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伊飧金周元(이손금주원) : 이찬 김주원이
初爲上宰(초위상재) : 처음 상재(上宰)가 되고
王爲角干(왕위각간) : 왕은 각간으로
居二宰(거이재) : 차재가 되었는데
夢脫巾業頭(몽탈건업두) : 꿈에 복두(귀인이 쓰는 모자)를 벗고
著素笠(저소립) : 흰갓을 쓰고
把十二絃琴(파십이현금) : 12현금을 들고
入於天官寺井中(입어천관사정중) : 천관사 우물 속으로 들어갔다.
覺而使人占之(각이사인점지) : 꿈이 깨자 사람을 시켜 점을 쳐보니,
曰脫巾業頭者(왈탈건업두자) : "복두를 벗은 것은
失職之兆(실직지조) : 관직을 잃을 징조요,
把琴者(파금자) : 가야금을 든 것은
著枷之兆(저가지조) : 칼을 쓰게 될 조짐이요,
入井(입정) : 우물 속으로 들어간 것은
入獄之兆(입옥지조) : 옥에 갇힐 징조입니다." 했다.
王聞之甚患(왕문지심환) : 왕은 이 말을 듣자 심히 근심하여
杜門不出(두문불출) : 두문불출하였다.
于時阿飱餘三(우시아손여삼) : 이 때 아찬 여삼이 와서 뵙기
(或本餘山(혹본여산) : (또는 본여산))
來通謁(래통알) : 를 청했으나
王辭以疾不出(왕사이질불출) : 왕은 병을 빙자하고 나오지 않았다
再通曰(재통왈) : 다시 통하여 이르기를
願得一見(원득일견) : "한번 뵙기를 원합니다" 하니
王言若之(왕언약지) : 왕이 이를 허락하자,
阿飱曰(아손왈) : 아찬이 물었다.
公所忌何事(공소기하사) : "공이 근심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王具說占夢之由(왕구설점몽지유) : 왕이 꿈을 점쳤던 사실을 자세히 얘기하니
阿飱興拜曰(아손흥배왈) : 아찬은 일어나 절을 하며 말했다.
此乃吉祥之夢(차내길상지몽) : "그것은 좋은 꿈입니다.
公若登大位而不遺我(공약등대위이불유아) : 공이 만약 왕위에 올라서도 나를 버리지 않으신다면
則爲公解之(칙위공해지) : 공을 위해 꿈을 풀어보겠습니다."
王乃辟禁佐佑(왕내벽금좌우) : 이에 왕이 좌우를 물리치고 아찬에게
而請解之(이청해지) : 해몽하기를 청하자
曰脫巾業頭者(왈탈건업두자) : 아찬은 말했다. 복두를 벗은 것은
入無居上也(입무거상야) : 위에 있는 이가 없다는 뜻이요,
著素笠者(저소립자) : 흰갓을 쓴것은
冕旒之兆也(면류지조야) : 면류관을 쓸징조이며,
把十二絃琴者(파십이현금자) : 12현금을 든 것은
十二孫傳世之兆也(십이손전세지조야) : 12대손의 왕위를 이어 받을 조짐이며,
入天官井(입천관정) : 천관사 우물로 들어간 것은
入宮禁之瑞也(입궁금지서야) : 궁궐로 들어갈 상소로운 조짐입니다."
王曰(왕왈) : 왕이 말했다
上有周元(상유주원) : "위에 주원이 있는데
何居上位(하거상위) : 어찌 상위에 있을 수 있겠소?"
阿飱曰(아손왈) : 아찬이 말했다.
請密祀北川神可矣(청밀사북천신가의) : "비밀히 북천 신에게 제사지내면 좋을 것입니다."
從之(종지) : 왕은 이에 따랐다.
未幾(미기) : 그 얼마 후
宣德王崩(선덕왕붕) : 선덕왕이 세상을 떠나매
國入欲奉周元爲王(국입욕봉주원위왕) : 나라 사람들은 김주원을 왕으로 받들어
將迎入宮(장영입궁) : 장차 궁중으로 맞아들이려 했다.
家在川北(가재천북) : 그의 집은 북천 북쪽에 있었는데
忽川漲不得渡(홀천창불득도) : 냇물이 갑자기 불어나 건널 수가 없었다.
