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감시황]
- 코스피시장-
6/14 KOSPI 2,619.08(-0.72%) FOMC 관망세 속 기관 순매도(-), 제2의 SG 사태 우려(-), 반도체?2차전지株 약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CPI 둔화 속 Fed 금리 동결 기대감 지속,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640.81(+2.86P, +0.11%)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2,642.86(+4.91P, +0.1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오전 중 하락세로 방향을 잡는 모습.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2,614.25(-23.70P, -0.90%)까지 밀려나며 저점을형성. 장후반 일부 낙폭을 만회한 지수는 2,620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다 결국 2,619.08(-18.87P, -0.72%)로 장을 마감.
美증시상승에도 불구하고, FOMC 회의 결과 발표를 앞둔 관망세 속 그간 강세를 보이던 반도체, 2차전지 관련주들이 하락하면서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아울러 방림, 동일산업, 만호제강, 대한방직 등이 장중 비슷한 시각에 하한가로 진입하면서 제2의 SG사태 우려가 커진 점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기관은 1,200억원 넘게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美 FOMC 회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커지는 모습. 전일(현지시간) Fed가 이틀간의 일정으로 FOMC 정례회의를 개최한 가운데,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CPI가 시장 예상대로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금리 동결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美 노동부에 따르면, 5월 CPI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4.0% 상승. 이는 지난 4월 기록한 0.4% 상승과 4.9% 상승보다 크게 둔화한 것으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한 수치임.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도 전년동월대비 5.3% 상승해 전월의 5.5% 상승보다 하락했으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에서 Fed가 6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0%로 급격히 높아졌음.
다만, 시장에서는 Fed가 6월 금리를 동결하더라도 완전히 비둘기파적 신호 를 주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Fed가 이번에 금리인상을 일시 중단하더라도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Fed 목표치인 2.0%보다 높은 만큼 향후 추가 금리 인상의 가능성은 열어둘 것이란 전망이 커지는 모습.
한편, 이날 장중 방림, 동일산업, 만호제강, 대한방직 등이 비슷한 시각에 하한가로 진입하는 등 지난 4월말 SG증권發 급락 사태와 유사한 '무더기 하한가'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 코스피 상장사인 방림, 동일산업, 만호제강, 대한방직 등과 코스닥 상장사인 동일금속이 비슷한 시각에 하한가로 진입했음. 금감원 관계자는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들에 대해 윗선에 보고한 후 불공정거래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으며, 거래소 관계자는 “개별 종목모니터링 진행상황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수가 없다면서 전 종목에 있어서 모니터링은 실시간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 홍콩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특히, 일본 닛케이지수는 이날에도 1% 넘게 상승하며 약 33년 여만에 최고치를 재차 경신.
수급별로는 기관이 1,285억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131억, 388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도 기관이 4,961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4,180계약, 372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1원 상승한 1,278.5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6.1bp 상승한 3.54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7bp 상승한 3.635%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7틱 내린 104.02로 마감. 외국인, 개인이 13,731계약, 11,251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6,282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5틱 내린 111.12로 마감. 외국인이 9,148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7,401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포스코퓨처엠(-5.09%), SK이노베이션(-3.36%), LG에너지솔루션(-2.97%), LG화학(-2.31%), 삼성SDI(-1.48%), 카카오(-1.24%), NAVER(-0.90%), 신한지주(-0.71%), SK하이닉스(-0.59%), 삼성물산(-0.46%), 셀트리온(-0.36%), 삼성바이오로직스(-0.25%), 현대모비스(-0.22%), 삼성전자(-0.14%) 등이 하락. 반면, 현대차(+1.52%), 기아(+0.85%), POSCO홀딩스(+0.51%), LG전자(+0.24%), KB금융(+0.1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섬유의복(-2.21%), 비금속광물(-2.14%), 전기가스업(-2.02%), 건설업(-1.54%), 화학(-1.23%), 의료정밀(-1.05%), 전기전자(-1.01%), 서비스업(-0.88%), 통신업(-0.82%), 보험(-0.77%), 제조업(-0.74%), 증권(-0.72%),종이목재(-0.71%), 금융업(-0.63%), 의약품(-0.53%)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운수장비(+0.75%), 철강금속(+0.36%), 운수창고(+0.22%)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619.08P(-18.87P/-0.72%)
- 코스닥시장-
6/14 KOSDAQ 871.83(-2.79%) 외국인/기관 순매도(-), 제2의 SG 사태 우려(-), 2차전지株 급락(-)
밤사이 뉴욕증시가 CPI 둔화 속 Fed 금리 동결 기대감 지속,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99.35(+2.54P, +0.28%)로 상승 출발. 장초반 899.85(+3.04P, +0.3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오전 중 하락 전환했고, 시간이 지날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급격히 낙폭을 키우던 지수는 870.48(-26.33P, -2.9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871.83(-24.98P, -2.79%)으로 장을 마감.
