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2018년 9월 20일.
루가 9, 23-26, 로마 8, 31-39.
오늘 복음은 예수님의 입을 빌려 “나를 따르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매일 제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신앙인은 현세(現世)의 목숨을 최대의 가치로 생각하고, 그것을 보존하기 위해 무슨 짓이라도 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신앙인은 자기 삶의 최대 보람을 하느님 안에 두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 현세의 목숨마저 버릴 수 있다는 오늘 복음의 말씀입니다.
오늘은 한국의 순교자들을 기억하는 축일입니다. 중국(中國) 북경(北京)에서 이승훈(李承熏)이 세례를 받고 귀국한 것이 1784년입니다. 그 이듬해인 1785년부터 시작된 박해는 1882년 조선의 정부가 미국과 수호조약(修好條約)을 맺기까지 약 100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그 동안에 참수(斬首) 혹은 옥사(獄死)로 순교한 분들의 수가 만(10,000) 명이 훨씬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그분들은 온갖 잔인한 형벌을 받고, 비참하게 돌아가셨습니다. 그리고 그 유족들은 관비(官婢)라는 종의 신분으로 전락하였습니다.
외국에서 선교사가 파견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한국인들이 자발적으로 중국으로부터 신앙을 영입하였다는 사실은 세계 그리스도교회사에 예외적인 경우로 기억됩니다. 신앙이 한국 땅에 들어와서 뿌리도 채 내리기 전에 박해는 시작되었습니다. 그때 신앙인이 된 분들은 교리교육도 충분하게 받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 명이 훨씬 넘는 분들이 신앙을 위해 목숨을 버렸습니다.
천주교 관계 한문(漢文)서적들, 마태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비롯한 한문으로 된 몇 권의 서적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7세기 초였습니다. 첫 번 세례레자 이승훈이 세례를 받기 약 150년 전의 일입니다. 그때 사람들은 그것을 서학(西學)이라 불렀습니다. 그 시대 그 문서들을 영입하여 연구한 사람들이 실학파(實學派)라 불리던 유교(儒敎) 학자들이었습니다. 유교 국가를 표방하던 조선(朝鮮)의 지성인(知性人)들은 유교의 성리학(性理學) 이론(理論)에 빠져 있었습니다. 실학파 학자들은 합리적이고 현실성 있는 학문(學問)과 사회제도(社會制度)를 찾고 있었습니다. 임진왜란이라는 엄청난 민족적 시련을 겪은 직후의 일입니다. 그 무렵 실학파가 연구한 천주교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이기도 하였지만, 또한 새로운 세계관, 사회관이기도 하였습니다.
「홍길동」이라는 소설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 소설의 저자 허균(許筠)도 이 실학파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허균에 대한 연구서를 쓴 어떤 학자는 그 시대 조선사회의 모습을 이렇게 요약합니다. “첫째, 무고로 죄 없는 사람들을 고발하여 감옥에 가게 하는 일이 많아서 백성은 불안하고 서로 믿지 못하는 풍조가 휩쓸었다. 둘째, 벼슬 팔아먹기와 뇌물과 횡령이 판쳤다. 셋째, 과거(科擧)시험 문제가 사전에 유출되는 등 부정이 행해지고 벼슬아치들의 부정부패는 당연한 것으로 되었다. 넷째, 무리한 토목공사들을 벌려 놓고 관리들은 공사 자재(資材)를 횡령하고, 민생고에 허덕이는 백성들로부터 재물을 빼앗아서 매우 사치스럽게 살았다. 결국 임금으로부터 지방 수령에 이르기까지 자기 신분을 보호하기 바빴고, 그것을 위해서는 금력이 필요했다. 임금은 신하들로부터, 신하들은 백성들로부터 재물을 빼앗는 길밖에 없었다.”(이이화, 「허균」 한길사 1997, 45-47). 그 책의 저자가 소개하는 그 시대의 사회상(社會相)입니다.
그런 사회적 여건에서 서학(西學)을 공부한 실학파 학자들에게나 후에 신앙을 영접한 초기신앙인들에게 그리스도 신앙은 대단히 신선(新鮮)하였습니다. 그리스도신앙은 그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열어 주었습니다. 군주(君主)가 절대적이 아니라, 하느님이 계시고, 그 하느님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질서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 시대 법(法)은 조정(朝廷)이 만들어 임금의 이름으로 반포하면, 백성은 그것을 지켜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신앙은 하느님이 질서 지어 만드신 자연과 마음의 법, 곧 자연법(自然法)과 양심법(良心法)을 가르쳤습니다. 노예와 같이 법을 지키기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자연의 법을 존중하고, 양심의 소리를 들으며, 살아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그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열어주는 소식이었습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새 하늘과 새 땅”을 열어주는 소식이었습니다.
