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가까이에서 보이는 정맥이 늘어나면서 피부 밖으로 돌출되는 혈관질환을 “ 하지정맥류 ”라 부릅니다.
다른 부위 보다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다리에서 주로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물론 체질적 특성(마르고 하얀 피부)에서 혈관이 보이기도 하며, 그 외에도 정맥이 피부 밖으로 돌출되는 증상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 병적으로 나타난 혈관 돌출에 있어 직접적인 원인은 “ 정맥 내 판막 손상 ”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혈액은 멈춤 없이 계속 순환해야 하는데, 하지정맥류 발병 시에는 심장으로 향하던 정맥혈 중 일부가 역류하면서 - 다리에 있던 혈관들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는 곧 “ 혈액순환장애 ”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때 혈류장애로 인해 부종, 저림, 경련, 중압감, 당김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며, 가족력(유전), 장시간 힘들게 일하는 직업력
그리고 자극적인 음식, 다리를 꼬고 앉는 생활습관, 호르몬 변화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질수록 발병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장시간 방치로 인해 더욱더 심해진 경우에는 통증 및 저림, 부종 등의 자각증상은 물론 다리에 혈관이 울퉁불퉁하게 돌출되며, 피부 밖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의사에게서 진단을 받지 않더라도 다리에 있는 혈관에 문제가 생긴 정도는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혈관의 위치가 피부 안쪽에 있고 초기 단계부터 심각한 혈관 돌출 및 자각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닌 만큼, 피로감에 의한 증상 혹은 체질적 요소에 의해 혈관이 비춰 보이는 것과 구분이 쉽지 않아 전문의 진료를 필요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튀어나온 혈관이 없다면, 하지정맥류가 아니다?
대부분의 질병들이 초기에는 일상에서 약간의 불편만이 따르는 정도이다 보니,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도 그것이 무슨 원인에 의해 나타난 것인지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
하지정맥류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다리에혈관은 피부 밖이 아닌 안쪽에 위치해 있기에, 초기에는 자각증상 혹은 육안상으로 보이는 증상만 가지고 확진을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특히 하지정맥류 초기에는 역류량 및 혈관의 확장과 주변 조직에 대한 압박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보니, 약간의 뻐근한 느낌 혹은 중압감만 느껴지기 때문에 혼자 판단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판막(valve) 손상이 한 번 시작되면 [ 도미노 현상 ]과 같이 연속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만큼 전형적인 ‘진행성 질병’의 형태로
걷고 움직일 때마다 판막 손상에 의해 역류하는 혈액이 많아지다 보니, 원활하게 순환을 하지 못하고 정체된 혈액의 양이 늘어나면서 혈관이 심하게 부풀어 오르고 증상도 심해집니다.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증상 없이 하지정맥류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 잠복성 하지정맥류 ”라고 하는데요.
돌출 없이 피부 안쪽에서만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계속해서 방치했다가는 심각한 하지정맥류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돌출이 없었다 하더라도 부종 및 저림, 당김, 경련, 중압감, 통증 등의 자각증상이 오후로 갈수록 심하게 나타난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해 보시기 바랍니다.
튀어나온 혈관이 없을 때, 하지정맥류와 단순 피로를 구분하는 법은?
심장의 펌핑으로 순환하는 동맥과 달리 정맥은 자체 압력도 없고,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흐름이 거의 없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JFT_jSOBJ8
그래서 자고 일어난 아침이나 충분한 휴식시간을 가질 때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오후로 갈수록 혹은 많이 움직이고 난 후에 여러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운동부족, 잘못된 식⦁생활습관에 의해 나타난 다리의 증상이라면, 충분한 휴식 및 가벼운 스트레칭, 운동 등의 보존요법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충분한 휴식 및 보존요법을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에 차도가 없거나 가족력, 직업력의 요인이 있다면 단순히 피로가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혈관 돌출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오후로 갈수록 심한 부종 및 통증이 나타나고 잠을 자는 중에도 경련이 나타난다면, 단순히 혈액순환능력이 떨어진 수준이 아니라 “ 하지정맥류로 인한 순환장애 ”를 의심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하지정맥류가 의심이 되는 경우 고민하지 마시고 전문의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진찰 및 검사 결과 혈액순환능력 저하에 따른 ‘단순 피로’ 로 판명되거나 초기 단계의 하지정맥류로 확진 시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 ‘압박스타킹 착용 및 잘못된 식⦁생활습관의 개선’만으로 증상의 완화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겉보기와는 달리 이미 진행된 하지정맥류로 판명되었다면, 주치의 처방에 따라 알맞은 치료를 받는 것이 심각한 하지정맥류로의 발전 및 합병증을 예방하는 지름길이 됩니다.
https://veinclin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