美증시 상승에도,코스피/코스 닥 상장사 5종목이 무더기 하한가를 기록하면서 제2의 SG 사태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2차전지 관련주들이 급락세를 보인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급락을 이끌었음. 제2의 SG 사태 우려 속 급격히 투자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미국 정부 산하 투자 적정성심사기구에서 중국 양극재, 음극재 공장을 최종 승인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더블유씨피, 천보 등 시총 상위 2차전지 종목들을 중심으로 매도세가 출회되는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87억, 2,289억 순매도, 개인은 5,662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에코프로(-10.95%), 에코프로비엠(-10.25%), 엘앤에프(-9.24%), 더블유씨피(-6.10%), 천보(-4.57%)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고, 케어젠(-3.47%), 메디톡스(-3.31%), HLB(-2.45%), 레인보우로보틱스(-1.69%), 카카오게임즈(-1.64%), 알테오젠(-1.34%), HPSP(-1.20%), 리노공업(-1.07%), 셀트리온헬스케어(-0.28%) 등이 하락. 반면, 클래시스(+8.94%), 에스엠(+6.39%), JYP Ent.(+1.35%), 펄어비스(+0.58%), 셀트리온제약(+0.25%)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금융(-8.42%), 일반전기전자(-8.06%), 제조(-3.33%), 화학(-3.30%) 업종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금속(-2.40%), 기계/장비(-2.27%), 통신서비스(-2.20%), IT 부품(-2.11%), 운송장비/부품(-2.07%), 건설(-2.05%), 기타서비스(-1.98%), 비금속(-1.96%), 제약(-1.90%), 소프트웨어(-1.89%), IT H/W(-1.86%), 통신방송서비스(-1.85%), 반도체(-1.78%) 업종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음식료/담배(+0.77%), 오락/문화(+0.42%), 의료/정밀 기기(+0.40%)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71.83P(-24.98P/-2.79%)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후쿠시마 오염수 우려 속 천일염 주문 폭증 소식 등에 음식료업종/수산/육계 테마 상승. ▷中 경기 부양 기대감 속 석화 스프레드 6월 중순 바닥 통과 전망 등에 석유화학/철강 등 테마 상승. ▷스트레이키즈, 美 빌보드 200·아티스트 100 차트 1위 소식 및 엔터산업 실적 개선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5월 인천공항 운항횟수 및 여객수송인원 코로나 발생 이후 최대치 기록, 리오프닝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푸틴 러시아 대통령, 우크라이나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중단 검토 소식 등에 사료/비료/농업 테마 상승. ▷조선업 슈퍼사이클 기대감 및 12조원 규모 카타르 LNG 운반선 수주전 기대감 등에 일부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이 외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일부 타이어, 일부 편의점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반면, 美 정부, 中 고션(Gotion)의 미국 미시간주 배터리 소재 공장 건축 승인 소식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등이 하락. ▷尹 대통령, 태양광 비리 조사 발언 속 태양광에너지 테마 하락. ▷5월 반도체 수출액 전년동월대비 30% 넘게 감소, 10개월 연속 감소세 기록 소식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등 반도체 테마 하락.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유전자 치료제/분석, 줄기세포, mRNA(메신저 리보핵산), 면역항암제 등의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이 외에 공작기계,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NI(네트워크통합),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그래핀, 애플페이, 스마트그리드, 지능형로봇/인공지능, OLED, 창투사, 전자결제(전자화폐), AI 챗봇(챗GPT 등), 가상현실(VR), 온실가스(탄소배출권), 모바일게임/게임, 블록체인, 건설기계, 리모델링/인테리어, 메타버스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