王先入宮卽位(왕선입궁즉위) : 이에 왕이 먼저 궁궐로 들어가 왕위에 오르니
上宰之徒衆皆來附之(상재지도중개래부지) : 모든 대신들이 따랐으며,
拜賀新登之主(배하신등지주) : 새 임금께 축하를 드리니
是爲元聖大王(시위원성대왕) : 이가 원성대왕이다.
諱敬信(휘경신) : 왕의 이름은 경신이요
金氏武(김씨무) : 성씨는 김씨이니
盖厚夢之應也(개후몽지응야) : 대개 길몽이 맞았음을 알 수 있다.
周元退居溟州(주원퇴거명주) : 주원은명주에 물러가 살았다.
王旣登極(왕기등극) : 그는 왕위에 올랐으나,
時餘山已卒矣(시여산이졸의) : 이때 여산은 이미 죽었으므로
召其子孫賜爵(소기자손사작) : 그의 자손들을 불러 벼슬을 주었다.
王之孫有五人(왕지손유오인) : 왕에게는 다섯 명의 손자가 있었는데,
惠忠太子(혜충태자) : 혜충태자,
憲平太子(헌평태자) : 헌평태자,
禮英匝干(예영잡간) : 예영잡간,
大龍夫人(대룡부인) : 대룡부인,
小龍夫人等也(소룡부인등야) : 소룡부인 등이다.
大王誠知窮達之變(대왕성지궁달지변) : 대왕은 진실로 인생의 곤궁하고 영달하는 이치를 알았으므로
故有身空詞腦歌(고유신공사뇌가) : 신공사뇌가를 지었다.
(歌亡未詳(가망미상) : 노래는 없어져 상세하지 않다)
王之考大角干孝讓(왕지고대각간효양) : 왕의 아버지 대각간 효양이
傳祖宗萬坡息笛(전조종만파식적) : 조종의 만파식적을 간직해서
乃傳於王(내전어왕) : 왕에게 전했다.
王得之(왕득지) : 왕은 이것을 얻었으므로
故厚荷天恩(고후하천은) : 하늘의 은혜를 두텁게 입어
其德遠煇(기덕원휘) : 그 덕이 멀리까지 빛났다.
貞元二年丙寅十月十一日(정원이년병인십월십일일) : 정원 2년 병인(서기786) 10월 11일에
日本王文慶(일본왕문경) : 일본왕 문경이
(按日本帝紀(안일본제기) : (살피건대 일본서기에
第五十五主文德王疑是也(제오십오주문덕왕의시야) : '제 55대 왕 문덕왕이 이분일 것이다
餘無文慶(여무문경) : 문경왕은 없을 것이다
或本云是王太子(혹본운시왕태자) : ) 혹 다른 본에는 이분이 왕태자라도 되어있다.')
擧兵欲伐新羅(거병욕벌신라) : 군사를 일으켜 신라를 치려했으
나
聞新羅有萬坡息笛(문신라유만파식적) : 신라에 만파식적이 있다는 말을 듣고
退兵(퇴병) : 군사를 물렸다.
以金五十兩(이금오십양) : 그리고는 사자에게 금 50냥을 보내어
遺使請其笛(유사청기적) : 피리를 주기를 청했다.
王謂使曰(왕위사왈) : 이에 왕은 사자에게 일렀다.
朕聞上世眞平王代有之耳(짐문상세진평왕대유지이) : "내 듣건대 상대 진평왕 때에 그 피리가 있었다고 하던데
今不知所在(금불지소재) : 지금은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
明年七月七日(명년칠월칠일) : 이듬해 7월7일에
更遺使(갱유사) : 다시 사자를 보내어
以金一千兩請之曰(이금일천량청지왈) : 금 1천냥을 가지고 와서 청하여 말했다.
寡人願得見神物而還之矣(과인원득견신물이환지의) : "내가 그 신비로운 물건을 보기만 하고 다시 돌려보내겠습니다."
王亦辭以前對(왕역사이전대) : 왕은 지난번과 같은 대답으로 이를 거절하였다.
以銀三千兩賜其使(이은삼천양사기사) : 그리고 은 3천냥을 그 사자에게 주고,
還金而不受(환금이불수) : 가져온 금은 받지 않고 그대로 돌려보냈다.
