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粉靑沙器] 란, 회색 또는 회흑색 태토(胎土) 위에 백토니(白土泥)를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를 뜻한다.
분청사기란 말은 1930년대 고유섭(高裕燮:1904~1944)이 당시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미시마[三島]’란 용어에 반대하여 새롭게 지은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약칭(略稱)이다.
퇴락한 상감청자(象嵌靑瓷)에 그 연원을 두는 이 사기는 14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왕조의 기반이 닦이는 세종연간(1419~1450)을 전후하여 그릇의 질(質)이나 형태 및 무늬의 종류, 무늬를 넣는 기법[施文技法] 등이 크게 발전 ·세련되어 그 절정을 이루게 되었으며, 조선 도자공예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15세기 후반부터 경기 광주 일대에 백자(白瓷)를 생산하는 관요(官窯)가 운영되면서 왕실과 관아에서 필요로 하는 자기의 공급은 광주분원(廣州分院)에서 맡게 되자 관장제수공업체(官匠制手工業體)로서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된 분청사기의 생산은 점점 소규모화되면서 민간용을 주로 생산하게 되었다. 더욱이 중앙관요의 영향이 지방으로 파급되면서 백자의 생산이 계속 증가되었으며, 16세기 중엽 이후에는 분청사기의 생산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임짐왜란 이후에는 백자만이 남아 조선시대 도자기의 주류가 되었다.
분청사기의 특징은 청자나 백자에서는 볼 수 없는 자유분방하고 활력에 넘치는 실용적인 형태와 다양한 분장기법(粉粧技法), 그리고 의미와 특성을 살리면서도 때로는 대담하게 생략, 변형시켜 재구성한 무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분청사기가 유교(儒敎)의 사회기반 위에서 성장하였고 고려 이래의 불교와 함께 표면상으로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은연중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있었던 지방마다 특색이 있는 전통의 영향이었다고 생각된다.
분청사기는 분장과 무늬를 나타내는 기법에 따라 7가지로 분류한다.
첫째는 표면을 선이나 면으로 판 후 백토나 자토(裏土)를 감입(嵌入)해서 무늬를 나타내는 상감기법,
둘째는 무늬를 도장으로 찍고 백토분장(白土粉粧)을 한 후에 닦아내서 찍힌 무늬가 희게 나타나는 인화기법(印畵技法), 셋째는 분장 후 무늬 이외의 백토를 긁어내 태토의 어두운 색과 분장된 백색을 대비시켜 무늬를 표현하는 박지기법(剝地技法), 넷째는 분장 후 선으로 무늬를 새기는 조화기법(造花技法), 다섯째는 분장 후 철분(鐵分)이 많은 안료(顔料)로 무늬를 그리는 철화기법(鐵畵技法), 여섯째는 귀얄로 분장만 하는 귀얄기법, 일곱째는 백토물에 담궈서 분장하는 덤벙기법이다. 이들 각각의 기법들은 시대성과 지역성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분청사기는 크게 4시기로 구분된다.
전기(발생기:1360~1420)는 고려청자 상감무늬의 퇴화된 여운과 그 변모 및 인화기법이 발생한 시기이고, 중기(발전기:1420~1480)는 상감 ·인화 ·조화 ·박지 등 다양한 기법의 분청이 생산된 시기이며, 후기(쇠퇴기:1480~1540)는 상감 ·인화 기법의 쇠퇴하고 철화 ·귀얄 ·덤벙분청이 성행한 시기이며, 말기(소멸기:1540~1600)는 귀얄 ·덤벙분청이 소멸된 시기이다.
분청사기에는 1417년(태종 17) 호조(戶曹)에서 관물(官物) 도용(盜用)의 폐단을 막고자 상소한 내용에 의거 분청사기를 사용한 관청이나 그 제작지 등에 관한 명문(銘文)이 있는 것들이 있다. 이들 관청 중에는 일정기간 존속되었다가 없어진 관청들도 있어 분청사기의 편년(編年)이나 당시 도자기의 제작양상을 파악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문양(文樣)은 조화(彫花)수법을 주로 하고, 일부에 박지(剝地)수법을 곁들여 물고기·모란잎·파초 등을 나타내고 있다. 편평한 양면에는 위를 향한 물고기를 비늘없이 나타내고 있다. 양측면은 3구(區)로 나누어 상·중구에는 모란잎 문양을, 하구에는 파초 문양을 나타냈다.
유약(釉藥)은 담청(淡靑)을 머금은 분청유(粉靑釉)로 식은테가 있으며, 얇게 시유(施釉)되어 있다. 태토(胎土)는 담록(淡綠)을 머금은 회청색으로, 백토시분(白土施粉)이 없는 곳은 시분(施粉)된 곳과의 대조가 선명하다.
국보 제179호 : 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
(粉靑沙器剝地蓮魚文扁甁)
몸통이 둥글고 양면만이 편평하며, 주둥이가 작은 편병(扁甁)이다.
문양(文樣)은 박지(剝地)수법을 주로 하고, 일부 조화(彫花)수법을 곁들여 연꽃·연잎·물고기·연판문(蓮瓣文) 등을 나타내고 있다. 주둥이 밑의 어깨에는 연판문대가 있고, 정면의 평평한 면(面)에는 하엽(荷葉)·하화(荷花)·어문(魚文)을 배치하고, 측면에는 상·중구에 하엽문(荷葉文) 일부를, 하구에는 중연판문(重蓮瓣文)을 배치하였다.
