브랜드 라이선스 사업 등 다양한 탈모 관련 신사업에 진출한다는 계획으로 전해짐. | |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38,700원 (+16.04%) | 종속회사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현대차 eM(JG EV)차세대 전기차 전용플랫폼 구동모터코아 공급업체 선정에 급등 |
▷종속회사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현대자동차 eM(JG EV)차세대 전기차 전용플랫폼 구동모터코아 공급업체로 선정 공시. 2025년부터 2034년까지 총 250만대에 대하여 납품 예정임. | |
금양 (001570) 57,000원 (+9.20%) | 523.32억원 규모 몽골 현지 광산 탐사 및 개발업체 주식 신규 취득 결정에 급등 |
▷기존 광물 개발 및 리튬 탐사 및 개발 목적으로 MONLAA LLC 주식 6,680주를 523.32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40.05%, 취득예정일:2023-07-17) 공시. ▷상기 결정은 당사의 해외자원 탐사및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 증대와 리튬 탐사 및 개발을 통한 이차전지 Value Chain 중 원재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몽골 현지 광산 탐사 및 개발 회사인 "MONLAA LLC"의 자본금 증자(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건이라고 밝힘. | |
미래에셋생명 (085620) 3,480원 (+6.42%) | 미래에셋그룹, 동사 공개매수 추진설에 강세 |
▷언론에 따르면, 미래에셋그룹이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동사의 공개매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다만, 미래에셋그룹 관계자는 "동사 주식을 공개매수를 추진한다는설은 사실이 아니다"며 "생명보험사를 완전자회사로 편입하면 순자본비율(NCR) 감소 우려가 있어 검토한 적조차 없다"고 밝힘. ▷다만, 미래에셋그룹 관계자는 "미래에셋생명 주식을 공개매수를 추진한다는 설은 사실이 아니다"며 "생명보험사를 완전자회사로 편입하면 순자본비율(NCR) 감소 우려가 있어 검토한 적조차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 |
한미약품 (128940) 322,000원 (+5.57%) | 듀얼 아고니스트 압도적인 지방간 감소율 확인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유럽 간학회(EASL)에서 NASH 치료제 Efinopegdutide(GLP-1/glucagon 듀얼 아고니스트) 임상 2a상 임상 초록을 공개했다며, 비교 약물은 노보 노디스크의 Semaglutide(GLP-1)로 지방간 감소 변화 효과를 직접 비교 임상했다고 언급. 동사의 EFI는 비교 약물 대비 압도적 지방간 감소율 효과를 보였으며, 24주차 정상 지방간함량 내에 진입한 환자 비중도 큰 차이를 보였다고 밝힘. ▷이와 관련 신약가치는 MSD, 로슈와 개발 중인 약물 및 레코드 있는 R&D, 사업개발 역량까지 최소 1조원 이상으로 평가가 가능하며, 영업가치만으로도 여전히 저평가 상황이라고 언급. | |
롯데관광개발 (032350) 11,870원 (+3.67%) | 2분기 실적 반등 전망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2분기 실적은 매출액 712억원(yoy +48.0%), 영업손실 127억원(적지), EBITDA 75억원(흑전)이 전망된다고 밝힘. 특히, 제주도 해외 항공 재개에 따라 카지노 입장객 확장 추세로 실적 개선이 발생하며, 월별 카지노 실적이 턴어라운드할 것으로 분석. ▷아울러 제주-중국 항공 노선이 6월 이후 재개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호텔 부문 여름 성수기까지 중복되어 카지노와 비카지노 동시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 이에 3분기부터는 영업이익 턴어라운드가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3,500원[유지] | |
배터리향 가성소다 수요 증가 최대 수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배터리향 가성소다 수요 증가의 최대 수혜주가 될 것으로 분석. 이와 관련, 국내 양극재 전구체에 들어가는 가성소다 사용량은 작년 기준 5.4만톤으로 국내 전체 가성소다 수요의 3%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전구체 내재화 확대 및 전구체 업체들의 신증설 등으로 2028년에는 전구체향 가성소다가 차지하는 비중이 국내 전체 수요의 20%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 ▷이에 부산물 염소 처리에 따른 국내 경쟁사의 증설이 제한된 가운데, 동사는 가성소다 생산능력 84만톤으로 독보적 국내 1위 시장 점유율을 지속하고 있고, 여수 1.3만평 부지에 가성소다 27만톤 증설로 추가적인 점유율 상승이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7,000원[유지] ▷한편, 동사 큐셀부문(한화큐셀)은 언론을 통해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 태양광 톱 브랜드(Top Brand PV) 2023'에 선정됐다고 밝힘. 