八月(팔월) : 8월에
使還(사환) : 사자가 돌아가자
藏基笛於內黃殿(장기적어내황전) : 그 피리를 내황전에 보관했다.
王卽位十一年乙亥(왕즉위십일년을해) : 왕이 즉위한 지 11년 을해(서기 795)에
唐使來京(당사래경) : 당나라의 사자가 서울에서
留一朔而還(류일삭이환) : 한 달 동안 머물다돌아갔다.
後一日(후일일) : 그 다음날
有二女(유이녀) : 두 여자가
進內庭秦曰(진내정진왈) : 내정에 나와 아뢰었다.
妾等乃東池靑池(첩등내동지청지) : "저희들은 동지와 청지에 있는
(靑池卽東皇寺之泉也(청지즉동황사지천야) : (청지는 곧 동천사의 샘이다.
寺記云(사기운) : 절에 있는 기록에 보면
泉乃東海龍往來聽法之地(천내동해룡왕래청법지지) : 이 샘은 동해의 용이 왕래하며 불법을 듣던 곳이요.
寺乃眞平王所造(사내진평왕소조) : 이 절은 진평왕이 지은 것으로서
五百聖衆五層塔(오백성중오층탑) : 5백성중(聖衆)과 5층탑과
並納田民焉(병납전민언) : ) 전민(田民)까지 헌납했다고 함.)
二龍之妻也(이용지처야) : 두 용의 아내입니다.
唐使將河西國二人(당사장하서국이인) : 그런데 당나라 사자가 하서국 사람 2사람을 거느리고 와서
而來呪我夫二(이래주아부이) : 우리의 남편인 2분과
龍乃芬皇寺井等三龍(용내분황사정등삼용) : 분황사 우물에 있는 용까지 모두 세 용의 모습을
變爲小魚(변위소어) : 작은 고기로 변하게 하여
筒貯而歸(통저이귀) : 통속에 넣어 가지고 돌아갔습니다.
願陛下勅二人(원폐하칙이인) : 원컨데 폐하께서 그 2인에게 명하시어
留我夫等護國龍也(유아부등호국용야) : 나라를 지키는 용인 우리 두 남편을 여기서 머무르도록 해 주시옵소서."
王追至河陽館(왕추지하양관) : 이에 왕은 하양관까지 쫓아가서
親賜享宴(친사향연) : 친히 연희를 베풀고는
勅河西人曰(칙하서인왈) : 하서국 사람들에게 명령했다.
爾輩何得取我三龍至此(이배하득취아삼용지차) : 어찌하여 너희들은 우리 나라의 세 용을 여기까지 잡아왔느냐?
若不以實告(약불이실고) : " 만일 사실대로 고하지 않으면
必加極刑(필가극형) : 필히 사형에 처할 것이다."
於是出三漁獻之(어시출삼어헌지) : 그제야 하서국 사람들이 세 마리의 고기를 내어 바치므로
使放於三處(사방어삼처) : 세 곳에 놓아 주자
各湧水丈餘(각용수장여) : 물속에서 제각기 한길이나 뛰고
喜躍而逝(희약이서) : 기뻐하며 뛰놀다가 가버렸다.
唐人服王之明聖(당인복왕지명성) : 당나라 사람들은 왕의 명철함에 감복했다.
王一日請皇龍寺(왕일일청황용사) : 왕이 하루는
釋智海入內(석지해입내) : 황룡사의 중 지해를 대궐로 청하여
稱講華嚴經五旬(칭강화엄경오순) : 50일 동안 화엄경을 외게 했다.
四彌妙正每洗鉢於金光井(사미묘정매세발어금광정) : 사미 묘정이 매양 금광정(金光井)가에서 바릿대를 씻었는데,
(因大賢法師得名(인대현법사득명) : ) (그리하여 대현법사 이름을 얻었다)
邊有一黿浮沈井中(변유일원부심정중) : 자라 한 마리가 우물 속에서 떴다 가라앉았다. 하므로 사
沙彌每以殘食(사미매이잔사) : 미는 늘 먹다 남은 밥을
餽而爲戱(궤이위희) : 자라에게 주면서 희롱했다.
席將罷(석장파) : 법석(法席)이 바야흐로 끝날 무렵에
沙彌謂黿日(사미위원일) : 사미 묘정은 자라에게 말했다.
