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초(伐草) 벌초는 한식이나 추석 성묘 이전에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깨끗이 베는 일로 대개 백중(百中 음력 7월 보름)이후 부터 추석 전에 벌초를 마치는 것이 보통이다. 처서가 지나면 풀들이 대부분 성장을 멈추고 더 자라지 않기 때문에 이 무렵에 벌초를 해야 비교적 오랫동안 깨끗하게 묘를 보전할 수 있다.
추석까지 벌초를 하지 않는 산소를 보면 동네 어르신들께 후손들이 욕을 먹는다. 처서가 되면 모기 입이 돌아 가고 매미소리가 자취를 감추며 대신 귀뚜라미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벌초(伐草)는 무덤의 풀을 깎아 깨끗이 한다는 뜻으로, 정벌에 나선 병사가 창을 든 사람 모습이다. 벌(伐)자는 전쟁에서 적군을 베듯 과감하게 풀을 벤다는 뜻이다.
*금초(禁草) 금화벌초 (禁火伐草)의 준말로서, 무덤에 불이 붙지 않게 가연성 풀을 제거하고, 때를 맞추어 풀을 베어 잔디를 잘 가꾼다는 뜻이다.
*예초(刈草) 무덤 뿐만 아니라 정원이나 논밭 등에 자라나 있는 잡초를 벤다는 뜻으로 요즘은 낫으로 풀을 베지 않고 기계로 하는데 이를 예초기 라고 한다.
*사초(莎草) 오래되거나 허물어진 무덤을 보수하고 떼를 입혀 다듬는 일을 이르는 말이다.
*성묘(省墓) 뜻이 조금 다른데, 설이나 추석같은 명절에 고향에 가서 부모님을 뵙는 것을 귀성이라 하며 이는 귀향성묘(歸鄕省墓)를 줄인 말이다. 성묘는 명절이나 한식같은 절기에 조상의 묘를 찾아가 손질하고 살피는 일이며 따라서 추석에는 아침에 집에서 차례를 지내고 조상묘를 찾아 성묘를 한다.
성묘와 벌초의 차이는 설과 한식에는 성묘를 하지만, 벌초는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은 겨울이라 벌초할 필요가 없고 한식도 풀이 자라나지 않아 벨 풀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한식에는 봉분이 무너진 곳을 수리하거나 말라버린 떼를 다시 입혀주는 "사초(莎草)"를 하기도 한다. |
첫댓글 확실히 구분이 되네요
정보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