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용문(登龍門)
본 뜻 : 용문은 황하 상류에 있는 급류로 잉어가 특히 많이 모인다.
바뀐 뜻 : 입신출세나 벼슬길에 오르는 관문 등을
통과한 것을 말한다.
모순(矛盾)
본 뜻 : 창과 방패를 말한다.
바뀐 뜻 :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
문외한(門外漢)
본 뜻 : 문의 바깥, 성 바깥에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바뀐 뜻 : 어떤 일에 대한 지식이나 조예가 없는 사람
미망인(未亡人)
본 뜻 : 남편이 죽었음에도 죽지 못한 여인네라는 뜻으로
과부를 낮춰부느던 말
바뀐 뜻 : 남편을 여의고 혼자 된 여인들을 높여 부르는 말
백병전(白兵戰)
본 뜻 : 백병이란 본래 혼자 쓸 수 있는 기본 무기만을
가리키는 말
바뀐 뜻 : 혼자 싸우는 전투,
어떤 일에 혼자 사력을 다해 덤비는 것을 가리킴
백안시(白眼視)
본 뜻 : 죽림칠현 중에 완적이란 사람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이 오면 눈의 흰자위만 보이도록
흘겨보았다는 데서 나온 말
바뀐 뜻 : 업신여기거나 냉대하는 행동을 가리키는 말
※ 반대말은 청안시(靑眼視)라고 한다.
백정(白丁)
본 뜻 : 본래 어떤 지위나 계급도 없는 평민을 가리키던 말
바뀐 뜻 : 가축을 도살하는 사람으로 신분상으로
가장 천대를 받기도 하였다.
보필(輔弼)
본 뜻 : 임금을 왼쪽에서 모시는 신하는 보,
오른쪽은 필이라고 함
바뀐 뜻 : 자신의 윗사람을 잘 돕는다는 뜻으로 쓰임
불야성(不夜城)
본 뜻 : 한나라에 불야성이란 성이 있어 밤에도 해가 지지
않아 환히 밝았다고 함
바뀐 뜻 : 밤중에도 대낮같이 환하고 번화한 곳을 가리킨다.
사이비(似而非)
본 뜻 : 사시이비(似是而非)의 준말로 본질은 완전히 다르다는 뜻
바뀐 뜻 : 진짜같이 보이나 실은 가짜인 것을 가리키는 말
사주(四柱)
본 뜻 : 사람이 태어난 해, 달, 날, 시를 가리키는 말
한 사람의 타고난 운명을 나타내는 말
※ 사주를 60갑자로 나타내면 8글자가 되는데
이것을 사주팔자라 한다.
삼우제(三虞祭)
본 뜻 : 장사 당일날 제사는 초우, 다음날은 재우,
그 다음날은 삼우라 한다.
바뀐 뜻 : 세 번 째 지내는 제사,
오늘날은 삼일 째 되는 날 삼우제를 지내고 있다.
※ '삼오제'라고 하면 틀린 말이다.
섭씨(攝氏)
본 뜻 : 스웨덴의 셀시우스가 정한 온도의 눈금으로
셀시우스를 한자로 섭씨라고 표기.
바뀐 뜻 : 1기압하에서 얼름이 녹는 온도를 0도,
끓는 온도를 100도로 하는 온도
수청(守廳)
본 뜻 : 관가 제도의 하나로 높은 벼슬아치가 시키는대로
뒷바라지를하는 일
바뀐 뜻 : 오로지 기생이 지방 수령에게 몸을 바치는 의미로만 사용
숙맥(菽麥) - 숙맥불변(菽麥不辨)의 준말
본 뜻 : 주자(周子)의 형이 콩(菽)과 보리(麥)도
구분하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 말
바뀐 뜻 : 남이 다 아는 사실도 모를 정도로
순진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
※ 흔히 쓰는 '쑥맥'은 틀린 말이다.
슬하(膝下)
본 뜻 : 부모님의 무릎 아래란 뜻으로 자식이 부모를
부를 때 쓰던 말(폐하, 전하, 슬하)
바뀐 뜻 : 부모님 곁이나 보살핌의 뜻으로 쓴다.
연륜(年輪)
본 뜻 : 본래 나이테를 가리키는 말이다.
바뀐 뜻 : 경험이 많고 숙련된 경지에 다다른 상태를 가리키는 말
영계(軟鷄)
본 뜻 : 연계(軟鷄)에서 온 말로 연한 닭이라는 뜻
바뀐 뜻 : 병아리 보다 조금 큰 닭, 젊은 남녀를 가리키는
속어로 쓰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