吾德汝日久(오덕여일구) : 내가 너에게 은덕을 베푼 지가 오랜데
何以報之(하이보지) : "너는 나에게 무엇으로 갚으려느냐?"
隔數日(격수일) : 그런지 며칠이 지나
黿吐一小珠(원토일소주) : 자라는 입에서 구슬 한 개를 토해 내더니
如欲贈遺(여욕증유) : 묘정에게 주려고 하는 듯했다.
沙彌得其珠繫於帶端(사미득기주계어대단) : 묘정은 그 구슬을 받아 허리띠 끝에 달았다.
自後大王見沙彌愛重(자후대왕견사미애중) : 그 후로부터 대왕은 묘정을 보면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겨
邀致內殿(요치내전) : 내전에 맞아들여
不離左右(불이좌우) : 자기 옆을 떠나지 못하게 했다.
時有一匝干(시유일잡간) : 이때 잡간 한사람이
奉使於唐(봉사어당) : 사신으로 당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亦愛沙彌(역애사미) : 그 또한 묘정을 사랑하여 함께
請與俱行(청여구행) : 가기를 청하매
王許之(왕허지) : 왕은 이를 허락했다.
同入於唐(동입어당) : 이들이 함께 당나라에 가자
唐帝亦見沙彌而寵愛(당제역견사미이총애) : 당나라의 황제도 역시 묘정을 보자 매우 사랑하게 되었으며,
承相左右莫不尊信(승상좌우막불존신) : 승상과 좌우 신하들도 모두 그를 존경하고 신뢰했다.
有一相士泰曰(유일상사태왈) : 관상 보는 사람이 황제에게 아뢰었다.
審此沙彌(심차사미) : 사미를 살펴보니
無一吉相(무일길상) : 하나도 길한 상이 아닌데
得人信敬(득인신경) : 남에게 신뢰와 존경을 받으니
必有所持異物(필유소지이물) : 이는 필시 이상한 물건을 지닌게 틀림없습니다."
使人檢看(사인검간) : 황제가 사람을 시켜 몸을 뒤져 보니
得帶端小珠(득대단소주) : 허리띠 끝에 조그만 구슬이 매달려 있었다.
帝曰(제왈) : 황제는 말하기를,
朕有如意珠四枚(짐유여의주사매) : "내게는 네게의 여의주가 있었다.
前年失一个(전년실일개) : 그런데 지난해에 한 개을 잃었었다.
今見此珠(금견차주) : 이제 이 구슬을 보니
乃吾所失也(내오소실야) : 바로 내가 잃은 구슬이다."하며
帝問沙彌(제문사미) : 황제가 묘정에게 그 구슬을 갖게 된 여유를 묻자,
沙彌具陣基事(사미구진기사) : 묘정은 그 사실을 자세히 말했다.
帝內曰失珠之日與沙彌得珠同日(제내왈실주지일여사미득주동일) : 황제가 생각해 보니 구슬을 잃었던 날짜가 묘정이 구슬을 얻은 날과 똑같았
다.
帝留基珠而遣之(제류기주이견지) : 이에 황제가 그 구슬을 빼앗아 남기고 묘정을 돌려보냈다.
後人無愛信此沙彌者(후인무애신차사미자) : 그 후부터는 묘정을 사랑하고 신뢰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王之陵在吐含岳西洞鵠寺(왕지능재토함악서동곡사) : 왕의 능은 토함산 서쪽 동곡사에 있는데
(今崇福寺(금숭복사) : (지금의 숭복사인데
有崔致遠撰碑(유최치원찬비) : 최치원의 지은 비가 있다. )
又刱報恩寺(우창보은사) : 왕은 보은사와
又望德樓(우망덕루) : 망덕루르 세웠으며,
追封祖訓入匝干爲興平大王(추봉조훈입잡간위흥평대왕) : 할아버지 훈입잡간을 추봉하여 흥평대왕이라 하고,
會祖義官匝干爲神英大王(회조의관잡간위신영대왕) : 증조 의관잡간을 신영대왕이라 하였으며,
高祖法宣大阿干爲玄聖大王(고조법선대아간위현성대왕) : 고조 법선 대아간을 현성대왕이라 했다.
玄聖之老卽摩叱次匝干(현성지노즉마질차잡간) : 현성대왕의 아버지가 바로 마질차갑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