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총평 및 학습계획】
2016년 실시된 14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을 간단히 총평하면, 이전의 시험문제들과의 차이점은 1회, 2회 시험을 제외하고 가장 합격률이 높았던 점을 감안해 보았을 때 쉬운 문제들로 다수 구성되었다는 점이며, 이전의 시험문제들과 비교하였을 때 공통점은 14회 시험에서도 8가지 영역 중 사회복지조사론과 사회복지정책론이 가장 어려웠다고 할 수 있다.
아래에 제시한 [역대 사회복지사 1급 시험 합격률]을 보면, 14회 시험 합격률은 47.4%(응시자 대비)로 전년도의 31.6%보다 많이 상승하였다. 합격률의 통계 추이를 보면 2017년 15회 시험에서는 다소 어렵게 출제되어 합격률이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되기 때문에 수험생 여러분은 이에 따른 학습방법이나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역대 사회복지사 1급 시험 합격률]
구분 |
제1회 (2003) |
제2회 (2004) |
제3회 (2005) |
제4회 (2006) |
제5회 (2007) |
제6회 (2008) |
제7회 (2009) |
접수 인원(명) |
6,114 |
9,082 |
10,287 |
14,617 |
20,580 |
27,435 |
29,770 |
합격자(명) |
3,487 |
4,543 |
3,731 |
5,056 |
4,006 |
9,034 |
7,081 |
응시자 중 합격률(%) |
67% |
63% |
43% |
42% |
25% |
46% |
31% |
구분 |
제8회 (2010) |
제9회 (2011) |
제10회 (2012) |
제11회 (2013) |
12회 (2014) |
13회 (2015) |
14회 (2016) |
접수 인원(명) |
26,587 |
25,451 |
28,143 |
25,719 |
27,882 |
26,327 |
|
합격자(명) |
9,700 |
3,141 |
10,320 |
5,839 |
6,366 |
6,764 |
9,919 |
응시자 중 합격률(%) |
42.1% |
14.4% |
43.6% |
28.3% |
28.1% |
31.6% |
47.4% |
★ 영역별 시험문제 분석과 학습계획 ★
제1영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전략 영역 (목표 정답 수 : 20개)
8가지 영역 중에서 가장 쉽게 출제된 영역이다. 학자들의 이론이 골고루 출제되었으며 반두라, 피아제의 경우는 2문제까지 출제되었다. 이전에 잘 출제된 콜버그의 문제는 출제되지 않았으며, 이전에 나왔던 출제지문에서와 같은 지문들이 많이 보였다. 다만, 유아기의 발달특성 문제는 오류가 있어, 아쉬움 부분이 있었다. 모든 영역 중에서 가장 전략적인 영역으로 간주되는 것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이라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던 시험문제였다.
【학습계획】
기존의 기출문제를 잘 점검하면서, 인간발달(발달원리), 성격이론(지그문트 프로이트~매슬로우), 발달단계(태아기~노년기), 환경체계(체계의 특성, 가족, 집단, 문화 등) 부분을 차근차근 개념정리를 하면서 체계화 된 학습을 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제2영역 사회복지조사론 - 비 전략 영역 (목표 정답 수 : 13개)
8가지 영역 중에서 가장 어렵게 출제된 영역 중 하나이다. 사회복지조사론의 경우 개념 정리를 철저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인식하게 해 준 문제들이었다. 다시 말하면, 개념정리가 안 되어 있다면, 응용하기 힘들어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조사설계의 타당성, 연구윤리, 측정의 무작위 오류(random error), 질적연구의 엄격성(rigor), 영가설, 실험설계, 조절변수, 타당도와 신뢰도, 표본추출, 조사의 유형, 비관여적 연구, 델파이조사의 문제는 약방의 감초처럼 잘 나오는 분야로서 이에 대해 철저한 학습이 요구된다. 사례문제도 6문제가 출제되었으므로 사례와 대비된 문제들을 풀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학습계획】
기존의 기출문제를 잘 점검하면서, 빈출영역이 또 다시 출제되는 경향이 가장 많은 영역이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3번 이상 보아야 한다. 그리고 목차에서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이므로 이를 철저하게 숙지하면서 사례와 적용하면 효과가 있을 것이다.
제3영역 사회복지실천론 - 전략 영역 (목표 정답 수 : 20개)
8가지 영역 중에서 쉽게 출제된 영역 중 하나이다. 사회복지실천론은 2교시 3영역에서 가장 쉽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번에도 문제지문이 그리 길지 않았으며 사례문제도 어렵게 출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쉽게 풀 수 있었을 것이다.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개입의 기법 개념 문제를 제외하고는 쉬운 문제들이었다. 사례문제는 2문제가 출제되는 것이 그쳤으며 나머지는 지식적인 차원에서 출제하여 쉬운 느낌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학습계획】
기존의 기출문제를 잘 점검하면서, 시회복지실천론은 나오는 영역이 제한되어 있는 만큼 빈출영역(사회복지실천의 개요,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현장, 관계론, 면접론, 실천과정, 사례관리 등)에 대한 학습을 잘 해 두면 고득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4영역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전략 영역 (목표 정답 수 : 20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경우 사회복지실천론보다는 약간 어렵게 출제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이번 시험에서도 그런 부분이 나타났다. 개인대상 모델, 집단대상 모델, 가족대상 모델의 문제가 적절하게 잘 조합되어 출제되었다. 다만, 이전의 문제유형과 많이 다른 점은 사례문제가 불과 2문제밖에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례문제의 경우 개념정리를 잘 해야 풀 수 있지만, 23문제를 모두 이론적인 부분에서 출제하였다는 점에서 추후 지식적인 이론정리를 잘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해결지향적 질문 유형 중관계성 질문, 골란(N. Golan)의 위기반응 단계, 사회복지실천에서 기록의 목적 등은 이전에도 출제된 부분인데, 역대 기출문제들을 잘 점검하는 것이 중요한 학습 포인트가 될 것이다.