음식료업종/ 수산/ 육계 | 후쿠시마 오염수 우려 속 천일염 주문 폭증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日 오염수 영향에 따라 비수기임에도 천일염 주문이 폭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신안군 수협은 지난주부터 급작스럽게 밀려드는 천일염 주문을 감당하지 못하고 지난 12일 주문 접수를 중단했으며, 지난해 6월 천일염 판매량은 81포(1포20㎏ 기준)에 그쳤는데 이달 1~9일 판매량은 2,000포대로 25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알려짐. ▷이커머스에서도 소금 사재기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11번가에 따르면, 이달 6일부터 12일까지 엿새 동안 천일염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4배나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지마켓도 같은 기간 소금 매출이 3배 가까이, 쓱닷컴도 천일염을 중심으로 소금 제품 매출이 6배나 증가한 것으로 알려짐. ▷한편, 외신에 따르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라파엘 그로시 사무총장이 오는 7월 초 일본을 방문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최종 평가 보고서를 기시다 후미오 총리에게 전달하는 방향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IAEA 조사단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일본을 방문해 오염수 해양 방류에 관한 포괄적 검증을 완료했으며, 조만간 최종 종합보고서를 공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신송홀딩스, 보라티알, 풀무원, 인산가, 샘표식품 등 음식료 업종을 비롯해동원수산, 사조대림, CJ씨푸드, 마니커에프앤지, 팜스토리, 하림 등 수산/육계 테마가 상승. | |
석유화학/철강 등 | 中 경기 부양 기대감 속 석화 스프레드 6월 중순 바닥 통과 전망 등에 상승 |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석화마진이 6월 중순 바닥을 통과할 것으로 전망. 5월부터 시작된 중국 지역 석화제품(가전제품, 장난감, 의류 등 소비재용 석화제품) 수요 둔화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 운데, 이에 따라 6~7월 아시아지역 석화업체는 공급 축소로 맞대응할 것으로 석화 스프레드는 6월 중하순 정도에 다시 바닥을 확인하고, 8~9월 성수기 수요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 ▷中 경기 부양 기대감도 긍정적으로 작용. 전일 中 인민은행은 7일짜리 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를 2.00%에서 1.90%로 0.01%P 인하한다고 밝힘. 역레포 금리 인하는 지난해 8월(0.01%P) 이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기대를 밑도는 무역수지와 물가 등 부진한 경제 지표가 발표된 이후 안팎에서 정책 완화에 대한 요구가 잇따른 뒤 나온 것임. 이에 시장에서는 분명한 완화 신호라면서 대출우대 금리의 후속 인하를 전망했으며, 상업은행의 지급준비율 인하, 부동산정책 완화, 재정지출 확대 등 기타 정책 수단도 정부가 고려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는 모습.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30달러(+3.43%) 상승한 69.42달러에 거래 마감. ▷이 같은 소식 속 이수화학, 애경케미칼, 대한유화, 롯데케미칼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또한, 中 경기에 따른 변동성이 큰 대표적 경기민감 업종인 포스코스틸리온, 현대제철, 부국철강, 하이스틸, 고려아연 등 일부 철강 주요종목/중소형/비철금속 테마도 상승. | |
엔터테인먼트 | 스트레이키즈, 美 빌보드 200·아티스트 100 차트 1위 소식 및 엔터산업 실적 개선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전일(현지시간) 미국 빌보드 공식 홈페이지 발표에 따르면, JYP엔터의 그룹 스트레이키즈는 정규 3집‘★★★★★ (5-STAR)’(파이브스타)와 타이틀곡 ‘특’으로 6월17일 자 빌보드 메인 차트 ‘빌보드 200’과 ‘아티스트 100’ 정상을 차지했음. 이로써 스트레이키즈는 2022년 발매한 두 장의 미니 앨범 ‘ODDINARY’(오디너리)와 ‘MAXIDENT’(맥시던트)에 이어 2023년 첫 음반까지 3연속 빌보드 2개 메인 차트 동시 1위에 등극했다고 전해짐. ▷언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금일 하이브에 대해 BTS 등 산업 내 가장 강력하게 손꼽히는 IP를 다수 보유한 최대 기획사라며, 이를 활용한 음반, 콘서트 등 직접 매출뿐 아니라 위버스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MD상품, 컨텐츠 등 간접매출을 발생시키고 있다고 신규 보고서를 발간. 하이브에 대한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를 376,000원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한화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K-Pop의 글로벌 침투율은 지속 상승 중이며, [K]를 넘어 [무국적]팝으로도약 중이라고 밝힘. K-Pop의 글로벌 침투율은 4% 남짓인 가운데, 추가로 커질 수 있는 시장 규모는 지금 대비 +24배라고 설명. ▷교보증권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엔터산업의 1분기 호실적의 요인은 IP 레버리지 확대라고 설명. 이어 한국의 엔터 산업은 이전까지 본 적 없는음반 판매량, 콘서트 관객수, MD 수익화를 경험하는 구간에 진입했으며, 이로 인한 실적개선의 정도는 그동안 우리가 경험했던 것보다 더 클수 있다고 밝힘. 엔터 4사 합산 영업이익은 21~24년 연평균 35.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같은 기간 주요 업종의 연평균 성장률을 크게 뛰어넘는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아센디오, 에스엠, JYP Ent., 에프엔씨엔터, 큐브엔터 등 일부 엔터테인먼트 테마가 상승. | |
