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16 (월) 文대통령… 대구·경북 일부 '특별재난지역' 선포

문재인 대통령은 3월 1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대구·경북 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재가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출입기자단에 보낸 공지메시지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오후 2시 10분, 대구 및 경북 일부지역(경산, 청도, 봉화)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재가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들어 7번째 특별재난지역 선포다. 특히, 자연재해가 아닌 감염병으로 인한 첫 선포 사례로 기록되게 됐다. 앞서 2017년 포항 지진을 시작으로, 지난해 강원도 산불까지는 모두 자연재해로 인한 특별재난지역 선포였다. 특별재난지역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것으로 자연·사회 재난을 당한 지역에서 지방자치단체 능력만으로 수습하기 곤란해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가 대상이다.
앞서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지사는 대구·경북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한 바 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관련 피해 상황을 조사해 복구계획을 수립하고 복구비의 50%를 국비에서 지원한다. 주민 생계 및 주거안정 비용, 사망·부상자에 대한 구호금 등도 지원되며 전기요금·건강보험료·통신비·도시가스요금 등의 감면 혜택도 주어진다.






코로나19, 3주만에 100명 아래로… 76명 늘어, 총 8162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하루 신규 환자가 23일 만에 100명 밑으로 떨어졌다. 나흘 연속 감소 추세 속에 누적 확진자는 8162명이며 834명이 완치 판정을 받았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월 15일 오전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총 누적 확진 환자가 8162명이며 이 중 834명이 격리 해제됐다고 밝혔다.
지난 3월 14일 오전 0시 기준 8086명 대비 확진자는 76명 증가했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100명 아래로 줄어든 건 지난달 2월 21일(오전 9시 기준 전날 대비 74명 증가) 이후 23일 만이다. 3월 11일 242명에서 12일 114명, 3월 13일 110명, 3월 14일 107명에 이어 76명으로 나흘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 대구·경북 감소추세 속 수도권서 22명
새로 확인된 환자 76명은 ▲대구 41명 ▲경기 11명 ▲서울 9명 ▲경북 4명 ▲부산·충북 각 3명 ▲인천 2명 ▲광주·울산·세종 각 1명 등이다. 대구에서 여전히 가장 많은 확진 환자가 발생했지만 3월 12일 73명, 3월 13일 61명, 3월 14일 62명에 이어 다시 하루 만에 21명 줄었다. 누적 확진자는 5510명이다.
신천지 교인들에 대한 검사가 마무리된 가운데 대구시 등에 따르면 콜센터에 이어 성심요양병원(입원 환자 1명)·김신용양병원(간호사 1명 이상 3월 13일)·리더스 재활병원(간병인 1명 3월 14일) 등 요양시설과 북구 보금자리복지센터 등록 노인 2명 등에서도 확진 환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집단 감염이 발생한 구로 콜센터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증했던 수도권의 경우 하루 76명이 새로 확인된 3월 11일 이후 신규 환자 수가 나흘째 20명대를 유지했으며 전날보다 7명 감소했다. 수도권 누적 확진자는 488명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추가 확진자가 1명 늘어난 상황에서 구로 콜센터 관련 서울 지역 확진 환자는 전날보다 2명 늘어난 76명이다. 천안시 줌바댄스 워크숍을 통해 확진 환자가 속출했던 충남에서 이틀째 신규 환자가 확인되지 않은 가운데 대전, 강원, 전북, 전남, 경남, 제주 등에서도 추가 환자가 나오지 않았다.
지역별 누적 확진 환자는 ▲대구 6031명 ▲경북 1157명 ▲서울 247명 ▲경기 211명 ▲충남 115명 ▲부산 106명 ▲경남 85명 ▲세종 39명 ▲충북 31명 ▲인천 30명 ▲강원 29명 ▲울산 28명 ▲대전 22명 ▲광주 16명 ▲전북 7명 ▲전남·제주 각 4명 등이다. 인구 10만명당 발생률(확진 환자 수)은 15.74명이다. 대구가 247.53명으로 가장 높고 경북 43.46명, 세종 11.39명, 충남 5.42명, 부산 3.11명 순이다.
◇ 완치율 10% 넘었다… 사망자 75명째
완치 판정을 받고 최종 격리 해제된 확진 환자는 전날 714명에서 120명 늘어 총 834명이 됐다. 이에 따라 현재 격리돼 치료를 받는 확진자도 전날 7300명에서 7253명으로 47명 감소했다. 3월 11일 41명에서 12일 45명, 3월 13일 177명, 3월 14일 204명 등으로 가파르게 늘던 격리 해제 환자 증가 폭은 다소 주춤했지만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55일 만에 처음으로 완치율이 10%(약 10.2%)를 넘어섰다.
지역별로 보면 신천지 교회를 중심으로 환자가 급증했던 대구에서 67명, 경북에서 25명이 새로 완치 판정을 받았고 부산 12명, 경남 5명, 경기 4명, 서울 3명, 울산·강원·충북·충남 등에서도 1명씩 격리 해제됐다. 누적 완치 환자는 대구가 468명으로 가장 많고 경북 163명, 부산 52명, 서울 47명, 경기 40명, 경남 16명, 충남 10명, 강원 7명, 울산·충북 각 6명, 인천·광주·대전·전북 각 4명, 전남 2명, 제주 1명 등이다.
이런 가운데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712명의 환자(1차 407명, 2차 305명)가 격리 해제 전 진단 검사를 받고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어 완치 환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사망자는 전날 72명에서 3명 늘어난 75명이다. 3월 14일 부산에서 고혈압 등 기저질환이 있던 88세 여성(8087번째 확진자)이 치료 중 사망했다. 대구에서는 오후 6시10분께 고혈압과 당뇨 등이 있었던 86세 여성, 마찬가지로 고혈압과 당뇨 등을 앓고 있던 73세 여성이 오후 8시25분께 숨졌다. 누적 검사 건수는 26만8212건이다. 검사 중인 사람은 1만6272명으로 전날(1만7634명)보다 1362명 감소했고 24만3778명은 검사 결과 음성으로 판명됐다.






