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肺)는 오장(五臟) 중 최고(最高)의 위치에 자리잡고 있으므로 고인들은 폐는 「상선수지(上先受之)」의 규율(規律)에 의하여 외계(外界)와 상통(相通)하며 외계(外界)의 침습을 제 일 먼저 받는 기관이다고 말했다. 폐(肺)는 희윤오조(喜潤惡燥)의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조사(燥邪)가 폐(肺) 내로 침습(侵襲)할 경우 폐(肺)의 음진(陰津)이 부족해 져서 동계(冬季)의 폐부질환(肺部疾患)이 증가된다. 백합(百合)은 폐음(肺陰)을 자양(滋養)해 주는 수선약재(首選藥材)이다. 기후가 건조(乾燥)하여 발생되는 해수(咳嗽)와 불면증 등을 개선시켜 주므로 한동(寒冬) 계절을 평안하게 지낼 수 있게 해준다.
다음은 백합양생방이다.
1. 구해상음백합합당삼저폐탕(久咳傷陰百合党參豬肺湯) :
재료(材料):백합(百合) 30g,당삼(党參) 15g,저폐(豬肺) 250g.
제법(製法):3 가지 재료를 물속에 집어넣고 끓인 후 소금과 조미료를 가미하여 복용한다.
백합(百合)은 폐기(肺氣)를 보(補)해 주고 양폐음(養肺陰) 작용이 있다. 당삼(党參)의 미(味)는 감(甘)이고 성(性)은 평(平)이며 완화(緩和) 작용이 있는 평보지품(平補之品)이다. 당삼은 부작용(副作用)이 적은 보건품(保健品)의 하나이다. 당삼은 보기(補氣) 작용이 있으므로 평상시 권태무력(倦怠無力)과 정신부진(精神不振)과 기단(氣短)과 활동시 천촉(喘促)이 발생되는 폐기허약자(肺氣虛弱者)들에게 적합하다. 한의학 이론에 “장보장(臟補臟)、동기상구(同氣相求)“ 란 말이 있다. 그러므로 저폐(豬肺;돼지의 폐)는 보폐(補肺) 작용이 있으므로 폐허해수(肺虛咳嗽)와 폐허해혈(肺虛咳血) 등을 치료해 준다. 백합(百合)、당삼(党參), 저폐(豬肺) 등 삼미합일(三味合一) 할 경우 폐기(肺氣)를 보해주고,양폐음(養肺陰)해 주므로 폐허구해(肺虛久咳)를 치료해 준다.
2. 안신최면백합조인탕(安神催眠百合棗仁湯) :
재료(材料):백합(百合) 50g,조인(棗仁) 15g. 제법(製法):백합(百合)은 하룻밤 물속에 침포해 둔다. 먼저 조인(棗仁)을 끓인 물속에 백합을 집어넣고 백합(百合)이 물렁해 질 때 까지 끓여 잠자기 전에 복용(服用)한다. 적당량의 구기(枸杞)와 계원(桂圓)을 혼합하여 복용할 경우 구감이 좋다.
백합(百合)의 성(性)은 미한(微寒)이고 심경(心經)으로 들어간다. 백합 속에 함유되어 있는 일종의 성분 chamaelirin 은 진정(鎮靜) 작용과 최면(催眠) 작용이 있다. 백합은 거열제번(祛熱除煩) 작용이 있으므로 추동계(秋冬季) 체내조열(體內燥熱)을 개선시켜 주고、심신불영(心神不寧)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정신황홀(精神恍惚)과 심정억울(心情抑鬱)과 기억력감퇴(記憶力減退) 등을 치료해 준다. 조인(棗仁)의 미(味)는 감(甘)、산(酸)이고 성(性)은 평(平)이며 간경과 담경과 심경(心經)으로 들어가며 보간(補肝)、영심(寧心)、험한(斂汗)、생진(生津) 작용이 있으므로 「동방수과(東方睡果)」란 영예를 얻었다. 조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主要) 약리성분(藥理成分)은 棗仁皂苷 과 황동(黃酮) 등인데 인체(人體)의 뇌부(腦部) 활동(活動)을 감소시켜 주는 작용이 있으며 인체(人體)의 만파수면(慢波睡眠)을 증가(增加)시켜 준다. 또 신경쇠약(神經衰弱)과 심번(心煩)과 불면증과 다몽(多夢)과 이경(易驚) 등 병증을 치료해 준다. 동시에 일정(一定)한 자보강장(滋補強壯) 효과(效果)도 있다.
백합조인탕(百合棗仁湯)은 안신탕(安神湯)이며 서양약(西洋藥) 보다 안전(安全)하다 매일 밤 잠자기 전에 한 대접 복용하고 수면을 취할 경우 수면(睡眠)의 질량(質量)이 향상된다. 또 병후허열(病後虛熱)과 건해소담(乾咳少痰)과 허번불매(虛煩不寐)의 치료에 유효하다. 불면증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신경쇠약(神經衰弱)과 편두통(偏頭痛)과 갱년기종합증(更年期綜合征)을 개선(改善)시켜 주는 작용(作用)이 있다.
3. 건해무담백합죽(乾咳無痰百合粥) :
재료(材料):백합(百合) 60g,멥쌀(粳米) 100g,적당량의 빙당(冰糖).
