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의 수도 '한양'은 유교의 이념에 따라 건설되었습니다. 먼저 궁궐과 종묘·사직단을 세우고, 그다음에는 수도를 방어하기 위한 한양도성(사적 제10호)을 축조했습니다. 성곽의 동서남북으로는 사대문(四大門)을, 사대문 사이에는 사소문(四小門)이 있지요.
○ 사대문(四大門) : 흥인지문(동대문), 돈의문(서대문·멸실), 숭례문(남대문), 숙정문(북대문)
○ 사소문(四小門) : 혜화문(동소문), 광희문(남소문), 소의문(서소문·멸실), 창의문(북소문)
유교에서 말하는 인(仁)·의(義)·예(禮)·지(知)·신(信)의 5가지 기본적 덕목인 ‘오상(五常)’은 사람이 항상 지켜야 할 5가지 도리인 ‘오륜(五倫)’과 함께 유교 윤리의 근본을 이룹니다. 서울의 사대문(四大門)과 보신각은 다음과 같이 오상(五常)에 따라 이름 지어졌습니다.
① 흥인지문((興仁之門, 동대문)
② 돈의문[敦義門, 서대문 → 서전문(西箭門) → 다시, 돈의문(敦義門)]
③ 숭례문(崇禮門, 남대문)
④ 홍지문[弘知門, 북대문 → 숙청문(肅淸門) → 현재, 숙정문(肅靖門)]
⑤ 보신각(普信閣)
돈의문(서대문)은 사대문 중에서 가장 많이 개폐를 반복했던 대문이라고 합니다. 태종 13년(1413)에는 풍수를 이유로 돈의문(당시의 위치는 현 사직터널 부근으로 추정)을 폐쇄하고, ‘서전문(西箭門, 경희궁 서쪽 언덕 추정)’을 건립했는데요. 세종 4년(1422)에는 서전문을 철거하고 현 강북삼성병원 앞 사거리에 돈의문이 다시 지어졌습니다. 이때 ‘새로 세운 문’이라는 뜻의 ‘새 문(신문 新門)’이라는 별칭이 붙었고, 돈의문 안쪽 동네를 ‘새문안 동네’라고 불렸습니다. 돈의문은 이후 수차례 소실과 재건을 반복하다가 1915년 일제의 도시계획이라는 명목하에 철거되었고, 현재 사대문 중 유일하게 터로만 남게 되었습니다.
돈의문 터 주변에는 '서울역사박물관'과 '경희궁', 그리고 '돈의문 박물관 마을'과 같은 역사·문화거리가 조성되어 많은 볼거리와 함께 체험과 배움의 장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새문안 동네’는 도시개발 과정에서 철거되어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었는데요. 이 일대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기존 건물을 보수하는 방식으로 계획 변경되었고, 근현대 서울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돈의문 박물관 마을’로 재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마을 내에 있는 '돈의문 역사관'을 통해 돈의문(敦義門, 서대문)과 이곳 ‘새문안 동네’ 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돈의문 역사관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35-54(돈의문박물관마을 내)
※ 주차 : 서울역사박물관 주차장 이용
○ 관람시간 : 오전 10시 ~ 오후 7시 (휴관일 : 1월 1일,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
○ 관람요금 : 무료
○ 대중교통 :
- 지하철 : 5호선 서대문역 4번 출구 강북삼성병원 방향 350m
- 버스 : 서울역사박물관, 경희궁 앞 정류장 / 강북삼성병원 정류장 하차
돈의문 역사관은 이전에 이탈리안 레스토랑 <아지오>와 한식당 <한정>으로 사용되던 두 동의 양옥이었어요. 건물이 가진 기억을 그대로 되살리고자 전시실 이름을 ‘아지오’와 ‘한정’을 그대로 따랐습니다. 아지오 1층에는 조선 시대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돈의문 안팎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도성 안쪽의 경희궁과 도성 밖 다양한 삶의 모습과 풍경들, 그리고 개항 이후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돈의문과 주변 지역의 변화 모습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 돈의문 현판의 실제 모습 (경기감영도 그림 하단)
▼ 기쁨이 넘치고 빛나는 서궐(경복궁의 서쪽 궁궐 의미), 경희궁(慶熙宮)을 소개하고 있다.
▼ 경희궁의 옛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서궐도>.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본인 서궐도안을 기본으로 동궐도의 채색 특징을 참고하여 송규태 작가가 그린 그림
▼ 개항 이후, 돈의문 일대의 변화를 소개하고 있는 공간. 쇠당나귀 전차(Iron Donkey)의 모습
▼ <한국을 소개한 외국서적> 1880-1900년대
▼ 적십자병원 신축공사 설계도
당시 근대식 의료기관은 세브란스 병원과 대한의원뿐이어서 서민들에게까지 치료 혜택이 돌아가기 어려웠다고 합니다.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등 6개 과를 갖추고, 중산층 이하의 사람들에게는 저렴한 치료비 지원을, 극빈자들에게는 무료 진료를 시행한 적십자병원은 1937년에 병원시설을 확장하여 이전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서울적십자 병원'으로 개칭하여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이 때 지어진 적십자병원은 세브란스병원이나 대한의원보다 규모가 크고 환자수도 많았으며 당시 조선, 일본, 중국에서 운영되던 41개의 적십자병원 중 네 번째로 큰 병원이었다고 합니다. (1936년 | 국가기록원 복제 자료)
▼ 유한양행과 유일한, 동양극장과 연극 <홍도야 우지마라>, 경교장, 도시한옥과 정세권 등을 소개하고 있는 전시
▼ 마이클 힐리어가 찍은 1890년대 초 돈의문 박물관마을의 모습
불과 130여년 전의 서울의 풍경이 낯설면서도 귀합니다.
▼ 경희궁 궁장 慶熙宮 宮牆[담장] : 경희궁 궁장, 조선시대 온돌, 일제강점기 건물지, 근대 건물지 기초, 배수로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지오 전시실 2층은 새문안 동네의 명소 중 한 곳이었던 이탈리안 레스토랑 ‘아지오(AGIO)’의 공간을 살려 조성되었습니다. 아치나 기둥, 벽과 헤링본 무늬 바닥, 유리창, 소품 등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요. ‘앤티크 인테리어’ 전문가 부부가 만들어 운영했던 곳인 만큼 내부의 모습이 독특하면서 고풍스럽습니다. 큰 창을 통해 따사로운 빛이 들어오는데 아름답지만, 왠지 슬픈 마음이 들더군요. 이 일대에 거주했던 사람들은 떠나가고, 낯선 사람들이 잠시 오고 가는 박물관 마을이 된 새문안 동네. 옛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곳을 방문할 때 쓸쓸한 감정이 드는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이 전시실은 돈의문 박물관 마을로 다시 태어난 ‘새문안 동네’와 아파트 단지로 변해 사라진 ‘교남동’. 돈의문 안팎으로 마주하던 이 두 동네의 도시·건축 기록을 다양한 자료와 함께 전시하고 있습니다.
'돈의문 역사관'은 이처럼 경희궁과 돈의문의 역사, 그리고 돈의문 안팎 동네에 살던 사람들의 삶 등 다양한 이야기를 접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곳은 부모님이나 조부모님과 함께 방문한다면 더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기회가 된다면 부모님과 함께 돈의문 박물관 마을을 찾거나 어르신들께 옛 이야기를 여쭤보는 것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