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현(儒賢)들의 시호(諡號)
임금의 특별한 교시가 있을 때는 자손의 시장(諡狀)을 기다리지 않고 홍문관(弘文館)과 봉상시(奉常寺)에서 직접 시호를 의정(議定)했는데 이는 퇴계 이황(李滉)에게 문순(文純)이란 시호를 내려준 데서 비롯했다.
정2품벼슬이 못 되었으면서 시호를 추증 받은 유현으로는 김굉필(金宏弼 서흥김씨) 문경공(文敬公). 정여창(鄭汝昌 하동정씨)문헌공(文獻公). 서경덕(徐敬德 달성서씨)문강공(文康公). 조광조(趙光祖 한양조씨) 문정공(文正公). 김장생(金長生 광산김씨) 문원공(文元公)등이다.
※ 시호(諡號)
임금인 친족인 종친과 문.무관 중에서 정2품 이상의 문무(文武) 양반(兩班)이 하는 본 벼슬 실직(實職)을 지낸 사람이 죽으면 시호(諡號)=죽은 후에 추증하던 이름)을 주었는데 뒤에는 범위가 확대되어 제학(提學=종 1품 또는 정 2품 대제학의 다음 종2품 벼슬)이나 유현(儒賢=유교로 행적이 바른사람) 절신(節臣) 등은 정2품이 못 되어도 시호를 주었다.
시호를 정하는 절차는 해당자의 자손이나 관계자들이 죽은 이의 행장(行狀=생전에 업적을 적은 글)을 적은 시장(諡狀=살았을 때 한 일을 적은 글발)을 예조에서 이를 심의한 뒤 봉상시를 거쳐 홍문관에 보내어 시호를 정하게 된다.
시호를 정하는 법으로는 주공시법(周公諡法)이니 춘추시법(春秋諡法)이니 하여 중국 고대(고대)이래의 시법이 많이 원용(原用)되었던 듯하다. 시호에 사용된 글자는 문(文), 충(忠), 정(貞), 공(恭), 양(襄), 정(靖), 효(孝), 장(莊), 안(安), 경(景), 익(翼), 무(武), 경(敬),등 120자인데 한자 한자마다 정의가 있어서 생전의 행적에 알 맞는 글자를 조합하여 두 자로 만들고 시호 아래 공(公)자를 붙이어 부른다.시호에 사용된 글자중 대표적(代表的)인 글자와 그 정의의 대표적인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문(文)
경천위지(經天緯地=온 천하를 경륜하여 다스림), 도덕박문(道德博聞=견문 있게 들어서 사람의 도리를 잘 지킴), 박학호문(博學好文=글을 좋아하여 많이 배움), 근학호문(勤學好文=많이 듣고 부지런히 배움), 박학다식(博學多識=많이 배워서 지식이 풍부함)자혜애민(慈惠愛民=지혜롭게 백성을 사랑함), 충신애인(忠信愛人=진실하고 믿음으로 사람을 사랑함), 등 등
◈충(忠)
위신봉상(危身奉上=자기 일신을 바쳐 임금을 받드는 충정), 사군진절(事君盡節=충성을 다하여 임금을 섬김), 여국망가(廬國忘家=나라를 걱정하여 집일을 잊음), 추현진충(推賢盡忠=충성을 다하고 현인에 추대됨), 염방공정(廉方公正=공정함은 청렴한 곳에서)
험불피난(險不避難=험하고 어려워도 몸을 가벼히 피하지 아니함), 임란불망국(臨亂不忘國=아무리 변란스러워도 나라를 잊지 않음)
◈정(貞)
청백수절(淸白守節=청렴결백한 수절을 지킴), 청백자수(淸白自守=맑고 깨끗하게 스스로를 지킴), 직도불요(直道不搖=바른 일에는 흔들리지 않는다.), 불은무굴(不隱無屈=의지하지 않고 굽힘이 없음), 대려극취(大慮克就=생각이 넓으면 이길 수 있다.)
◈양(襄)
인사유공(因事有功=일로 인하여 공이 있음), 유공정벌(有功征伐=바르게 다스리면 공이 있다.), 갑주유로(甲胄有勞=무장으로 전쟁을 하다), 벽지유덕(벽地有德=맑은 곳에 덕이 있다.)