홍준표·민병두 무소속 출마… '컷오프' 후유증

4.15 총선을 한달 앞두고 공천에서 배제된 여야 의원들의 무소속 출마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미래통합당에선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더불어민주당에선 민병두 의원이 3월 15일 각각 탈당 및 무소속 출마를 공식화했다. 홍준표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구 수성을에서 대구 시민들의 시민 공천으로 홍준표의 당부를 묻기로 했다"며 "3월 17일 대구 수성못 이상화 시비 앞에서 대구 선언문을 밝힐 것"이라고 썼다.
그는 "25년 헌신한 이 당을 잠시 떠나 무소속으로 출마한다는 것 자체가 모험이고 협잡에 의한 막다른 골목"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저를 부디 이해해 주기 바란다. 반드시 승리하고 원대 복귀하겠다"고 덧붙였다. 홍준표 전 대표는 페이스북의 다른 글에서도 자신에 대한 '컷오프(공천 배제)'를 "황(교안)과 김(형오)이 합작한 협잡 공천"이라고 규정하며 "이 황당한 경우를 대구 시민들의 도움으로 헤쳐 나가 한국 정치 중심에 다시 우뚝 설 것"이라고 했다.
홍준표 전 대표는 당초 경남 밀양·창녕·함안·의령에 출마할 계획이었으나 황교안 대표와 공천관리위원회가 '서울 험지 출마'를 압박하자 경남 양산을에 공천을 신청했다. 그러나 공관위가 결국 자신을 컷오프시키자 이에 반발해 대구 지역 무소속 출마를 예고했다. 대구 수성을은 미래통합당 주호영 의원이 내리 4선을 한 곳으로, 주 의원이 민주당 김부겸 의원의 지역구인 수성갑으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하게 되면서 정상환 변호사와 이인선 전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경선에 나선 상태다.
더불어민주당에선 서울 동대문을에서 컷오프된 3선 민병두 의원이 이날 탈당 및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민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제가 출마를 하지 않으면 의석을 하나 내주는 것이 되지만, 제가 출마하는 것은 반대로 의석을 하나 유지하는 것이라고 해서 용기를 내었다"고 밝혔다. 그는 동대문을이 청년우선 전략지역으로 선정된 데 대해 "민주당이 청년정치인을 육성하려는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도 "하지만 연고가 전혀 없는 청년을 선거 30일 전에 내려보내는 것은 청년에게도 가혹한 일"이라고 했다.
민병두 의원은 그러면서 "제가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청년을 돕는다고 해도 기적을 구하기에는 너무 조건이 어렵다"고 했다. 민병두 의원은 또 "'될 사람 밀어주자', '동대문 발전은 동대문 출신 정치인이'라는 주민들의 여론이 저와 미래통합당 후보와 양자대결 구도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제가 승리해 동대문 발전의 꿈을 완성하겠다"고 했다.
다만 그는 "당선을 목표로 힘차게 달리겠다. 1위가 지상목표"라면서도 "만약 1위가 될 것 같지 않으면 민주당 청년후보가 승리할 수 있도록 몰아주겠다"고 말해 추후 선거 포기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 민주당은 과거 '미투' 논란으로 정밀심사 대상에 오른 민병두 의원에 대해 공천 배제 결정을 내렸으며, 동대문을 지역구를 청년우선 전략지역으로 결정해 김현지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코로나대책부단장과 장경태 민주당 청년위원장을 경선에 부쳤다. 미래통합당에선 이혜훈 의원이 이 지역에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軍 맞습니까?… 제주해군기지 뚫려