유약은 식은테가 있고, 담갈색을 머금은 분청유(粉靑釉)가 두껍게 시유(施釉)되어 있으며, 약간 산화(酸化) 번조(燔造)를 한 듯 유리(釉裏)에 비치어 보이는 태토(胎土)도 담갈색을 머금고 있다.
국보 제259호 : 분청사기상감용문호
(粉靑沙器象嵌龍文壺)
조선시대 만들어진 항아리로 아가리가 밖으로 살짝 말리고 어깨에서부터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서서히 좁아진 모습을 하고 있다. 크기는 높이 49.7㎝, 아가리 지름 15㎝, 밑 지름 21.2㎝로 기벽이 두껍고 묵직하다.
도장을 찍 듯 반복해서 무늬를 새긴 인화기법과 상감기법을 이용해서 목 둘레를 국화무늬로 새겼으며, 몸통에는 세군데에 덩굴무늬 띠를 둘러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위쪽 부분은 다시 꽃무늬 모양의 굵은 선을 둘러 구획을 나누고 위, 아래로 국화무늬와 파도무늬를 꽉 차게 찍어 놓았다. 몸통 가운데에는 네발 달린 용과 구름을 활달하게 표현하였으며, 맨 아래쪽은 연꽃 무늬를 두르고 있다.
15세기 전반 분청사기 항아리의 전형으로 안정된 형태와 용 문양 표현이 뛰어나다.
국보 제260호: 분청사기박지모란문철채자라병 (粉靑沙器剝地牡丹文鐵彩자라甁)
조선시대 만들어진 병으로 야외에서 술, 물을 담을 때 사용하던 용기이다. 자라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어 자라병이라 불리우며, 크기는 높이 9.4㎝, 지름 24.1㎝이다.
병 전체를 백토로 두껍게 바르고, 윗면에는 모란꽃과 잎을 간략하게 나타냈다. 무늬가 새겨진 곳 이외의 백토면을 깎아낸 후, 검은 색 안료를 칠하여 흑백의 대조가 대비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와 같은 무늬 장식기법을 박지기법이라 하는데, 분청사기 무늬 중 조형적으로 가장 뛰어나다.
이 병의 박지모란무늬는 구성이 대담하고 활발할 뿐만 아니라 무늬와 바탕면과의 대조를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바탕면에 검은 색 안료를 입혔다. 병의 밑면에도 모란을 선으로 새겨 장식하고 있다. 굽은 낮고 바닥 가장자리에 덩굴무늬 띠를 돌렸으며, 유약의 색은 회청색으로 광택이 있으나 바닥의 일부는 산화되어 변색되어 있다.
박지기법과 검은 색 안료의 사용이 잘 조화되어 분청사기 특유의 대범하고 활달한 분위기가 잘 나타난 작품이다.
<청자, 백자, 분청사기에 대한 정리> : 네이버 지식in
청자, 백자, 분청사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색깔과 만들어진시대입니다.
일단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청자는 푸른색, 백자는 하얀색, 분청은 '청자에 하얗게 분칠을 한 것'으로,
하나 씩 살펴보면,
청자는 세 개의 도자기 중 가장 먼저 만들어졌습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고려의 대표적인 도자기가 바로 청자죠.
청자는 청자용 진흙으로 그릇의 모양을 만든 후,
그늘에 말리고, 다 마른 후 그 위에 청자 유약 (나중에 유리로 변하는 액체. 도자기를 보면 겉표면이 반짝반짝하지요? 이 유약 때문입니다.) 을 발라 구우면, 진흙과 청자 유약이 높은 온도에서 결합해, 특유의 청색을 나타냅니다.
청자가 청색이라고는 하지만, 완전 파란 빛깔은 아닙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좀 작습니다.), 녹색이 첨가된 정말 신비한 색깔이지요.
그래서 당시의 중국 사람들도 고려의 청자를 비색(비밀스러운 색깔)이라고 부르면 아주 좋아해서,
고려의 청자가 중국으로 많이 수출되기도 했습니다.
청자가 집중적으로 만들어진 시기는 고려 시대의 12세기 ~ 13세기까지 입니다.
이 기간에 가장 아름다운 순청자(무늬가 없는 순수한 청자 - 오른쪽)와
(흰색 무늬를 넣은 청자 - 왼쪽)상감청자가 만들어졌습니다.
(상감청자) (순청자)
그 다음에 만들어진 것이 청자와 백자의 중간 단계인 분청사기입니다.
말 그대로 청자는 청자인데, 흰색으로 화장을 한(분칠을 한) 도자기가 바로 분청사기 이지요.
만들어진 시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14 ~ 15세기)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바탕 부분이 청자 빛깔이구요, 하얀 꽃무늬가 흰색칠을 한 부분입니다.
만드는 과정은 청자와 같습니다.
진흙으로 그릇을 빚고 , 그 위에 유약을 바른 후, 가마 속에 넣어 높은 온도에서 구워내는 것입니다.
(분청사기)
그 다음에 만들어진 것은 조선의 대표적인 도자기 백자입니다.
하얀 빛깔의 도자기 이지요.
흰색의 진흙에 투명한 유약을 발라 구운 것으로,
아무 무늬도 없는 순수한 백자도 있고,
그 위에 파란 물감(청화백자), 빨간 물감(진사백자)으로 그림을 그린 백자도 있습니다.(시기에 따라 유행하는 백자가 달라집니다.)
조선 사람들의 미적감각에 가장 잘 어울리는 소박한 아름다움이 있는 도자기로 조선 초기를 제외하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