그 시대의 법(法)은 당시에 자행되던 부정부패와 약자에 대한 강자의 횡포를 방관할 뿐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조장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신앙은 하느님이 자비롭고 사랑하신다고 가르칩니다. 그것은 그들에게는 새로운 시야(視野)를 열어주었습니다. 무자비한 법과 제도에 한 마디 항의도 못하며, 짓눌려 살다, 죽어 가는 사람들에게 하느님으로 말미암은 질서, 곧 정의(正義)와 자비(慈悲)와 사랑에 대한 가르침은 그 시대 사회가 안고 있던 모든 부조리(不條理)를 한 순간에 걷어내는 기적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그야말로 ‘새 하늘과 새 땅’을 열어주는 일이었습니다.
‘조상(祖上) 제사(祭祀)의 거부’라는 당시 순교자들에게 주어진 죄목(罪目)은 그리스도 신앙인들을 박해하는 사람들이 찾아낸 명분이었습니다. 조상제사는 그 시대 유교(儒敎) 가르침의 핵심이었습니다. 신앙인들이 그것을 거부한 것은 유교국가의 근본 질서를 거부한 것이었습니다. 왕을 중심으로 한 당시의 권력구조의 절대성을 거부한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신앙인들이 축첩(蓄妾)을 거부한 것은 유교가 가르친, 남녀 차별의 철칙(鐵則)을 거부한 것이었습니다. 신앙인들은 그 시대의 계급차별도 거부하였습니다. 사람은 모두 하느님을 아버지로 한 자녀라는 의식은 그 시대의 사회 계급적 차별을 거부하게 만들었습니다. 당시 순교자들의 심정을 엿보게 하는 고백 하나가 있습니다. 순교자들 중 백정(白丁) 출신인 황일광(黃日光)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가 남긴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나에게는 천당이 둘 있다. 하나는 죽어서 가는 천당이고 또 하나는 양반과 쌍것들을 가리지 않고, 모두를 똑같이 존중하는 이 세상의 천당이다.” 그것은 백정으로 멸시당하며 살던 사람이 신앙인이 되어 그리스도신앙공동체 안에서 느낀 사실을 담은 말이었습니다. 계급의 장벽 없이, 모두가 형제자매로 통하는 신앙공동체는 그에게 천당이었습니다.
순교자들은 이 ‘새 하늘과 새 땅’을 향해 그들의 목숨을 버렸습니다. 그들은 하느님으로 말미암아 열리는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질서를 열망(熱望)하였습니다. 오늘 우리가 들은「제2독서」에서 바울로 사도는 말씀하십니다. 이 세상의 그 무엇도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갈라놓을 수 없습니다.”(로마 8,39) 우리의 순교자들은 그 하느님의 사랑을 믿었습니다. 그들은 그 믿음을 버리지 못하여 모진 형벌을 감수하고 생명을 잃으면서도 그 사랑을 열망하였습니다. 그분들은 죽음을 넘어 하느님을 향해 떠났습니다. ◆
연수원 뒤에는 ‘정물오름’이 있습니다. 40분이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나면 가곤 합니다. 정상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아름다운 건물들이 있습니다. 연수원, 젊음의 집, 요양병원, 수도원, 성당, 십자가의 길, 묵주기도 동산이 있습니다. 넓은 땅에 있는 건물은 모두 가톨릭교회와 함께하는 것들입니다. 연수원 주변이 신앙의 공동체가 될 수 있었던 것은 한 사람의 헌신과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주도를 사랑하고, 제주도의 사람을 사랑했던 임피제 신부님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 신부님은 멀리 아일랜드에서 한국의 제주도로 오셨습니다. 전쟁이 끝난 한국, 4.3의 아픔이 있었던 제주도는 가난했습니다. 신부님은 가난한 제주도에 신앙을 전했고, 사람들이 스스로 설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신부님은 돼지를 키울 수 있도록 했고, 양을 키울 수 있도록 했고, 마을 사람들에게 땅과 돼지를 나누어 주었습니다. 신부님께서 이렇게 큰 목장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하느님께서 베풀어주신 사랑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하느님의 사랑은 배를 통해서 드러났습니다. 외국의 큰 배가 표류해서 제주도로 왔고, 신부님은 배의 선장과 대화를 할 수 있었습니다. 신부님의 도움을 받았던 선장은 신부님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하였고, 신부님은 성당을 신축하고 싶다고 하였습니다. 마침 배에는 목재들이 있었고, 선장은 목재를 주었습니다. 신부님은 선장의 도움으로 아름다운 성당을 신축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하느님의 사랑은 비행기를 통해서 드러났습니다. 신부님이 서울로 가려고 하는 어느 날, 비행기가 마을에 불시착 했습니다. 신부님은 비행기를 따라갔고, 비행사와 대화를 하였습니다. 비행기를 정비한 비행사는 미군이었습니다. 신부님의 도움을 받았던 비행사는 신부님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하였고, 신부님은 서울까지 태워 달라고 하였습니다. 당시에는 서울까지 가는데 배로 12시간, 목포에서 기차로 12시간 걸렸다고 합니다.