이에 미국과 유럽에서 태양광 분야 글로벌 어워드 3개를 연이어 수상하며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음. | |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17,910원 (+2.93%) |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수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수주가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올해 3분기 폴란드 본계약을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체코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 내년에도 대선이 끝난 튀르키예, 원전 확대를 천명한 영국, Rosatom(러시아)을 퇴출한 핀란드, 후속 프로젝트(5~8호기)를 준비 중인 UAE 등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원전 수주 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분석. 대형 원전에서 한국과 단가 경쟁이 가능한 곳은 러시아이지만, 대부분의 현장에서 입찰 경쟁 자체를 보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 ▷아울러 SMR로 이어지는 중장기 방향성으로원전 부문의 기업가치는 우상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0,000원 -> 22,000원[상향] | |
현대그린푸드 (453340) 12,460원 (+2.05%) | 2분기 호실적 전망 및 해외 사업 확대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매출액 약 5,200억원(전년동기대비 +17.1%), 영업이익 316억원(전년동기대비 +43.3%)으로 추정된다며, 영업이익의 경우 1분기 대비 +18.8%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는 조업일수(단체급식) 증가에 따라 주요 사업장 기여도 확대, 일부 거래처 단가 인상에 따른 효과, 군급식 공급 물량 증가가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 해외사이트 확대 가능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법인 부진에도 불구하고 미국 및 멕시코 법인실적 개선이 전체 성장을 이끌고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적극매수[유지], 목표주가 : 25,000원[유지] | |
넷마블 (251270) 57,000원 (+1.79%) | 하반기 신작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3 신작 부재 및 해외 사업의 계절적 요인 영향으로 인한 기존작 매출 하향에 따라 매출 및 영업이익 모두 전년동기비 감소하였으나, 3Q23부터 다수의 신작 출시를 통해 영업이익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신의 탑: 새로운 세계’(7월), ‘그랜드크로스: 에이지 오브 타이탄’(8월), ‘세븐나이츠 키우기’(9월)의 출시시기가 구체화 되었으며, ‘원탁의 기사’도 3분기 내 출시 예정이라고 밝힘. ▷아울러 4Q23에는 2022년 G-STAR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었던 ‘아스달 연대기’와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의 출시가 예정됐다며, 특히 ‘아스달 연대기’는 드라마 ‘아스달 연대기 시즌 2’가 2H23 방송예정으로 IP에 대한 관심이 환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는 글로벌 누적 조회수 142억을 돌파한 웹툰 기반의 수집형 RPG로, 주인공이 성장하는 스토리가 게임에최적화된 IP로 판단된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7,000원[유지] |
= 코스닥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마녀공장 (439090) 41,600원 (+30.00%) | 신규 상장 첫날 상한가 |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6,000원을 상회한 32,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한가를 기록. 한편, 동사는 화장품 제조업체로, 천연 유래 성분의 자연주의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 등을 판매 중. 주요 제품으로는 클렌징, 앰플, 에센스 및 기타 비건 화장품 등이 있으며, '마녀공장', '아워비건'과 같은 기초화장품 브랜드와 향 특화 브랜드인 '바닐라부티크', 색조화장품 브랜드 '노머시' 등을 보유. | |
석경에이티 (357550) 60,100원 (+29.81%) | 올해 호실적 전망 및 2차전지 소재 사업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한가 |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예상 매출액은 194억원(+57.1% YoY), 영업이익은 78억원(+65.6%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1Q23은 고객사의 재고 조정과 고정비용(R&D 비용, 설비 투자 등) 증가가 반영되었으나 재고 조정 종료에 따른 유럽향 덴탈 소재 매출 증가가 이어지고 있고, 화장품 및 3D 프린팅 소재 등 신제품 매출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2차전지 전고체 전해질 소재 관련 6종의 특허 출원을 완료했으며, 전기차 배터리 방열 역할을 수행하는 세라믹계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s) 소재 역시 고객사와 전기차 배터리향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신성장동력인 2차전지 소재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 | |
