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질문 반복하는 아이
Q. 6살 아이, 이제 막 돌 지난 동생이 있는 아이입니다.
한두 달 전부터 사소한 질문으로 반복합니다.
바닥에 있는 것을 밟아도 되는지, 이유를 묻고, 상황에 맞지 않는 질문과 말을 합니다. (엄마 아빠 바보다)
동생이 미워서 나오는 태도일까요?
A. 안녕하세요.
6세이면 주변의 여러 가지 것들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많이 하는 나이입니다. 그런데 사소한 질문의 반복은 아이의 불안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아이의 정서 상태가 어떤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상황에서의 질문의 반복은 안정감의 부족이나 해야 할 행동에 대한 자신감의 부족도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 아이가 잘못한 것으로 혼났거나 부정적 감정을 느낀 것이 있을까요? 사소한 질문의 반복이라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머물러 주시고 너는 어떻게 하고 싶은지? 물어봐 주시고 크게 잘못된 범위나 방향이 아니라면 아이의 뜻대로 해 볼 수 있도록 지지, 응원하면서 지켜봐 주시면 어떨까합니다. 그리고 이후 그것에 대해 아이와 이야기 나누어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바보라는 말이나 상황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것은 아이가 가진 불만 사항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일 수 있어 현재 돌 지난 동생에게 과한 애정이 가고 6세 아동에게는 관심이 덜 가지 않았을지도 확인 부탁드립니다.
부모님에게 관심 가지고 돌봐야할 어린 동생이 있는 큰아이의 경우 특정 기간에 이런 현상들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충분한 관심과 사랑을 보여 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좀 더 아이에게 적합한 도움을 원하시면 센터에 전화 주셔서 상담을 통해 아이의 정서, 행동의 문제들을 해결해 가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아이의 언어 조직화 지원 솔루션
1. 경청과 반영
아이가 말하는 도중 끊지 않고 끝까지 경청하고, 말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거나 재진술하여 이해를 도와야 합니다.
(Jones et al. (2023), Journal of Child Language) 적극적 경청과 반영이 아이의 자기표현력과 언어 조직화 능력 향상에 좋습니다.
아이가 정말 전달하려는 핵심 의미와 감정에 집중하여 아이가 말하고 싶은 본래 뜻과 느낌을 이해하려 하시면, 반영이 보다 쉽게 느껴지실 겁니다.
2. 순서가 있는 이야기 나누기
아이들이 대화할 때 말할 차례를 기다리고 순서를 지키는 것은
사회적 기술과 자기조절 능력을 키우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이 능력은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익히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눈에 보이고 무게감이 있는 보상, 예를 들어 ‘코인’이나 ‘스티커’를 활용해 아이들이 순서를 잘 지켰을 때 즉각적으로 인정받고 동기부여를 받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런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보상은 아이들이 자신의 행동이 가치 있다는 것을 쉽게 느끼게 해 주며,
반복적인 훈련 과정에서도 꾸준히 관심과 참여를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사춘기 자녀의 외모콤플렉스 극복법
[상담후기] 학교 부적응 청소년이 소장님 개별 상담을 종결하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Morris et al. (2023),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Jones, M. L., Smith, K. A., & Brown, T. R. (2023). Active listening and reflective feedback in early childhood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Language, 50(2), 145–162.
Smith, J. P., & Lee, H. Y. (2024). The role of socratic questioning in enhancing narrative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60(1), 34–48.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박소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