2차전지 등 | 美 정부, 中 고션(Gotion)의 미시간주 배터리 소재 공장 건축 승인 소식 등에 하락 |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13일 미국 재무부 산하 CFIUS(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가 중국 고션(Gotion)이 미국 미시간주에 설립을 추진중인 양극재 및 음극재 공장 건축을 승인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中 고션은 지난해 10월 독일 폴크스바겐과 합작 법인을 설립한 뒤 23억 6,000만 달러를 투자해 美 미시간주에 양극재 15만톤, 음극재 5만톤 생산이 가능한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로 한 바 있으며, 주정부 보조금도 이미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한편, 언론에 따르면, 전일 골드만삭스는 에코프로비엠과 포스코퓨처엠에 대해 매도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짐. 골드만삭스는 양극재는 품질이 거의 비슷하고 10년간 공급 과잉이 예상되며, 중국산 양극재를 배제해도 미국에서 공급 부족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한국 업체들의 밸류에이션이 과도한 수준이라고 지적, 이에 에코프로비엠의 목표주가는 125,000원, 포스코퓨처엠의 목표주가는 220,000원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엘앤에프, 천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동반 하락. | |
태양광에너지 | 尹 대통령, 태양광 비리 조사 발언 속 하락 |
▷언론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태양광 비리 감사결과와 관련해 공직기강비서관실에 당시 태양광 사업 의사결정라인 전반에 대한 조사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짐. 앞서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 시절 추진한 ' 신재생 에너지 사업' 과정에서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의 위법 사례를 대거 적발했으며, 위법 행위를 저지른 전직 산업통상자원부 과장 2명 등 13명에 대해 직권남용, 사기, 보조금법 위반 등 혐의로 수사를 요청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는 "전임 정부를 들여다보는 게 아니라 태양광 비리와 관련해 들여다보는 것"이라며, "감사원이 감사를 했지만 미처 하지 못한 부분을 하라고 한 것이다. 공직 감찰 결과에 따라 해당자에 대한 징계를 요구할 수도 있고 법 위반이 명백하면 수사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금일 에스와이, 나노신소재, 대명에너지, 윌링스, SK디앤디, OCI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하락. |
[특징 종목]
= 코스피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애경케미칼 (161000) 22,500원 (+18.23%) | 전기차 소재 기업으로 체질 전환 기대감에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출범 3년차를 맞아 '전기차 소재' 기업으로의 변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기존 화학 제품 위주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업그레이드해 2030년까지 매출 규모를 100% 키운다는 목표로 탄소섬유 기반의 '프리프레그(AKAPREG)'와 'SMC'를 활용해 전기차 경량화 부품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짐. 또한, 실리콘 음극재용 바인더 등 2차전지 소재 사업에도 진출했으며, 하드카본 음극재 사업 역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을 필두로 산업 전반적으로 강도는 높고, 무게는 가벼운 소재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다"며,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매진하면서, 이차전지 부문 등으로 신중하게 사업 확장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