소프트센 (032680) 891원 (+25.85%) | 노스볼트-CALT-BMW 등과 이차전지 장비 공급 협의 추진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CATL과 유럽 노스볼트 등 배터리 업체들 및 BMW 등과 엑스레이 검사장비 공급에 대한 협의를 추진한다고 밝힘. 동사는 현지시간으로 이달 14일부터 16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배터리 사업 전시회(INTERBATTERY EUROPE 2023)에 참가해 본격적인 이차전지 장비마케팅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글로벌 배터리 업체인 유럽의 노스볼트, 중국의 CATL, 유럽 자동차 메이커 BMW 등과 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이번 전시회는 한국의 이차전지 장비업체 에스엠이엔지와 공동으로 참여해 이차전지장비 및 X-Ray 검사장비에 대한 추가적인 수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 |
뷰노 (338220) 26,250원 (+10.53%) | 인공지능(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美 FDA 혁신의료기기 지정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AI)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카스(VUNO Med®-DeepCARS)'가 국내 의료AI 업계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고 밝힘. '뷰노메드 딥카스'는 혈압, 맥박, 호흡, 체온 4가지 활력징후를 분석해 환자의 심정지 발생 위험도를 점수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의료기기로, 이를 통해 모든 입원 환자에 대한 상시 감시가 어려운 일반병동에서 의료진의 선제적인 대응을 도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이예하 동사 대표는 "뷰노메드 딥카스는 동사의 생체신호 분야 주력제품"이라며, "국내에서 도입 병원이 꾸준히 증가하며 시장성을 입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속한 미국 FDA 승인을 준비하며 적극적인 현지 사전 마케팅을 추진하는 등 해외 매출 상승에 매진하겠다"고 밝힘. | |
엠아이텍 (179290) 11,800원 (+7.57%) | 중장기 주가 상승 전망 및 내년부터 본격적인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강세 |
▷SK증권은 Boston Scientific의 동사 인수 계약이 최종 결렬됐고, 차선책으로 지분투자로 대체됐다고 밝힘. 이와 관련해 인수합병이 결렬되면서 단기적 주가 하락은 아쉽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동사 주주 입장에서는 오히려 좋은 상황이 되었다고 분석. ▷특히, 인수 결렬에 따라 시장에서 일부 기대했던 자진 상장 폐지에 따른 공개매수 기대감만 없어졌을 뿐 사업적으로 달라진 건없는 상황이라고 밝힘. 오히려 주가 상방이 열리며 중장기적으로 더욱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밝힘. ▷아울러 2023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685억원(+12.9% YoY)과 영업이익 227억원(+11.8% YoY, OPM 33%)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내년에는 사상 최초로 연간 1,000억원대 매출액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유럽 매출 정상화, 신제품 출시 효과, Boston과의 해외 협력 강화 등에 기인한다고 밝힘. | |
디에이테크놀로지 (196490) 5,090원 (+6.71%) | 페라이트보다 뛰어난 비희토류 영구자석 국산화 추진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리센과 ‘비희토류(Mn-Bi) 영구자석’ 사업 관련 전략적 협력 및 투자를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상용화를 추진하는 비희토류 영구자석은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망간(Mn)-비스무스(Bi) 자석으로, 대표적인 비희토류 영구자석으로 알려진 페라이트 자석보다 성능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자성 특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큰 강점임. ▷이번 계약 체결에 따라 코리센은 최철진 한국재료연구원 교수팀으로부터 비희토류 영구자석 기술을 이전 받아 상용화 추진을 위한 연구개발에 돌입할 예정이며, 동사는 기자재 구비, 생산시설 운영을 통한 비희토류 영구자석 양산 및 판매를 담당할 예정.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미-중간 공급망 전쟁으로 희토류 대체재가주목받고 있는 만큼 디에이테크-코리센의 비희토류 영구자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기존 이차전지 장비 사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달성하고 있기 때문에 비희토류 영구자석 사업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