◈정(靖)
관락영종(寬樂令終=너그러움을 좋아하면 유종의 미를 거둔다), 공기안씨(恭己安氏=자기일을 엄숙하면 안사람이 편안하다.), 공기선언(恭己鮮言=몸은 공손히 하고 말은 선명히 함), 유덕여중(柔德女衆=대중들에게 부드럽게 덕을 쌓음), 사불조진(仕不躁進=일하지 않으면 진출이 늦다), 정용과언(正容寡言=단정한 용태와 과묵한 언어)
◈량(良)
온량호락(溫良好樂=온화하고 순량함을 전함), 중심민사(中心敏事=마음가짐이 바르게 매사에 통달함), 자인애인(慈人愛人=인자한 혜덕을 베풂),
◈효(孝)
자혜애친(慈惠愛親=인자하게 부모를 받들어 섬김), 계지성사(繼志成事=뜻을 계승하여 일을 이룩함), 능양능공(能養能恭=지성스러이공양함), 오종안지(五宗安之=친족이 화목하고 편안함), 병덕불회(秉德不回=덕을 이루지 못하면 돌아오지 못함), 대려행절(大慮行節=생각은 넓고 행동은 바르게), 협시영형(協時榮亨=때를 맞음에 영화를 누림).
◈장(莊)
이정지화(履正志和=바르게 행하고 뜻은 평화롭게). 엄친임민(嚴親臨民=어버이를 공경하는 마음으로 백성을 다스린다.), 무능지중(武能持重=위험을 무겁게 가지라), 위이불맹(威而不猛=엄숙치 못하면 위험스럽게 보이지 않느나다.), 승적지강(勝敵志强=지조가 강해야 적을 이길 수 있다.) 치과살적(致果殺賊=적을 소멸하고 전과를 올림), 호용치력(好勇致力=충천하는 용맹으로 전과를 이루다.)
◈안(安)
호화불쟁(好和不爭=화합으로 다투지 말아라), 관유화평(寬柔和平=부드러움에 평화스럽다.) 여인무궁(與人無兢=공경스러운 마음으로 사람을 대하라.) 조민영뢰(兆民寧賴=많은 백성들은 편안한 것을 원한다.)
◈장(章)
온극영의(溫克令儀=부드러움에 위의가 있다.) 경신고명(敬愼高明=뜻이 고상하고 식견이 높을수록 공경하고 삼가한다.)
◈평(平)
집사유제(執事有制=매사를 집행하는데는 법도가 있어야 한다.) 유강치기(有剛治紀) 법도곤리(法度昆理=본보기에 맞은 이치)
◈무(武)
절충어모(折衝禦侮=적을 물리치고 적습을 막음), 극정화란(克定禍亂=화란을 이겨냄), 강강이순(剛强以順=굳게 강건한 차례로)
보대정공(保大定功)위강적덕(威强敵德=엄숙한 위엄으로 적에게 덕을 보여줘라) 형민극복(刑民克服=백성의 본보기를 지켜나가야 함) , 음위영진(陰僞寧眞=거짓으로 음해하지 말고 진실로 편안하게)
◈경(敬)
숙야경계(夙夜敬戒=매양 경동하고 삼감), 숙흥공사(夙興恭事=공손하고 공경스럽게), 영선전법(令善典法=모범이 되어 착함을 행하라), 선합법도(善合法度=착하고 화합한 표본)
◈혜(惠)
유질자인(柔質慈仁=품성은 부드럽고 인자하게) 유질자민(柔質慈民=부드러운 자질로 백성을 사랑한다), 심성자상(心性慈祥=성품을 자상하게 베풀라)
◈강(剛)
수의불굴(守義不屈=의리를 지켜 굴하지 않는다), 강의과감(强毅果敢=굳세고 결단성 있게) 치과살적(致果殺敵=적을 소탕하는 것은 과감히) 강이능단(强而能斷=강력한 것으로 능한 것은 결단에 있다.)
◈의(義)
선군후기(先君後己=자기일보다 다른사람 일을 먼저), 선공후기(先公後己=먼저 공부를 하고 후에 사사로운 일을 하라)
견의능충(見義能忠=의리를 알면 충성됨이 있으니) , 행의능종(行義能終=의리를 행하면 끝이 있으리)제사합의(制事合義=일을 정하는 것은 의리에 합당하다) 심능제의(心能制義=마음을 행함이 의리에 합당해야 한다)
※시호(諡號)를 받는다는 것은
가장 영예(榮譽)로운 포창(褒彰=찬양하여 내세움)으로서 존중되어 족보(族譜)에는 물론 묘 앞에 세우는 작고 둥근 비석인 묘갈(墓碣) 같은 데에도 기록되었다. 따라서 어떤 시호를 받느냐 하는 것은 그 자손과 일족의 명예에 관계되는 문제이므로 시호의 글자를 둘러싸고 시비와 논란(論亂)이 많았으며 뒷날에 이르러 시호를 고치는 개시(改諡)를 요구하는 일도 많았다.
시호 중에도 문(文)자와 충(忠)자가 들어간 시호를 가장 존중하게 여겼는데 특히 최고의 영예로 여겨 자손들이 이를 자랑으로 삼는 것이 당시의 통념(通念)이였다. [출처] 유현(儒賢)들의 시호(諡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