【학습계획】
기존의 기출문제를 잘 점검하면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모델문제와 기법(기술)문제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므로 각각의 개인대상 모델, 집단대상 모델, 가족대상 모델과 기법(기술)을 중심단어 위주로 잘 정리하고 빈출영역에 대한 학습을 등한시하면 안 될 것이다.
제5영역 지역사회복지론 - 비 전략 영역 (목표 정답 수 : 15개)
원래 지역사회복지론은 2교시 영역에서 가장 어렵게 출제되는 영역인데, 이번 시험에서는 이전과 다르게 쉬웠지만, 2교시 영역과 비교했을 때는 다소 어렵게 출제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학자별 지역사회(community)에 관한 설명, 지역사회복지 이념, 지역사회에 관한 기능주의 관점, 설득의 구성요소, 우리나라 새마을운동, 테일러와 로버츠(S. H. Taylor & R. W. Roberts)의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문제가 다소 지엽적인 부분이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집중하여 문제를 풀었다면 풀 수 있는 문제도 많았다. 사례문제의 경우는 2문제가 나왔으며 기본적인 학습이 잘 되었을 경우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였다.
【학습계획】
기존의 기출문제를 잘 점검하면서,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실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 지역사회복지실천 기술문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론(이념), 추진체계,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현황 등을 잘 정리하길 바란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론의 경우는 전반적인 영역에서 골고루 출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나무보다는 숲을 보는 마음으로학습하는 것이 고득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6영역 사회복지정책론 - 비 전략 영역 (목표 정답 수 : 13개)
과거 사회복지정책론은 가장 어렵게 출제되는 영역이었으며 이번 시험에서도 가장 어렵게 출제된 영역 중 하나이다. 보건복지부 지역 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복지국가 발전 이론, 사회복지정책 관련 원칙과 가치,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우리나라 사회적 경제 주체, 우리나라 사회복지재원, 중앙정부의 사회보험성 기금, 정책분석의 3P (과정분석, 산물분석, 성과분석) 중 과정분석의 사례, 우리나라 자활사업의 문제가 다소 생소하거나 어렵다고 생각하였을 문제들이다. 사회복지정책론의 문제를 잘 풀기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에 관심을 많이 갖는 것이 중요하며 최근 우리 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제도들을 잘 알아두는 것도 중요한 학습 포인트이다.
【학습계획】
기존의 기출문제를 잘 점검하면서,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역사(제도), 복지국가론, 복지정책모형(이념), 정책발달이론, 산물분석, 빈곤정책, 사회보장론(공공부조, 사회보험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잘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사회복지법제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행정론과도 밀접한 영역이기 때문에 어렵다고 결코 포기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제7영역 사회복지행정론 - 전략 영역 (목표 정답 수 : 20개)
8가지 영역 중에서 다소 쉽게 출제된 영역 중 하나이다. 사회복지행정론은 3교시 3영역에서 가장 쉽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번 시험에서도 그리 어렵게 출제되지는 않았다. 의사결정에 관한 설명, 우리나라의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현황, 스키드모어(Skidmore)의 기획과정,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조직구조에 관한 설명 부분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학습이 이루어졌을 경우 풀 수 있는 문제들이었다. 사회복지행정론은 관리가 중요한 영역인데, 조직관리, 인사관리, 재정관리, 정보관리 등이 다수 출제되는 영역이며 최근 한국의 사회복지행정 현황을 물어보는 문제도 출제되었다.
【학습계획】
기존의 기출문제를 잘 점검하면서, 사회복지행정의 개요, 조직관리, 인사관리, 재정관리, 정보관리, 홍보와 마케팅, 리더십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잘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정책론과도 밀접한 영역이기 때문에 잘 학습해 두면 시너지 효과도 있을 것이다.
제8영역 사회복지법제론 - 전략 영역 (목표 정답 수 : 20개)
사회복지법제론은 학습할 분량이 가장 많기 때문에 많은 수험생이 힘들어하는 영역이다. 사회복지법제론은 어렵게 출제되면 합격률이 낮아지고, 만약 쉽게 출제되면 합격률이 급상승하는 영역이다. 이번 합격률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복지법제론은 13회 시험과 같이 쉽게 출제되었다. 법률의 제정에 관한 헌법의 내용(헌법 52조, 53조),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기준 중위소득의 산정, 국민건강보험법령상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 고용보험법상 육아휴직 급여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수험생 입장에서 보면, 편안하게 문제를 다룰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학습계획】
기존의 기출문제를 잘 점검하면서, 사회복지법제론의 총론과 각론부분에서의 빈출영역들을 잘 선택하여 학습하는 것이 좋다. 사회복지법제론 내용은 광범위하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전략으로 다가가는 것이 좋은 학습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정책론과도 밀접한 영역이기 때문에 잘 학습하면 3교시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목표 정답 수를 모두 합하면, 141개이다. 최종 마무리 모의고사(씨패스 사이트에서 1월 초에 실시) 점수에서 이 정답 수(141개)가 나오면 큰 실수만 없다면, 합격이 무난할 것으로 생각한다.
부디 2017년 1월 21일(토)에 실시될 15회 시험에서 좋은 결과 있길 바라며, 여러분뿐만 아니라, 온 가정에 소망과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주) 나눔씨패스 김형준 교수
* 본 자료는 사회복지사1급 수험생분들을 위해 제공해 드리는 자료입니다!!
* 저희 나눔씨패스(나눔복지교육원)는 수험생 여러분을 합격을 응원합니다!!
첫댓글 유용한학습계획감사드립니다
합격을 기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