콤텍시스템 (031820) 888원 (+2.07%) | 디지털 트윈 전문 기업 유비씨와 전략적 제휴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디지털 트윈 전문 기업 유비씨와 전략적 업무 제휴를 체결해 디지털 전환(DX)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힘. 이번 전략적 제휴를 통해 동사는 클라우드, 인공지능(AI), 5G 특화망 뿐만 아니라 산업별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DX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 ▷이와 관련 권창완 동사 대표는 "동사는 시스템통합(SI), 네트워크 통합(NI) 등 기존 전문 영역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AI, 클라우드 등 디지털 전환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며, "이번 협약으로 DX 관련 솔루션을 추가 확보함으로써 DX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업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
태경케미컬 (006890) 13,430원 (+1.67%) | 올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CTT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2023년 매출액 656억원(+10.1% y-y), 영업이익 145억원(+39.1% y-y)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이는 조선 및 신선식품 등 전방시장에서의 액체탄산 수요 증가가 판가 인상으로 이어지며 스프레드가 지속 확대된 영향이며, 올해는 신규 고객사 확보와 원재료 수급문제가 해소되면서 고마진의 자체생산 매출 비중이 커지며 영업이익률 성장이 함께 나타날 것으로 분석. ▷아울러 Valuation 측면에서 2023F PER은 10.5x로 최근 10년 내 가장 낮은 수준이고, 10년 평균 PER 17.2x 대비로도 극심한 저평가 상황으로 사상 최대 실적에 걸맞은 Valuation 정상화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 | |
크래프톤 (259960) 205,500원 (+1.23%) | 신규 독립 스튜디오 '렐루게임즈' 설립소식 속 소폭 상승 |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지난 1일 신규 독립 스튜디오 '렐루게임즈'를 설립했다고 밝힘. 대표이사로는 '스페셜 프로젝트2'를 총괄한 김민정 실장을 선임했으며, 렐루게임즈는 동사의 11번째 독립 스튜디오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게임을 제작하는 것으로 전해짐. 렐루게임즈의 첫 번째 프로젝트는 '푼다: AI 퍼즐(FOONDA: AI Puzzle)'로, AI가 퍼즐 스테이지를 생성해 이용자에게 '초개인화'된 퍼즐경험을 제공하는 게임이며, '푼다'의 모바일 버전을 올해 3분기 내 출시하고, 음성 인식을 이용한 게임 '프로젝트 오케스트라'도 추진할 계획임. ▷한편, 동사는 전자공시를 통해 신규 설립 자회사 (주)렐루게임즈에 동사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인'스페셜 프로젝트2' 관련 유·무형 자산 일체 및 인력을 양도키로 했다고 밝힘. | |
한국전력 (015760) 18,640원 (-1.84%) | 3분기전기요금 동결 전망 속 소폭 하락 |
▷언론에 따르면, 산업부 고시에 따라 동사가 오는 16일까지 3분기 전기요금 인상 요인을 산업부에 제출할 예정인 가운데, 국제 에너지 가격의 하향 추세와 여름철 냉방비 부담을 고려해 3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특히, 지난 2분기 요금 결정에 앞서 정부와 수차례 민·당·정 협의회를 진행했던 국민의힘도 요금 인상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음. ▷한편, 동사는 15일 공개되는 관세청 무역통계를 토대로 유연탄, LNG, BC유의 3개월치 평균가격을 계산해이를 반영한 연료비조정단가 산정내역을 정부에 전달할 예정임. | |
맥쿼리인프라 (088980) 13,160원 (-2.01%) | 약 4,000억원 규모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결의 등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30,935,808주(약 4,000억원) 규모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결의 공시. ▷385원 금전분배 결의 공시. | |
에스디바이오센서 (137310) 15,110원 (-2.58%) | 3,104억원 규모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등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20,000,000주(3,104.00억원) 규모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15,520원, 청약예정:2023년07월25일(우리사주조합), 2023년07월25일~2023년07월26일(일반공모),상장예정:2023-08-11) 공시. ▷종속회사 유상증자 참여 목적으로 Columbus Holding Company 주식 19,048주를 2,582.25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3-07-28) 공시. ▷종속회사 Columbus Holding Company, 인수금융 차입금의 일부상환 재원 마련 목적으로 Meridian Bioscience, Inc. 지분 100%를 2,582.25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3-07-29) 공시. | |
