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고향 학산(鶴山) 금광평(金光坪)<1>
금광평(金光坪) 넓은 들을 뜰악을 삼고 / 장안재(長安峙) 낙락장송 기상을 삼아~~
- 학산리 소재 구정초(邱井初) 교가<첫 부분>
<1> 금광평(金光坪)의 풍광(風光)
금광평(金光坪) 벌판 / 금광리 앞산 망덕봉(望德峰) / 어단리 테레로사(강릉커피 본점)
내가 자란 학산 금광평(金光坪)은 상당히 넓은 벌판으로 1948년, 내가 2살 때 우리 집이 강릉 안땔(노암동)에서 이곳으로 이사했고, 1950년 6.25의 발발로 나는 어린 시절 이곳에서 사변(事變)을 고스란히 겪었다.
이곳은 주변에 비해 지대가 높은 벌판으로 태백준령 계곡에서 흘러내린 물이 어단천, 학산천, 금광천을 이루며 동해로 흘러드는데 그 계곡물의 토사(土砂) 퇴적으로 생긴 벌판으로 선상지(扇狀地)이다.
하천(河川)이 산지(山地)에서 평지로 흘러나올 때 곡구(谷口)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등고선을 갖고 형성되는 충적(充積) 지형을 선상지(扇狀地)라고 하며, 흡사 부채(扇)를 펼쳐놓은 모양의 지형을 말한다.
대체로 면적이 2㎢ 이상이 되어야 선상지(扇狀地)로 인정하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선상지로 꼽는 곳은
①강릉 금광평(金光坪), ②충북 제천(堤川), ③경주시 안강(安康), ④경북 경주시, ⑤경주시 입실(入室), ⑥울산시 가천(加川), ⑦경북 청도(淸道), ⑧대구 월배(月背), ⑨경남 합천 적중(赤中), ⑩전남 구례 천은사(泉隱寺), ⑪전남 구례 화엄사(華嚴寺), ⑫경남 사천(泗川), 그리고 ⑬경남 삼천포(三千浦) 선상지(扇狀地)로 모두 13곳이라고 한다.
이곳 금광평(金光坪) 선상지는 길이가 약 4㎞이고, 가로 너비는 약 3km인데 강릉시 북쪽 사천(沙川)도 선상지로 형성된 곳이라고 하며 길이가 약 2km, 너비는 4km 정도라니 금광평의 절반 정도 크기겠다.
금광평은 학산리에 속하며, 학산 본동(本洞/1리)의 역사는 신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의 고장이고, 이곳 금광평은 우리가 이사(1948년)할 때까지도 거의 황무지나 다름없던 곳이었다.
이곳 금광평(金光坪)은 구정면(邱井面)으로, 학산리(鶴山里), 금광리(金光里) 및 동해(東海) 쪽으로는 월호평(月呼坪/오리똘), 납돌(申石) 등 상당한 부분을 포함하는 광활한 분지(盆地)라고 하겠다.
이곳의 풍광(風光)을 잠시 살펴보면,
태백준령 법왕사 골짜기(칠성골)와 큰골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모이면서 칠성지(七星池)를 이루고, 다시 어단리를 지나며 어단천(於丹川)이라 부르다가 금광평(金光坪) 북쪽 학산 본동(本洞) 쪽으로 흐르는 것을 학산천(鶴山川)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어단리(於丹里) 동막골(東幕谷) 인근의 작은 개울물이 합쳐져 금광평 남쪽으로 흐르며 동막지(東幕池)를 이루었다가 흘러내리는데 금광천(金光川)이다.
또, 학산 북쪽 여찬리(余贊里)에도 섬석천(剡石川)으로 부르는 개울이 있어 장현(長峴)저수지에 머물렀다 내려오며 모산봉(母山峰) 아래에서 학산천, 금광천과 세 물줄기가 만나 납돌(申石), 월호평(月呼坪/오리똘) 들판을 지나 동해 남항진(南港津)으로 흘러들며 이때의 이름은 섬석천(剡石川)이다.
따라서 금광평(金光坪)은 어단천(학산천)과 금광천의 가운데 부분으로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제법 넓은 분지(盆地)를 이루고 학산 본동과 금광리는 개울물이 흐르는, 조금 낮은 지역인 셈이다.
금광평 마을의 가운데에도 실개천이라고 해야 하나, 작은 도랑물이 졸졸 우리 집 앞을 흘렀다.
칠성지(七聖池) / 동막지(東幕池) / 장현지(長峴池) / 모산봉(母山峰)<강릉시의 안산(案山)>
구정면은 모두 12개 리(里)로, 금광평 남쪽은 어단리, 금광리, 덕현리가 있고 그 남쪽은 강동면(江東面)으로 이어진다.
덕현리(德峴里)와 경계를 이루는 강동면(江東面) 언별리(彦別里)에는 단경골(檀京溪谷)이 있고 그 뒷산인 망덕봉(望德峰/781.2m)이 우뚝 솟아 금광평에서 빤히 올려다보인다. 산줄기를 따라 더 내려가면 만덕봉(萬德峰/1,035m), 망기봉(708m) 등이 연이어 있다.
태백준령(太白峻嶺), 혹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이라 불리는 산줄기는 북한 두만강 하류로부터 동해안을 따라 뻗어내려 강원도 태백(太白)에 이르러서는 내륙으로 흘러들어 소백산맥을 이루고 지리산(智異山)으로 우뚝 솟았다가 마침내 산맥이 끝나는데 이 태백준령은 굉장히 높고 거대한 산줄기로 영동(嶺東)과 영서(嶺西)의 경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