비행사는 군산에 잠시 내려서 일을 보았고, 그 시간에 신부님은 성당에서 기도하였다고 합니다. 마침 성당으로 미군이 들어왔고, 미군과 대화를 하면서 신부님은 제주도의 어려움을 이야기했습니다. 미국의 구호물품을 나누어 주었던 미군은 신부님의 이야기를 듣고 구호물품과 돈을 보내 주었습니다. 신부님은 미군의 도움으로 땅을 살 수 있었고, 돼지와 양을 키울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하느님의 사랑은 신부님의 헌신과 노력으로 오늘날 신앙 공동체가 될 수 있는 열매를 맺었습니다. 지난 4월 임피제 신부님은 하느님의 품으로 가셨습니다. 그러나 신부님의 헌신과 노력은 신부님을 알고, 신부님의 도움을 받았던 사람들의 가슴에 늘 함께 있을 것입니다.
순교자 성월을 맞이해서 많은 분들이 ‘성지순례’를 다니고 있습니다. 교회는 순교자들의 무덤, 순교자들이 죽임을 당한 곳, 순교자들이 살았던 곳을 성지로 조성하고 있습니다. 그분들의 피와 땀은 헛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서입니다. 그분들은 천상에서 영원한 삶을 살고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이제 그분들은 신앙의 별이 되어서 우리들을 하느님께로 인도하고 있음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순교자들을 위해서 ‘성지’를 조성하는 것은 후손들이 해야 할 일입니다. 억울하게 죽은 것 같지만 그분들의 순교가 결코 헛된 것이 아님을 드러내기 때문입니다. 그런 성지를 통해서 우리들의 믿음을 더 굳게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성지를 조성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일들이 있습니다. 바로 우리들이 순교의 삶, 나눔의 삶, 희생의 삶, 자신의 십자가를 지고 가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사도 바오로는 로마서 8장에서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누가 감히 우리를 그리스도와의 사랑에서 떼어놓을 수 있겠습니까? 환난입니까? 역경입니까? 박해입니까? 굶주림입니까? 헐벗음입니까? 혹 위험이나 칼입니까?” 사실 우리 신앙의 선조들은 환난, 역경, 박해, 굶주림, 헐벗음, 위험, 칼 때문에 신앙을 지키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그때는 신앙을 갖는다는 것은 시련과 고통 죽음까지도 각오하는 결단이었습니다.
오늘 우리를 그리스도와의 사랑에서 떼어놓는 것들은 무엇인지 생각해봅니다. 나의 욕심이, 나의 게으름이, 나의 자존심이, 나의 이기심이, 나의 교만이 그리스도와의 사랑에서 나 자신을 떼어놓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천국에서 순교자들이 보시면 참으로 가슴 아픈 일들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에서 너무 쉽게 보이곤 합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이 순교자들처럼 목숨을 바쳐야 될 일은 별로 없습니다. 재산과 가족, 부와 명예를 포기하는 일도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순교자들이 지켜온 신앙을 보존하고 후손들에게 물려줄 책임은 우리에게 있습니다. 우리의 봉사와 나눔, 우리의 사랑과 희생으로 순교자들의 신앙을 지켜나가야 하겠습니다. 순교자 대축일을 지내면서 예전에 읽었던 시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밤하늘이 있기에 별들은 아름답습니다.”
이 세상은
별들이 많은
은하수 같은 것입니다.
별들이 많기에
밤하늘이 아름다울 수 있지만
그 뒤에는
우주라는
어두운 하늘이 있습니다.
별들이 밤하늘이 있기에
아름다운 것처럼
이 세상은
아름다운 사람들이 있기에
그것만으로도
이 세상은 아름다울 수 있는 겁니다.
[녹] 연중 제24주간 목요일 |
[홍]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