웰바이오텍 (010600) 2,035원 (-3.55%) | 최대주주 변경 속 하락 |
▷최대주주가 (주)대양디엔아이외 2인에서 온세텔링크(주)로 변경 공시. | |
대유플러스 (000300) 1,070원 (-5.89%) | 300억원 규모BW 발행 결정 속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300.00억원 규모의 공모 신주인수권부사채권 발행 결정(행사가액:1,081원, 행사청구일:2023-07-29 ~ 2027-05-29) 공시. | |
방림/동일산업/만호제강/대한방직/동일금속 | 제2의 SG사태 우려 속 하한가 |
▷언론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급락 사태와 유사한 '무더기 하한가' 사태가 금일 주식시장에서 다시 한번 일어난 것으로 전해짐. 이날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방림, 동일산업, 만호제강, 대한방직 등 4개 종목과 코스닥 종목인 동일금속 등 총 5개 종목이 비슷한 시각에 하한가로 진입했음. 다만, 위 종목들의 매도 창구 상위에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 등 외국계 증권사가 이름을 올리진 않은 것으로 알려짐. ▷한편, 5개 종목의 무더기 하락 원인은 현재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거래소 관계자는 "시장감시와 모니터링 체계는 항상 작동하고 있으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밝힐 수 없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짐. 시장에서는 이들 종목의 주가가 최소 수개월간 꾸준히 상승해왔다는 점에서 '제2의 라덕연 사태'를 의심하고 있음. [종목]: 방림, 동일산업, 만호제강, 대한방직, 동일금속 |
= 코스닥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이브이첨단소재 (131400) 8,920원 (+15.25%) | 투자사 프롤로지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공개 예정 소식 등에 급등 |
▷외신 및 투자사 프롤로지움 홈페이지에 따르면, 프롤로지움은 세계 최대 ESS 전시회 'ees Europe 2023'에서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제품인 대형 풋프린트 리튬 세라믹 배터리(LLCB)를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빈센트 양(Vincent Yang)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 CEO는 "지난해 셀 수준에서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능케하는 100% 산화규소 양극 탑재 고체 배터리를 최초로 발효한 바 있다"며 "이제는 LLCB라는 또 다른 선구적인 배터리 개념을 통해 장거리 주행, 경량화 및 디자인 유연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기차(EV) 배터리 설계를 한 단계 끌어올리게 될 것"이라고 밝힘. | |
인바디 (041830) 29,300원 (+6.35%) | 올해도 견조한 실적 성장 전망 등에 강세 |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3년은 2022년에 이어 견조한 실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이는 기존 인바디 제품(380, 580)과 가정용 제품(H20S, H30, H40) 출시 및 2H23 美필라델피아 법인의 메디컬센터 영업활동 전개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최근들어 미국 내 영업 속도가 가팔라지고 있다고 밝힘. 미국向 매출액은 2021년 293억원에서 2022년 456억원으로 55.6% 증가했으며, 미국법인의 인력은 2020~2021년 80명 초반 수준에서 2022년 내내 증가해 현재 약 110명에 달한다고 밝힘. 이어 2023년7월 필라델피아 법인이 美동부 메디컬 센터로 영업을 개시할 전망이며, 미국법인의 주요 매출성장은 군부대(해병대 및 타 유형의 군대) 및 병원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38,000원[신규] | |
솔트웨어 (328380) 1,798원 (+5.64%) | 아마존 AI 리뷰 도입 소식 속 아마존 웹서비스 파트너사로 부각되며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생성AI를 활용해 소비자 평가를 요약하는 기능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12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아마존은 최근 자사 쇼핑 앱에서 생성AI로 소비자의 긍정, 부정 평가를 요약해 제공하는 기능을 시험하고 있다고 보도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아마존 웹서비스 파트너사인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동사는 아마존웹서비스(AWS)로부터 'AWS 데브옵스 컴피턴시(AWS DevOps Competency)'를 국내 최초로 취득한 바 있음. | |
