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발상(,inverse thinking)을 하면 안보이던 것이 보인다.
새해 결심(New Year's ressolution)에 그런 역발상을 적용해보면 어떨까.
'해야 할 것'이 아니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정하고, '덧셈(addition)이 아니라 뺄셈 (subtraction)을 하면 삶의 무게는
줄어들고 질은 높아진다
'잠자리에서 게임하지 말 것'부터 '뒷 담화 하지(talk behind other's backs)않기' '쓸데없는 불평(useless complaint))하지 말것
'다른 사람 원망하지(blame others) 말 것' '시기하지(be jealous of others)않기' '등 도움 되지 않거나 짐 되는 행위(unhelpful or burdensome behavior)를 "새해부터는 하지않겠다"고 작정해보라는 얘기다
행복 연구 전문가인 미 하버드 대학교 아서 블툭스 교수는 이 같은 정반대 접근 방식을 주장한다
덧셈이 아니라 뺄셈에 집중해야 행복해진다고 설득한다
현명해지는 가장 쉬운 방법이 멍청한 짓거리를 피하는 일인 것처럼, 즐거움을 쫓는 것보다 괴로움 불쾌감 주는 요소를 제거하는
편이 더 이롭다고 말한다
그러려면 'to do list (해야 할 일 목록)' 와 별도로 'to don't list(하지 말아야 할 일 목록)'도 만들어봐야 한다
우선 나쁜 습관, 의무감, 남들의 기대감 탓에 어쩔 수 없이 해온 것들을 적어본다
실연한 젊은이들이 한창 좋았던 연애 시절에 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후회하며 어렵사리 깨닫는 것과 닮은 과정이다
예를 들어" 감정 흡혈귀(emotional vanpire)'와 시간 보내지 말 것'도 있을 수 있다
기운 빠지거나 우울하게하는 사람과는 접촉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부정적인 얘기 듣지(listen to negative talk)않기'는 비관적이거나
좌절감 주는 대화에는 아예 끼지 않겠다는 것이고, '완벽한 시간 기다리지 말기'는 사람, 사물, 환경이 시시각각 변화하는데 이제나
저제나 하며 허송세월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지는 것이다
모든 것을 단번에 정복하려(conquer everthing in a singleleap)하지 말 것' '과거 문제에 집착하지(dwel on a past problms)) 말 것
'모든 것에 매달리지(hold on to everything) 않기' 항상 나만 옳다고(be right)우기지 말 것'
'to don't list'는 자신의 발목을 잡고 있는(hold you back)행위 습관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스스로의 약속이다
그래야만 비생산적 소모적 상황에 휘들리지 않고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해 가장 효율적으로 재능을 '올인'할 수 있게 된다
편집국에디터 윤희영
첫댓글 공감가는 글이네요 .
참고해서
새해 계획 만들어 봅니다
If you see the wonder
You look happy to me.
역발상은 놀라움과 행복을 가져다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