제법(製法):백합을 하룻밤 물속에 침포해 둔 후 멥쌀과 함께 죽을 끓여 빙당(冰糖)을 가미시켜 하루에 두 차례 조만(早晚)에 식용(食用)한다.
백합(百合)은 지해(止咳)의 양약(良藥)이고 미(味)는 감(甘)이며 성(性)은 미한(微寒)이고 폐경과 심경(心經)으로 들어간다. 또 윤폐지해(潤肺止咳) 작용과 청심안신(清心安神)의 공효(功 效)가 있다. 백합죽(百合粥)의 미(味)는 감(甘)이고 질(質)은 윤(潤)하며 노인들과 어린아이들에게 적합하다. 또 백합죽은 폐음부족(肺陰不足)과 비기허약(脾氣虛弱)으로 인한 해수(咳嗽)와 기천(氣喘)과 소담(少痰)과 식욕부진 등을 치료해 준다. 특히 열병후(熱病後) 여열미진(餘熱末盡)과 신사황홀(神思恍惚)과 번조불면(煩燥不眠) 등을 치료해 준다. 임상실험 결과 백합죽은 갱년기(更年期) 부녀자(婦女子)들과 만성호흡도질병(慢性呼吸道疾病)과 신경쇠약(神經衰弱) 환자(患者)들에게 유익하다고 증명되었다.
주의: 백합죽은 한윤지품(寒潤之品)이므로 비위허한자(脾胃虛寒者)들과 양허체질자(陽虛體質者)들은 신용(愼用)해야 한다.
4. 폐허변비백합봉밀(肺虛便秘百合蜂蜜) :
재료(材料):백합(百合) 10g,꿀(蜂蜜) 25g.
제법(製法):백합과 꿀을 혼합하여 찜통 속에 넣고 수증기로 1 시간 동안 찐후 복용한다.
이 처방은 폐음허(肺陰虛) 환자들의 다해(多咳)와 허한(虛汗)과 도한(盜汗) 등을 치료해 주며、외열내한(外熱內寒)이나 상열하한(上熱下寒) 등 증상을 치료해 준다.
백합은 폐음(肺陰)을 보해 주고,청폐열(清肺熱) 효과(效果)가 있고 북사삼(北沙參)이나 맥동(麥冬)의 효과만 못하나 일정(一定)한 지해거담(止咳祛痰) 작용(作用)이 있다. 음허체질(陰虛體質)인 사람들은 꿀(蜂蜜)과 같은 자음식물(滋陰食物)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 꿀(蜂蜜)은 익기보중(益氣補中) 작용과 지통(止痛) 작용과、윤폐지해(潤肺止咳) 작용과 윤장통변(潤腸通便) 등 공효(功效)가 있다. 백합(百合)과 꿀(蜂蜜)을 배합 사용할 경우 추동계절의 폐조해수인건(肺燥咳嗽咽乾)과 폐결핵해수(肺結核咳嗽)와 노년인(老年人)들의 만성기관지염건해(慢 性氣管支炎乾咳)와 대변조결(大便燥結) 등 증상을 치료해 준다.
5. 영심제번백합계자탕(寧心除煩百合雞子湯) :
재료(材料):백합(百合) 45g,계단(雞蛋) 1개.
제법(製法):백합(百合)을 하룻밤 물속에 침포(浸泡)해 둔 후 적당량의 물을 붓고 40 분 동안 끓인 후 백합은 건져내어 버리고 계란을 집어넣어 끓여 빙당(冰糖)과 조미료를 가미하여 매일밤 잠자기 전에 복용한다.
백합계자탕(百合雞子湯)은 심음(心陰)을 자양(滋養)해 주고 청열안신(清熱安神) 작용이 있다. 백합은 청보지품(清補之品)이며 심음(心陰)을 자양해 주고、윤폐윤조(潤肺潤燥)해 주며 허번(虛煩)을 치료해 주고、심신(心神)을 안정시켜 준다. 달걀의 노른자위는 계자황(雞子黃)이며 미(味)는 감(甘)이고 성(性)은 평(平)이며 보중익기(補中益氣) 작용과 자보음혈(滋補陰血)의 공효(功效)가 있다. 계단황(雞蛋黃) 속에 함유되어 있는 난인지(卵磷脂)와 트리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롤과 난황소(卵黃素)는 신경계통(神經系統)과 신체발육(身體發育)에 중요한 작용(作用)을 해준다. 난인지(卵磷脂)는 소화후(消化後) 담감(膽鹼:콜린)을 석방(釋放)하는데 기억력(記憶力)을 개선시켜 준다. 계단황(雞蛋黃)과 백합(百合)을 배합할 경우 자보심신(滋補心腎) 작용과 청심안신(清心安神)의 공효가 있으므로 부녀자(婦女子)들의 억병(癔病)과 정신실상(精神失常)과 경계불녕자(驚悸不寧者)의 치료에 일정한 효과(效果)가 있다.
주의(注意):관심병(冠心病)과 고혈압(高血壓)과 동맥혈관죽상경화(動脈血管粥狀硬化) 등 질병자(疾病者)들은 신용(慎用)해야 한다. 또 식후(食後)에 복포적체(腹飽積滯) 현상이 출현할 경우 복용량(服用量)을 경감시켜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