비나텍 (126340) 69,700원 (+4.81%) | 수소연료전지 부품 고객사 접촉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수소연료전지 부품의 양산 준비를 위해 완주 1공장 완공 이후 고객사들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고객사와 콘택트(접촉) 중으로 테스트 단계 넘어서 가시권 물량 수주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메가트랜드 사업이다보니 매출에 대한 단계보단 기술선점이나 숙성시키는 단계로 봐야 한다"며, "점진적으로 공급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짐. | |
셀루메드 (049180) 4,320원 (+3.23%) | 정부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 선정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산자부)가 시행하는 ‘2023년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ATC+)’의 주관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힘. 이번 국책사업 선정으로 동사는 향후 4년 동안 19억원 규모의 연구비를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게 됐으며, 정부 지원을 받아 골형성단백 질(BMP2)의 생산 수율을 기존 대비 5배 이상 향상시키는 공정 개발뿐 아니라BMP2를 활용한 골이식용 복합소재 개발을 추진할 예정임. | |
아스트 (067390) 3,585원 (+2.87%) | 민수항공기 동체구조물 설계부문 인증 획득 소식 등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항공우주 품질경영시스템인 KS Q 9100의 인증을갱신하며 설계 부문에 대한 인증을 추가했다고 밝힘. KS Q 9100은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품질경영시스템 표준·인증 체계로 전 세계 표준인 AS 9100 인증과 동일한 효력을 갖고 있다고 전해짐. 이번 인증 갱신은 기존 부품 제작과 동체 구조물 조립 부문 품질경영시스템에 민항기 동체구조물 설계 부문 인증을 추가한 것으로 민항기 설계에서 부품 제작, 동체 조립에 이르는 종합적인 설계·제작 능력을 인정받은 기업은 동사가 유일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KS Q 9100 설계 인증 추가를 통해 항공기 설계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안전성을 다시 한 번 증명하고 인정받게 돼 매우 기쁘다”며 “방산사업에 치중돼 있는 국내 항공 산업 분야에서 민간항공기 부문이 성장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힘. | |
폴라리스오피스 (041020) 3,335원 (+2.46%) | 美 소프트웨어킵과 '트룰리오피스' 공동 출시 소식 등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소프트웨어 유통 전문기업 소프트웨어킵(SoftwareKeep)과 협업해 미국 오피스 소프트웨어 시장에 도전할 것이라 밝힘. 이와 관련, 양사는 '폴라리스 오피스'를 활용한 '트룰리오피스(TrulyOffice)' 개발·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으며, 시중 높은 가격의 오피스 SW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합리적솔루션이 필요하다는 시장의 요구 아래 우선 미국 내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을 타겟으로 제품을 공급할 것으로 전해짐. 이후 교육 등 공공 시장으로 제품 공급을 확대해 동사가 보유한 다양한 업무 솔루션의 미국 B2B 시장 진출도 함께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이해석 동사 부사장은 "글로벌 오피스 SW에 견줄만한 경제적이고 범용성이 높은 오피스 SW를 알아주는 글로벌 기업과 협업하게 되어 기쁘다"며, "소프트웨어킵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를 확대하고 점유율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밝힘. | |
비비씨 (318410) 10,970원 (+2.43%) | 글로벌 칫솔모 시장 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대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칫솔모시장이 2022~2030년까지 CAGR 5.5%가 예상되며, 평균 수명 증가에 따른 고령인구 확대가 미세모 시장 확대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러한 가운데, 동사는 국내 1위 미세 칫솔모 기업으로 주요 고객사 내 높은 점유율 확보를 통해 미세모 시장 확대 수혜를 온전히 누릴 것으로 전망. ▷아울러, 1분기 자회사 매출 확대에 따른 적자폭이 완화된 점도 동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힘. | |
