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잘난 마음’을 닦으라
불교공부를 하고, 수행을 하는 사람들일수록 정말이지 큰 아상我相에 빠져들곤 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수행을 많이 하면 할수록 '나는 수행 잘 하는 사람이다.' 라는 등의 '나 잘난' 상을 많이 만들어 낸다. 물론 그런 마음을 가지면 잘못이고 틀렸다는 말을 하는 것이 아니다. 어쩔 수 없이 그런 마음이 일어날 것이다. 그러니 자책하라는 말이 아니다. 다만 잘 지켜볼 수 있어야 한다. 잘 지켜봄으로써 '나'란 허상에서 바로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건 수행자들에게 있어 상당히 중요한 문제다. 수행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이 점을 잘 지켜보는 것이다. 잘 지켜보아 거기에 빠지고 집착하지 않는 것이 수행이다. 그것이야말로 아상의 실체를 여실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난 수행자다'하는 그 아상, 그 '나 잘난 마음' 그 마음을 잘 닦아낼 수 있어야 비로소 수행자의 대열에 들 수 있다. 물론 이건 수행자 만에 해당되는 문제는 아니다. 모든 사람들이 자기자신을 어떤 것과 동일시 해 놓고 그것이 자신인 줄 착각한다.
그러나 이 세상에 그 어떤 것도 나 자신과 동일시 할 것은 아무것도 없다. 어떤 것이 '나'일 수 있겠는가. 딱 잘라 '이것이 나다'라고 할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런데 무엇을 가지고 스스로 열등과 우월의식을 가질 것인가. 돈 좀 있고, 명예가 좀 높고, 사회적으로 이름 좀 드날린다고 치자. 그것이 나인가? 절대 그것이 나는 아니다. 그냥 그것은 일종의 잠시 걸치는 겉옷일 뿐이다. 사람들은 거기에 속을 것이고 물론 스스로도 거기에 속는다. 그러나 지혜로운 이라면 그것을 타파할 수 있어야 한다. 세상에서 씌워놓은 온갖 상相들에서 홀가분하게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
세상에서는 그것을 중요시 여길 것이다. 좋은 차를 타고, 좋은 집에 살면서, 돈을 펑펑 쓰고 살면 남들이 모두 나를 대접해 준다. 남들이 나를 바라보는 눈빛이 다르다. 그것은 너무나도 달콤하다. 그것을 버리기 싫다. 더 많이 벌고 싶고, 더 많이 주목받고 싶고, 더 높은 자리에 오르고 싶으며, 내 이름을 더 많이 빛내고 싶다.
그러나 거기에서 놓여날 수 있어야 한다. 설사 그것을 다 누리고 살더라도 거기에 집착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그게 우리들의 수행이다. 그것이 '아상'을 녹이는 무아無我의 수행이고, 집착을 버리는 방하착放下着의 수행이며, 항상 하는 것이 없다는 무상無常의 수행, 텅 비어 있다는 공空의 수행, 다만 조건 따라 변화해 갈 뿐이라는 인연법因緣法의 수행이다.
'나'라고 생각되는 일체 모든 것들에서 자유로와질 수 있어야 한다. '나'는 없기 때문이다. '내 소유' ‘내 생각’ ‘내 몸’에 얽매이고 집착하지 말라. '내 것'은 어디에도 없다. 하물며 수행하는 사람이 '나는 수행자다'라는 상을 내면서 스스로 남들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겠는가.
어쩌면 스님들은 '스님'이라는 틀을 깨는 사람들이다. 부단히 스님을 깨고 나오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비로소 스님이라는 상에서 깨어났을 때 비로소 스님이 될 수 있는 사람들이다. 스님이라는 상에 갇혀 스님은 대접받고 살아야 한다거나, 신도님들께 존경을 받아야 한다거나 하는 그런 상에 갇혀 있는 순간 이미 스님은 스님이 아니다.
그 모든 상을 깨고, 고정된 이 세상의 모든 틀을 깨고 자유로이 고요한 사유의 뜰을 거닐을 수 있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스님인 것이다. 금강경의 표현을 빌자면, 스님은 스님이 아니다. 그러므로 스님이다.
첫댓글 스님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스님은... 스님이 아니다... 그러므로 스님이다.... 산은 산이 아니요.. 물은 물이 아니다.... 산은 물이요.. 물은 산이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