에브리봇 (270660) 16,930원 (+5.55%) | 이스라엘 이뉴이티브와 공동 R&D 협약 체결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통해 전일 열린 '한·이스라엘 비즈니스 세미나'에서 이스라엘의 이뉴이티브와 820만 달러(약 107억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플랫폼 관련 공동 R&D 협약을 맺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공동 R&D 협약을 통해 '이뉴이티브'와 AI 서비스 로봇 플랫폼을 본격적으로 개발할 것"이라며 "개발된 플랫폼을 기반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 | |
코스메카코리아 (241710) 17,680원 (+3.57%) | 올해 실적 성장 전망 등에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당분간 성장 흐름 지속되며 23년 매출 4,393억원(+10% YoY), 영업이익 220억원(+111% YoY, OPM 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2Q23E 매출 +15%, 영업이익 +202%을 전망(지역별 매출: 국내 +10%, 중국 +15%, 미국 +30% 예상)하며, 2Q에도 국내 색조(베이스) 수주 견조, 중국 점진적 회복세, 미국 인디브랜드 중심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 ▷한편, 1Q 비중국 중심의 실적 회복세(국내는 색조↑, 미국은 인디브랜드 성장 수혜)를 보였으며, 1Q23 연결매출 +30% YoY, 영업이익 +1,411%(OPM 8%)을 기록했다고 밝힘. | |
메디톡스 (086900) 267,000원 (+3.29%) | 외국계 증권사 호평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노무라증권이 동사의 목표가를 기존 28만원에서 38만원으로 44.8% 상향 조정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동사가 법적 분쟁중인 대웅제약, 휴젤과의 합의를 통해 로열티 수익이 4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판단했기 때문으로 알려짐. ▷노무라증권은 지난 4일 이 같은 내용의 리포트를 냈으며, 로열티 수익 추정치를 2024년 450억원에서 2024년 870억원, 2025년 1,050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음. 이와 함께 동사의 1분기 실적이 부진했지만, 올해 하반기 비동물성 액상형톡신 제제 ‘MT10109L’의 생물학적 제제 허가(BLA) 신청으로 주가 상승이 촉진될 것으로 분석했음. | |
DXVX (180400) 8,660원 (+3.10%) | 신약개발 전담조직 신설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체 신약개발 능력 강화와 기존 파이프라인의 연구성과 조기 창출을 위해서 권규찬 사장 산하에 신약개발 전담조직을 신설한다고 밝힘. ▷최근 영입한 권 사장은 국내 최초로 항암 바이오신약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취득하는 등 신약개발과 글로벌 인허가 관련 전문가이며, 신설 조직은 자체 신약개발 연구와 국내외 임상시험 진행, 해외 사업을 수행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이를 위해 기존 연구 조직을 재정비하고 임상개발본부와 사업개발본부를 새롭게 출범시킬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 |
엔터파트너즈 (058450) 931원 (+2.99%) | 주식회사 스튜디오더블랙 인수 소식 등에 소폭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사업다각화(엔터사업본부 신설) 등을 목적으로 주식회사 스튜디오더블랙주식 30,000주를 90.00억원에 신규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100%, 양수예정일:2023-07-06) 공시. ▷한편,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안창호 대상 2,824,858주(24.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885원, 상장예정:2023-07-26) 공시. | |
인크로스 (216050) 15,280원 (+2.76%) | 티딜 GMV 성장 추세 유지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150억원(yoy +19.0%), 영업이익은 62억원(yoy +28.3%, OPM 41.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디지털 강화 트렌드와 티딜 GMV 개선 추세는 유효하며, 티딜 GMV는 612억원(yoy +99.7%)을 예상한다고 밝힘. ▷아울러 TV광고, SKT와 T우주 등 협력 확대로 티딜 GMV QoQ 15~20% 성장 추세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퍼포먼스 마케팅 및 디지털 광고 성장 흐름에 따라 하반기로 갈 수록 미집행 예산의 집행 가능성이 제고될 것이라고 밝힘. ▷다만, 매크로 반영한 광고 산업 부진 반영으로 이익 모멘텀을 소폭 하향조정 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8,500원 -> 25,000원[하향] | |