메디프론 (065650) 1,686원 (+2.00%) | 새로운 알츠하이머 치매치료물질 특허 취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선도물질인 O-GlcNAcase(OGA) 억제제(MDR-0214)의 국내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힘. ▷OGA 억제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tau) 단백질의 변성과 응집을 막는 물질로, 자체 동물시험에서 손상된 인지능력과 기억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한 바 있음. 동사는 최근 국내외 연구들이 MDR-0214의 타겟인 OGA 기전과 타우(tau) 단백질의 인산화 과정, 신경세포의 사멸 프로그램(necroptosis), 퇴행성 질환 등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 ▷임재홍 연구소장은 "이번 특허 등록을 통해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인정받고 공식적으로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개발(R&D)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과 있는 물질들을 개발해 치매 치료제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 |
윈텍 (320000) 3,680원 (-4.42%) |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불이행(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지연공시)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결정시한:2023-07-06) 공시. | |
넥스턴바이오 (089140) 9,300원 (-5.49%) | 90억원 규모CB 발행 결정 속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씨엠지제약 등 대상 9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9,697원, 전환청구일:2024-08-07 ~ 2026-07-07) ▷한편, 동사는 이번 CB 투자를 통해 유수의 제약기업들과 협력하게 될 것으로 전해짐. | |
아이톡시 (052770) 1,649원 (-8.39%) | 상장유지 결정으로 인한 거래재개 첫날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코스닥시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유지를 결정 공시. 이에 금일 거래재개했으며. 시초가는 1,800원임. ▷한편, 동사는 지난 2019년1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으로 거래정지 된 바 있음.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보라티알 (250000) 18,070원 (+30.00%) | 1 | 천일염 주문 폭증 소식에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신송홀딩스 (006880) 14,500원 (+29.93%) | 1 | 천일염 주문 폭증 소식에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샘표 (007540) 72,200원 (+29.86%) | 1 | 천일염 주문 폭증 소식에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자회사 샘표식품 급등에 상한가 |
한탑 (002680) 2,275원 (+19.23%) |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및 푸틴 러시아 대통령, 우크라이나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중단 검토 소식 등에 일부 사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
대봉엘에스 (078140) 10,020원 (+18.86%) | CBD 세라마이드 중국·유럽 특허 확보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
애경케미칼 (161000) 22,500원 (+18.23%) | 일부 석유화학 테마 상승 속 전기차 소재 기업으로 체질 전환 기대감에 급등 | |
인산가 (277410) 3,850원 (+16.67%) | 천일염 주문 폭증 소식에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
이수화학 (005950) 34,550원 (+15.55%) | 일부 석유화학 테마 상승, 계열사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주가 급등에 따른 금일 매매거래정지 속 급등 | |
대상홀딩스 (084690) 9,910원 (+15.37%) | 천일염 주문 폭증 소식 속 죽염, 천일염가공 및도소매업을 영위중인 신안천일염이 종속회사인 점이 지속 부각되며 급등 | |
이브이첨단소재 (131400) 8,920원 (+15.25%) | 투자사 프롤로지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공개 예정 소식등에 급등 | |
대창솔루션 (096350) 605원 (+14.58%) | 제품 다변화로 펀더멘털 개선 및 장기 성장 동력 확보 분석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
샘표식품 (248170) 33,600원 (+13.51%) | 천일염 주문 폭증 소식에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
포스코스틸리온 (058430) 52,000원 (+12.31%) | 中 경기 부양 기대감 속 석화 스프레드 6월 중순 바닥 통과 전망 등에 일부 철강 주요종목 테마 상승 속 급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