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2529E7405285BC4B2F)
실개천의 여름 2012 Oil on canvas 130x162cm
갤러리 담에서는 2013년의 마무리와 함께 2014년을 맞이하는 전시로 최은경展을 마련하였다.
최은경의 작업은 주변을 둘러싼 문이나 창문, 구석 모퉁이, 수챗구멍 등 너무 익숙해서 놓치는 사물이나 작업실 주변과 최근에는 낙향한 아버지의 고향인 전북 고부를 그리고 있다. 작가의 그림에는 퇴색해서 오래 전 풍경처럼 몽환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마치 꿈 속에서 마주쳤던 곳이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이다. 그려진 곳이 아름답다고 말할 곳이 아닌 그냥 스쳐 지나갔던 시골의 변두리의 어디쯤, 혹은 차창 밖 풍경쯤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작가에게는 많은 기억과 경험이 축적된 공간인 것이고 아주 오랫동안 바라다보면서 익숙해진 곳이기도 하다. 작가는 특유의 색감으로 부드럽게 따스하게 아련한 풍경들을 그려내고 있다.
이번 개인전에는 <실개천의 여름>, < 차창 밖, 관청리 겨울 공터>, <밤골목> 등 신작 12여 점이 선 보일 예정이다.
최은경 CHOI, EUNKYUNG 崔殷京
2006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전문사 졸업
1997년 덕성여자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 개인전
2012년 서쪽의 초행길 (광주신세계 갤러리, 광주)
2010년 뜻밖의 만남 (사루비아다방 기획, 스페이스 공명, 서울)
2007년 내월 來月 (가 갤러리, 서울)
2005년 제4회 송은미술대상전 대상수상 기념전 (송은 갤러리, 서울)
2001년 시루떡 먹은 북어 (갤러리 보다, 서울)
* 단체전
2013년 경기창작센터 오픈스튜디오 기획전: 최은경_서쪽의 초행길 (경기창작센터, 안산)
바람난 미술_영화가 된 미술 (메가박스 코엑스점 영화관 옆 미술관, 서울)
아티스트 포트폴리오_포트폴리오 아카이브 라운지 (사비나 미술관, 서울)
아트캠페인 바람난 미술 (서울시 시민청 시민 플라자, 서울)
2012년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아티스트 릴레이 프로젝트展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Thinking of SARUBIA-사루비아 기금마련전시 (이화익 갤러리, 서울)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제6기 입주작가 공동 워크숍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Testing Testing 1.2.3_송은문화재단 소장품展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Naturally Beautiful: Earth, Wind, Fire and Water_최은경展 (ING은행 서울지점)
환난고독-남도에서 부는 바람 (목포문화예술회관, 목포)
들판으로 나온 별들의 캠프 (신한 갤러리 역삼, 서울)
해열, 경_김현주, 최은경 (테이크아웃드로잉, 서울)
점령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앞날의 풍경 (175 갤러리, 서울)
2011년 제13회 광주신세계미술제 선정작가展 (광주신세계 갤러리, 광주)
푸른 물감으로 그린 하늘, 땅, 욕망 (스페이스 몸 미술관, 청주)
송은미술대상 10주년 기념展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
2010년 쉼의 풍경_이효연, 최은경展 (닥터박 갤러리, 양평)
자연, 풍경이 되다 (갤러리 조선, 서울)
2001~2009 송은미술대상 대상 수상작展 (송은 갤러리, 서울)
2009년 2009년 Artists of Song Eun-1 (송은 갤러리, 서울)
운현궁愛 (관훈 갤러리, 서울)
2008년 1st Artist Mapping_최은경, 장석준展 (가나아트센터 Gallery MIRU, 서울)
쉼표 (대안공간 충정각, 서울)
2007년 기생문자 (갤러리 룩스, 서울)
경계 없는 지평 (Knua 신축교사 갤러리, 서울)
드로잉 open-end (Knua 제2교사 갤러리, 서울)
2006년 대한민국청년비엔날레2006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그림자 - 인권전 (신한 갤러리, 서울)
친숙해서 낯선 풍경 (아르코 미술관, 서울)
곤도유카코_최은경展 (175갤러리, 서울)
2005년 Open Studio (Knua 숙소동, 서울)
말없는 노래-보칼리제 (175 갤러리, 서울)
포트폴리오 2005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4년 Open Studio (Knua 숙소동, 서울)
Vision 21 (성신여대미술관, 서울)
송은미술대상전 (예술의 전당, 서울)