디케이락 (105740) 11,020원 (+2.61%) | 올해 사상 최대 실적 전망 및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3년은 매출액 1,390억원, 영업이익 196억원, 순이익 164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이 예상된다며, 현재 주가는 23년 예상실적 기준(Fn가이드 컨센서스 기준) P/E 6.4배로 현저한 저평가 상태라고 분석. 이와 관련, 북미, 유럽, 중동 지역(에너지 사업구조 변화, 친환경 등)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형 고객사 확보와 고마진 제품 공급 계약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힘. 특히, 북미, 중동/아시아 시장은 각각 2022년 261억원, 245억원에서 2023년 365억원, 390억원으로 큰 폭의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반도체 설비 피팅 공급 및 관련 신제품 개발도 향후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수소 전기차 및 수소 충전소, LNG벙커링 기자재 등 그린 경제 제품 라인업도 매력적이라고 언급. 이어 미국의 NGV(디젤차량을 바이오 재생가스로 전환한 친환경 차량) 시장 성장도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
엘앤씨바이오 (290650) 36,200원 (+1.97%) | 메가카티 매출 발생에 따른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는 국내향 메가카티 출시와 중국의 품목허가를 기대해볼만한 원년이 될 것으로, 매출액 700억원(+33.0% yoy), 영업이익 139억원(+44.4%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세계 최초 인체 유래 초자연골 기반 무릎 연골 치료제인 메가카티는 2H23년부터는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며 기존 메가덤은 거들뿐이라고 밝힘. ▷아울러 현재 의료 폐기물관리법안이 국회에서 발의 중으로, 지방 등 인체 유래 폐기물을 활용해 의약품과 의료 기기를 개발하겠다는 규제 개혁안이라고 밝힘. 현재 연간 국내에서 생산되는 폐지방 40t을 재활용하게 되는 법안이 통과되면 동사 역시 최대 수혜주로서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1조원 수준의 신규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
제일바이오 (052670) 1,998원 (-6.64%) | 전 임원 업무상 배임 혐의 발생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전 임원 심○○의 업무상 배임 혐의 고소 공시. 횡령 등 금액은 1.09억원(자기자본대비 0.34%)이라고 밝힘.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마녀공장 (439090) 41,600원 (+30.00%) | 1 | 신규 상장 첫날 상한가 |
석경에이티 (357550) 60,100원 (+29.81%) | 1 | 올해 호실적 전망 및 2차전지 소재 사업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한가 |
소프트센 (032680) 891원 (+25.85%) | 노스볼트-CALT-BMW 등과 이차전지 장비 공급 협의 추진 소식에 급등 | |
메타랩스 (090370) 3,140원 (+22.90%) | 하지성 신임 대표 선임에 따른 탈모 헬스케어 성장 기대감 속 급등 | |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38,700원 (+16.04%) | 종속회사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현대차 eM(JG EV)차세대 전기차 전용플랫폼 구동모터코아 공급업체 선정에 급등 | |
하나마이크론 (067310) 19,280원 (+12.75%) | 정부,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에 대규모 투자 소식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급등 | |
동일철강 (023790) 2,370원 (+11.53%) | 관계사 화인베스틸, 수소시장 진출 소식 속 철강 기자재 납품 기대감 등에 급등 | |
뷰노 (338220) 26,250원 (+10.53%) | 인공지능(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美 FDA 혁신의료기기 지정 소식에 급등 | |
금양 (001570) 57,000원 (+9.20%) | 523.32억원 규모 몽골 현지 광산 탐사 및 개발업체 주식 신규 취득 결정에 급등 | |
경창산업 (024910) 3,850원 (+9.07%) | 현대모비스에 구동모터 납품 사실 지속 부각 등에 급등 | |
에스와이 (109610) 4,465원 (+9.04%) |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및 우크 라이나 댐 파괴로 주민 대피 소식 속 모듈러 주택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 |
미래생명자원 (218150) 7,800원 (+8.79%) | 우크라이나 댐 붕괴에 따른 전세계 식량난 심화 우려 등에 비료/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강세 | |
위닉스 (044340) 12,750원 (+8.42%) | 역대급 장마 예고 속 제습기 판매 증가 소식 및 캐나다 산불 영향으로 미국 내 공기청정기 수요 증가 기대감 등에 강세 | |
트루윈 (105550) 2,465원 (+8.35%) | 친환경 차량 수요에 따른 SLS, BPS 공급 물량 증가 기대감 등에 강세 | |
팜스코 (036580) 4,765원 (+8.30%) | 우크라이나 댐 붕괴에 따른 전세계 식량난 심화 우려 등에 비료 테마 상승 속 강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