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거운 발걸음 폴란드 통화인 즈워티화의 가치가 폭락하면서 폴란드 경제가 얼어붙고 있다. 즈워티화 가치 하락으로
|
그 결과 한국과 같은 신흥국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재연되면 주식시장, 채권시장, 대출시장에서 큰 폭의 자금류출이 발생하고 곧바로 환률 폭등, 주가 폭락, 채권금리와 은행대출 금리폭등으로 이어지면서 금융시장의 대혼란이 벌어진다.
이번에도 미국과 유럽의 상업은행발 금융위기, 동유럽에서 서유럽으로 확산되는 금융위기 조짐이 나타나고 있고 여기에 이른바 '3월 위기설'과 관계되는 일본발 금융위기라는 3중의 금융위험 신호가 어김없이 한국 금융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1) 선진국의 상업은행발 금융위기 위험
지난해 9월 14일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부터 시작된 '투자은행발' 금융위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확산의 결정적인 기폭제였다면 일찍이 올해 1월부터 가장 먼저 위기조짐을 보이고 있는 이른바 '상업은행발' 금융위기 움직임이다.
가장 큰 손실로 2008년 이미 구제금융까지 받고 현재 금융그룹자체의 해체과정을 밟고 있는 씨티그룹을 필두로 지난해 3위 투자은행 메릴린치를 인수했던 뱅크오브아메리카, 5위 투자은행을 인수했던 JP모건, 와코비아은행을 인수했던 웰스파고 등 미국 주요 상업은행들의 인수기업 부실확대와 본사의 실적악화 등이 겹치면서 금융위기를 키우고 있다.
여기에 유럽의 은행들도 례외가 아니여서 전 세계 상업은행의 기능을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자금이 필요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교수는 1월 15일 "세계 금융회사들의 손실이 지금의 세 배인 3조달러에 이르는 등 실물경기 침체에 따른 금융추가부실로 상업은행들이 제 2위기에 빠질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2) 급격히 부상하는 동유럽 발 금융위기
높은 대외의존도와 심각한 국가채무로 이미 지난해 초부터 위험경고가 끊이지 않던 동유럽발 금융위기가 2월부터 본격적인 조짐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사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1990년 잇따른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이후 자본주의로 복귀한 동유럽 국가들은 한때 번영을 꿈꾸기도 했지만 불과 20년이 지나지 않아 국가채무로 인한 경제파산의 문턱에 들어섰다.
사실 그동안 동유럽 국가들의 경제성장은 자체적인 경제체질 강화에 따른것이기보다는 대부분 서유럽 자본의 류입 결과였다. 즉 대외의존형 경제를 추구해왔다. 그런데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그동안 투자되였던 금융자본이 다시 미국과 유럽으로 급격하게 빠져나가면서 동유럽 경제의 기반은 무너지기 시작했고 결국 늘어난 국가채무를 갚을 길이 없어진것이다.
이미 헝가리, 우크라이나, 라트비아 등 3개 나라는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으며 루마니아,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등도 구제금융을 받아야 할 처지에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2월 17일 발표한 보고서는 동유럽 금융과 채무위험이 서유럽 은행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고 이것이 다시 글로벌 금융위기로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3) 꺼지지 않는 일본발 '3월 위기설'
한국 국내에 류입된 일본계 자금들이 3월 일본 기업들의 결산기를 맞아 일시에 회수되면 국내 금융시장이 위험해질수 있다는 '3월 위기설'은 지난해부터 꾸준히 제기되였다. 위기설을 진정시키기 위해 한국정부는 엔화 대출이 총 130억 달러에 불과하고 그 가운데 3월에 만기가 도래하는 금액은 20억 달러 미만이라며 차입 내역을 공개한 바 있다. 그런데 20억 달러는 직접적인 상환부담 자금일뿐이다. 사실 현재 상황에서는 일본조차 심각한 경기침체를 겪고 있는 마당이라서 일본경제가 자국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에 투자했던 엔화 자금을 회수하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한국뿐만 아니라 제3국들의 자금 경색이 심화되면 이것이 다시 한국 금융시장에 끼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글로벌 실물경제 추락이 예상을 뛰여넘어 가속화되는 가운데 각국의 경기부양책은 아직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업은행발 금융위기, 동유럽발 금융위기, 일본발 금융위기가 복합적으로 한국의 금융시장을 엄습해오고 있는것이 '제2의 금융위기'의 실체다.
외환시장 붕괴 조짐 기댈 곳이 없다
외부에서 발생한 제2의 금융위기는 한국 금융시장 가운데 외환시장에 가장 먼저 충격을 준다. 한국의 대미 환률은 2008년 말 1259원에서 2월 20일 현재 1506원으로 폭등하여 주요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 와중에 21일 역외 선물환 시장에서는 전날 서울 외환시장보다도 높은 1,514원의 환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사실 달러기축통화체제 아래에서 자국 통화를 국제거래의 결재수단으로 사용할수 없는 한국과 같은 신흥국가들은 급격한 환률변동 앞에서 언제나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에 로출될수밖에 없다. 더구나 기축통화국가인 미국의 류동성 부족으로 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과 같은 포트폴리오((有价证券) 투자자금마저 급격히 회수하는 상황에서는 대비 자체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이번의 환률 불안은 2008년 하반기와는 달리 실물경제 하락과 국제적/동시다발적 금융위험이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발생한 탓에 위험을 완화시킬 환경이 사라졌다는 점에서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로 인해 해외 달러 차입차단, 외국인 주식과 채권 투매, 경상수지 적자 우려와 외환보유고 축소가 서로 맞물리면서 환률이 올라갈 요인만 쌓여 있고 반대로 환률안정을 위한 어떤 환경도 만들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환률 불안으로 수출업체들마저 달러를 국내 외환시장에 풀지않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해외발 금융위기가 확산되고 수출 감소폭이 커지는 가운데 3월에 돌아올 주주총회에서 외국인 배당이 실시되면 환률은 더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이렇듯 환률이 폭등하면 한국 국내 금융시장의 신용위험이 높아질뿐 아니라 농산물, 석유제품, 원자재를 포함한 수입물가와 중간재 부품 수입가격도 높아져 실물경제를 직간접적으로 다시 위협할 것이다.
/흑룡강신문
/200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