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6칙 종성칠조(鍾聲七條)
운문 문언 선사께서 "세계가 이렇게 광활(廣闊)한데 무엇 때문에 종소리를 듣고 칠조가사(七條袈裟)를 입는가?" 라고 이르셨다.
雲門曰 世界恁?廣闊 因甚向鍾聲裏 被七條
무문 선사 평창
참선을 하고 도를 배우는 사람이라면 소리를 따르고 색을 쫓는 것을 삼가하라. 소리를 들으면 도를 깨치고 색을 보면 마음을 밝히는 것이 당연하거늘 승가(僧家)에서까지 소리를 쫓고 색에 빠져서 물건물건마다 밝고 곳곳마다 묘한 것을 알지 못한다. 비록 그러하나 일러 봐라. 소리가 귀에 오는가. 귀가 소리에 가는가. 메아리와 고요 둘 다 잊은 여기에 이르러서는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만약 귀로 듣는다면 알기 어려울 것이고 눈으로 소리를 들어야 비로소 친할 것이다.
無門曰 大凡參禪學道 切忌隨聲逐色 縱使聞聲悟道 見色明心 也是尋常 殊不知納僧家 騎聲蓋色 頭頭上明 著著上妙 然雖如是 且道 聲來耳畔 耳往聲邊 直饒響寂雙忘 到此如何話會 若將耳聽 應難會 眼處聞聲方始親
무문 선사 송
알면 한 집안 같은 일이며
알지 못하면 천차만별이다
알지 못하면 한 집안 같은 일이며
알면 천차만별이다
會則事同一家
不會萬別千差
不會事同一家
會則萬別千差
제16칙 종성칠조鍾聲七條
- 한 걸음 걷지 않은 2보 3보는 관념에 불과하다.
[본칙本則]
운문선사가 말하였다.
“세계가 이렇게 광활한데 무엇 때문에 종소리 난다고 칠조 가사를 수하는고?”
운문왈雲門曰 세계임마광활世界恁麽廣闊 인심향종성리피칠조因甚向鍾聲裏披七條
[평창評唱]
무문선사가 평하여 말하였다. 무릇 참선을 하고 도를 배우는 사람이라면 소리를 따르고 모양을 쫓는 것을 절대 꺼린다. 비록 소리를 듣고 도를 깨닫거나, 모양을 보고 마음을 밝혔다 하더라도 그것 또한 대수로운 일이 아니다. 선가禪家의 사람들은 소리를 올라타고, 모양을 덮어서 모든 것을 밝게 보고 한 수 한 수 묘한 경지를 연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것은 그렇다 치고, 일러보라. 소리가 귀 쪽으로 오는 것인가? 귀가 소리 쪽으로 가는 것인가? 소리와 고요함, 이 둘을 다 잊어버린 경지에 이르러 (그 경지를)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만약 귀로 듣는다면 알기 어려울 것이고 눈으로 소리를 들어야 그때 비로소 깨닫게 될 것이다. 게송으로 말하였다.
무문왈無門曰 대범참선학도大凡參禪學道 절기수성축색切忌隨聲逐色 종사문성오도縱使聞聲悟道 견색명심見色明心 야시심상수부지也是尋常殊不知 납승가기성개색納僧家騎聲蓋色 두두상명頭頭上明 저저상묘著著上妙 연수여시然雖如是 차도且道 성래이반聲來耳畔 이왕성변耳往聲邊 직요향적쌍망直饒響寂雙忘 도차여하화회到此如何話會 약장이청응난회若將耳聽應難會 안처문성방시친眼處聞聲方始親 송왈頌曰
깨달으면 모두가 한 집안 같은 일이며
깨닫지 못하면 모든 것이 다 천차만별이다.
깨닫지 못해도 모두가 한 집안 같은 일이며
깨닫고 보아도 모든 것이 다 천차만별이다.
회칙사동일가會則事同一家
불회만별천차不會萬別千差
불회사동일가不會事同一家
회칙만별천차會則萬別千差
[새김]
무문관 제13칙에서 덕산선사는 종도 울리지 않았는데 발우 들고 공양간으로 갔다가 말후구末後句를 모른다는 말을 들었는데, 여기서는 정반대의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즉 종소리가 울렸기 때문에 가사를 수하고 법당으로 가려는 것인데 오히려 이것이 문제가 되었다. 무문선사는 한 수 더 떠서 소리가 귀 쪽으로 오는 것인가? 귀가 소리 쪽으로 가는 것인가라고 묻고 있다.
우리는 눈먼 나귀처럼 소리와 색깔의 일상적 습관에 젖어 있다. 우리의 의식을 구성하는 것은 육근六根과 육진六塵이다. 소리를 듣고, 색깔을 구분하며, 그리하여 의식을 형성한다. 의식은 일정한 상황에 대해 효율적으로 반응하기 위한 도구이다. 바로 여기에 명암이 있다.
불교는 일상적 의식의 기제가 근원적 자아에 대한 깨달음을 방해하고 있다고 증거한다. 의식의 파장은 그 속성상 대상을 아주 좁게 한정하며 그리하여 의식의 근원(如來藏)을 그 전체에 있어 발현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운문선사는 말한다.
“세계가 이렇게 광활한데 무엇 때문에 종소리 난다고 칠조 가사를 수하는고?”