민간 시위대가 제주해군기지의 철조망을 절단한 뒤 부대에 침입했지만 해군은 이 사실을 1시간 가까이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3월 15일 드러났다. 시위대가 철조망을 뜯는 과정이 기지 CC(폐쇄회로)TV에 3분간 찍혔지만 해군은 이를 놓쳤다. 더구나 해군은 침입을 뒤늦게 인지하고도 '5분 대기조'를 바로 출동시키지 않고 시간을 허비하다 침입 2시간이 돼서야 시위대를 붙잡았다. 기지 경계도 후속 대응도 모두 총체적 난맥을 보인 것이다. 그사이 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해 온 민간 시위대는 보안 시설인 기지 곳곳을 활보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제주해군기지 무단 침입 사건 결과를 발표하고, 경계 태세와 상황 보고·조치에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고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사건은 지난 3월 7일 오후 2시 13분 송모씨 등 시위대 4명이 제주기지 외곽에서 직경 4㎜ 철조망을 절단하면서 시작됐다. 이들이 3분 동안 철조망을 자르는 장면은 CCTV에 고스란히 잡혔다. 하지만 경보 시스템은 울리지 않았고, 담당 근무 장병들도 이를 보지 못했다. 합참은 "CCTV를 교체하면서 기존 시스템과 호환이 되지 않아 경보 기능이 작동하지 않았다"고 했다.
해군은 시위대가 부대에 침입한 지 1시간 뒤에야 이를 인지했지만, 이를 체포할 5분 대기조를 곧바로 출동시키지 않았다. 40여 분 뒤에야 출동 명령이 떨어졌고 부대 침입 1시간 47분이 흐른 오후 4시 3분 시위대의 신병을 확보했다. 시위대는 그사이 부대 곳곳을 돌아다녔지만 한 번도 제지받지 않았다. 이번 사태는 경계·대응 시스템의 총체적 부실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다. 최초 민간 시위대가 철조망을 뚫고 들어올 때 3분이 걸렸지만 새로 설치된 CCTV와 기존 시스템이 호환되지 않아 핵심 기능인 경보음 체계가 작동하지 않았다.
군은 작년 12월부터 수개월 동안 수리 작업을 했지만, 이를 고치지 못했다. 사건 당시 장병 2명이 CCTV 70여 대를 보고 있었던 것 역시 문제로 지적됐다. 군 관계자는 "두 명이 CCTV를 모두 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고 했다. 더 큰 문제는 무단 침입 발견 이후 대응이다. 인접 초소 근무자가 무단 침입 1시간 뒤인 7일 오후 3시 10분 근무 교대 후 복귀 과정에서 철조망이 가로 52㎝, 세로 88㎝ 사각형으로 절단된 것을 확인하고 당직사관에게 보고했다.
그런데 철조망 절단이라는 비상사태가 벌어졌지만, 5분 대기조는 40분 넘게 출동하지 않았다. 당직사관과 상황실이 모두 안이하게 대응했던 것이다. 책임자인 제주기지 전대장(대령)은 5분 대기조가 출동한 이후에야 이 상황을 보고받았다. 제주해군기지가 민간 시위대에 의해 '동네북' 신세가 돼 온 것도 이번 사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대는 매년 3월 7일 이른바 '구럼비 바위 폭파' 추모 행사를 해왔다. 그런데 우한 코로나 때문에 행사가 금지되자 이들은 기지 정문 안내실을 통해 진입을 시도했다. 진입이 제지되자 "부대에 피해가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근무자들은 이와 같은 협박성 발언을 상부에 보고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자주 그런 말을 듣다 보니 무뎌진 것 같다"고 했다. 시위대는 이날 경찰에 신병이 인도되는 과정에서도 '군사기지 없는 평화의 섬'이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부대를 나왔다. 이 장면을 찍은 뒤 페이스북에도 공개했다. 군 관계자는 "현 정부 들어 해군기지 건설 지연에 책임이 있는 시위대에 대한 구상권을 철회하고, 일부는 특별 사면까지 단행했다"며 "이런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 게 아니겠나"라고 했다. 군은 제주기지 전대장을 보직해임하고, 지휘 책임이 있는 3함대 사령관(소장) 등을 문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창한 봄날의 원주 용화산 둘레길....!!!!!!!








08:40 예술관길을 지나 용화산으로.....

오늘도 마스크 구입을 위한 행렬.....


한지공원길을 건너.....

용화산 둘레길에......


치악초등학교......



치악산 조망......







북서릉으로 이어지는.... 용화산 둘레길


배부른산 조망......





용화산 둘레길 조경수...... 이팝나무



용화산 북서쪽 둘레길 데크......




용화산 서봉을 지나.....




당겨 본...... 백운산(1,087m)


09:25 용화산 남릉 전망대에.....





용화산 둘레길에 심어진 이팝나무.....


한지공원길......




09:40 삼성으로.....


***** THANK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