정물예찬 (일민 미술관, 서울)
2003년 single, single (가 갤러리, 서울)
uncanny-어떤 낯섦 (갤러리 라메르, 서울)
집 (가 갤러리, 서울)
신장개업 혹은 점포정리_최은경展 (스페이스 몸, 청주)
2002년 환경전환 (경기문화재단 전시관, 수원)
대한민국청년비엔날레2002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천개의 눈 천개의 길 (관훈 갤러리, 서울)
회화와 건축 (아트 스페이스, kcf.or.kr)
회화, 악몽을 꾸다 (대안공간 풀, 서울)
2001년 청.장년 작가 초대전 (경기문화재단 전시관, 수원)
신세계 미술제 - 자생 (광주시립미술관, 인천신세계갤러리)
디지털 제곱 갤러리 (gallery.zegob.co.kr)
회화와 형상전 (관훈 갤러리, 서울)
신세계 미술제- 주제공모전Workshop (광주시립미술관)
* 기타
2007년 시각예술비평지 [볼 BOL 005 헐벗은 삶] 2007 봄 호, 기는 풍경_이제, 최은경 지면 작업, documenta 12 magazines, 카셀, 독일
* 수상 및 지원
2013년 서울문화재단 정기공모지원사업 예술창작지원 시각예술 선정
2012년 서울문화재단 아트캠페인 [바람난 미술] 작품공모 선정
갤러리 신한 역삼 그룹 공모 당선
175 갤러리 공모 선정
2011년 제13회 광주신세계미술제 우수상 수상
2010년 <스페이스 공명> 사루비아다방 기획 전시 후원 작가
2008년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작품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신진예술가 뉴스타트 선정
2006년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작품 선정
2004년 제4회 송은미술대상전 대상 수상
2001년 제4회 신세계 미술제 주제 공모전 장려상 수상
2000년 제5회 갤러리 보다 ‘녹음방초 분기탱천’ (개인) 공모 당선
* 레지던시
2013년 경기창작센터 제4기 입주작가
2012년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제6기 입주작가
테이크아웃드로잉 카페 레지던시
* 리뷰 및 출판물
- [바람난 미술] 엄윤숙 / 김노암, 포럼, 2013, 「끝 무렵」 「초안산 산책길」, 316-321p
- [드로잉 VOL. 01] 테이크아웃드로잉, 2012, 「Drawing 35. 해열, 경(景)」, 112-135p
- [art in culture] 2008년 7월호, 187p, 포트폴리오 인사이드 코너 소개
- [아트프라이스] 2008년 1월호, 72p, 스페셜 리포트 31명의 인터뷰
- 시각예술비평지 [볼 BOL 005 헐벗은 삶] 2007 봄 호, 「기는 풍경」 / 이제, 최은경
[documenta 12 magazines] Crawling Landscape / Lee Je & Choi Eun-kyung
- [art in culture] 2007년 12월호 161p, 전시 리뷰 - 최은경展, 글 / 백지숙 (미술평론가)
- [시사IN] 제5호 2007년 10/23 전시소개 코너 92-93p
- [아트프라이스] 2006년 9월호, 84-85p, Artist Forum 코너 소개
- [월간미술] 2006년 6월호, Post-Next Generation 이관훈, 황신원 추천
- [art in culture] 2005년 2월호, 전시 리뷰 - 「모호한 어원에 대한 탐사」
글 / 이대범 (미술평론)
- [아트프라이스 앤 리뷰] 2005년 2/1월, 72p, 리뷰 - 글 / 최희진 (본지 수석기자)
- 책 [미술전시장 가는 날] 박영택, 마음산책, 2005, 182p
- [월간미술] 2004년 3월호, 전시 포커스 / 정물예찬展-정물에 대한 현대적 新해석
글 / 박영택, 132p 그림, 137p 글
- 여성잡지 [페미니스트저널 if] 2003년 겨울호, 28-29p
<single, single> 전시회 연 이정희와 최은경 인터뷰
- 책 [식물성의 사유] 박영택, 마음산책, 2003, 36-37p
- [국회도서관보] 2003년 12월호 1p, Gallery 코너
- [art in culture] 2002년 1월호, New face - 김학량, 박영택 추천
- [미술과 담론] 전시리뷰 - 글 / 이선영
- [art in culture] 2001년 4월호, 전시프리뷰Note, 129p
- [art in culture] 2001년 3월, 96p
young artist - 각기 다른 모더니즘 계승자. 지역적 변종 _ 글 / 백지숙 (미술평론가)
* 작품소장
경기문화재단, 일민 미술관, 송은문화재단,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가 갤러리, ING은행
* 출강
2005년 경희대학교 강사
2008-2009년 덕성여자대학교 강사
* 블로그
http://blog.naver.com/sunnyroomc
자세한 내용은 http://midahm.co.kr/?sd=1&sc=1_1_view&gnum=207
미담아트가이드 http://www.midah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