광활한 세계란 일심一心 혹은 진여眞如가 연출하는 대자유의 무한법계를 가리킨다. 그곳은 지속적인 공안참구를 통해 인식의 고착된 프리즘을 걷어내야만 기약할 수 있다. 세상은 그대로 툭 터진 진리의 세계이다. 귀에 들리는 것은 다 부처님의 음성이요(一切聲是佛聲), 눈에 보이는 것은 다 부처님의 상호이다(一切色是佛色). 깨달음이란 이러한 도리를 곧바로 아는 맛이 아니겠는가.
일찍이 소리나 색깔에 갇힌 칠통을 타파하여 그 너머를 본 사람들이 있었다. 향엄香嚴선사는 무심코 던진 돌맹이가 대나무에 부딪치는 소리를 듣고 깨달았고, 서산西山대사는 여행길에서 닭 울음소리를 듣고 깨달았다. 즉 문성오도問聲梧道한 것이다. 한편, 영운靈雲선사는 어느 봄날 복사꽃 핀 것을 보고 깨달았고 세존世尊께서는 새벽에 뜬 별을 보고 대각大覺을 이루셨다. 즉 견색명심見色明心한 것이다. 불신佛身은 법계法界에 가득 찼으니 온 세월, 온 공간이 환하게 툭 터져 있다. 즉 광활廣闊하다.
그에 상응하는 진리적 삶은 소리를 올라타고[騎聲] 모양을 덮어야 한다[蓋色]. 이는 주체성, 주체적 자각을 갖고 살아감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인道人이 종소리에 움직임은 무슨 소식인가? 일체의 것에 집착하지 않는 자유인이 되겠다는 투철한 소망을 품고 있는 스님들이 종이 울리면 자동적으로 가사를 걸치고 공식 행사에 참여한다는 것은 무척 아이러니한 일이다.
그래서 운문선사의 사자후는 선방禪房에서 수행하는 스님들의 매너리즘을 질타하는 것처럼 보인다.
“세계는 이렇게 넓고 그만큼 가야할 곳도 많고 해야 할 것도 많은데, 너희들은 어떻게 선방에 틀어박혀 이다지도 매너리즘에 빠져 마치 파블로프의 개처럼 조건 반사적으로 살아가고 있는가! 그러고도 너희가 주인의 삶을 살려는 소망을 품을 수 있겠는가!”
그렇지만 “세계는 이처럼 넓다(世界恁廣闊)”는 운문선사의 이야기를 쉽게 읽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자유인이 살아가는 세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백일몽의 세계를 가리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마치 1보도 내딛지 않는 사람이 꿈꾸고 있는 2보, 3보, 그리고 n+1보의 걸음처럼 말이다. 철학자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의 저서 ‘아케이드 프로젝트(Arcades Project)’에 다음 구절이 나온다.
“역사의 진보와 마찬가지로 학문의 진보도 항상 그때그때의 일보만이 진보이며 2보도 3보도 n+1보도 결코 진보가 아니다.”
다양한 등산로 중 어느 길이 좋을까를 자유롭게 생각하는 순간, 우리는 산 정상에 이르는 1보를 내딛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만일 어느 코스든 한 곳을 정해 1보를 내딛고 출발한다면, 순간 우리 뇌리에는 수많은 등산로가 봄눈 녹듯이 사라질 것이다. 그렇게 발만 보고 터벅터벅 한 걸음씩 옮기면 어느 새 우리는 정상에 도달하게 된다.
1보를 걷지 않고서 꿈꾸는 2보도 3보도 그리고 n+1보도 단지 백일몽에 불과할 수밖에 없다. 당당하게 자신이 한 걸음 내딛은 길을 한 걸음 한 걸음 제대로 이어간다면, 우리는 정상에 혹은 주인의 삶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종소리를 듣자 가사를 수하고 법당으로 향하는 것이 오히려 불작佛作이요, 불행佛行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소리 경계에 속박된 행위가 아니라 깨달음의 생활 속에서 저절로 행위 되어지는, 즉 무심無心의 경지에서 발동하는 대자유大自由의 흔적이다. 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하여 더 할 말이 없다. 도인의 삶은 사사무애事事無碍의 경지를 보인다. 선禪은 그런 점에서 원융하기 그지없는 일상생활이다. 부단한 정진 끝에는 수성隨聲과 기성騎聲의 경계가 무너진다. 분별 자체가 무의미하다. 차별계와 평등체는 한바탕이기 때문이다.
첫댓글 종소리 울리니 칠조가사를 걸치고 법당에 예불 드리러 가는 것이 무엇이 문제인가? 행동주의 심리학에 조건반사라는 실험이 있다. 개한테 밥을 줄 때마다 종을 울리면 종소리에 조건화 되어서 밥을 안주고 종을 울려도 침을 흘린다. 즉 선승이 모든 감각적 자극에 조건화 되어 반응하지 말라는 말이다. 우리의 일상도 웬만하면 모두 상징화된 기호들, 소리들 등등 에 따라 행동한다. 모두 그런 장치들에 조건화 된다. 물론 질서를 유지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일들이다. 그런 삶이 싫어서 숲속 비문명권에서 자유롭게 살려는 사람들도 있다. 조건화 되지 말자. 파라상가떼 보디스와하🙏🙏🙏
"선승이 모든 감각적 자극에 조건화 되어 반응하지 말라는 말라" 감각적 자극을 초월하여 행동하는 것을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