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3 알파행정학 진도별 모의고사 문제집이 출간되었습니다.
2022 진도별 모의고사 문제집과 비교할 경우 70문제 정도 바뀌었습니다.
바뀐 문제들은 대부분 현직 교수 교재 개정판 및 법령 제개정 내용을 반영하여 새롭게 만든 문제들입니다(아래 일부 문제 올림).
.
아래 첨부파일로 진도별 모의고사 샘플(21회차 문제 및 해설), 회차별 범위(알파행정학과 핵심체크 교재 기준) 올려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알파행정학 모의고사 문제집 문제가 어렵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그러나 행정학 고득점 및 시험합격을 위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내용입니다.
2022년 문제 중 넛지이론, 재정준칙, 중앙인사기관 변천, 중앙예산기관 변천, 지방자치의 역사, 중앙-지방협력회의, 지방세 탄력세율 등 기존 기출문제 수준을 벗어난 문제 대부분이 2022 진도별 모의고사나 전범위 모의고사에 들어 있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힘내시고 열공하십시오.
좋은 결과 얻으시길 기원합니다.
위계점 올림
[새롭게 출제한 문제 예시]
5회차 15번
문 15. 공공가치관리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시민과 이해관계자의 관여와 이들과 공무원 간 숙의민주주의 과정을 통한 공공가치의 결정, 창출, 그 결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때 행정의 정당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본다.
②무어(Moore)는 공공가치의 창출과 공공관리자의 거시적인 전략적 사고를 강조하고, 보우즈만(Bozeman)은 공공가치의 실재론에 기초하여 공공가치실패를 강조한다.
③무어(moore)는 공공가치창출을 위해 정당성과 자원의 확보, 공적 가치의 형성, 운영 역량의 형성 등 세 가지 요소를 중시한다.
④무어(moore)는 관리자의 역할로서 동의하는 성과목표를 정의하고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9회차 10번
문 10. 증거기반(evidence-based) 정책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이념, 신념, 의견 등이나 과학적 사실이 부족한 담론 등에 의한 정책결정을 지양한다.
②증거기반 정책결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책분석을 수행하는 연구자, 일선 정책담당자, 그리고 정책 결정자 사이의 상호이해 과정이 필요하다.
③증거기반 정책결정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분야는 외교정책, 노동정책, 교육정책, 형사정책 등 휴먼 서비스 정책 관련 분야이다.
④정책결정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15회차 17번
문 17. 의사전달 장애의 극복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정보에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처리하면 수신자의 수용거부로 인한 장애가 극복된다.
②계층제에서 계급성과 이에 부수된 상징을 강조하면 정보의 왜곡과 단절이 감소된다.
③정기적 회의 등 시기적 조절을 통해 정보량을 표준화하면 과부하로 인한 장애가 극복된다.
④왜곡과 누락을 극복하기 위한 가외성 방법은 메시지 내에 편파가 게재됐다고 보일 때 그에 맞서는 편파를 모색하도록 해서 차이 있는 해석을 뽑아내는 것이다.
17회차 20번
문 20. 다양성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멜팅팟(melting pot) 접근방법은 구성원 간의 이질성을 지배적 주류에 의해 동화시키는 방법으로 소극적 접근방법으로 볼 수 있다.
②샐러드 볼(salad bowl) 접근방법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이다.
③다양성 중 가시성이 낮은 유형으로 출신 지역, 성적(性的) 지향, 성격, 종교 등을 들 수 있다.
④다양성 중 변화가능성이 낮은 유형으로 학력, 자녀 유무, 가치관 등을 들 수 있다.
20회차 16번
문 16. 공무원직장협의회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가입 대상은 일반직공무원, 별정직 공무원, 특정직공무원 중 외무영사직렬·외교정보기술직렬 외무공무원,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등이다.
②업무의 주된 내용이 인사, 예산, 경리, 물품출납, 비서, 기밀, 보안, 경비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은 가입 대상에서 제외된다.
③협의회는 기관 단위로 설립하되, 하나의 기관에 복수의 협의회를 설립할 수 있다.
④정부조직법에 따른 중앙행정기관 내에 설립된 협의회를 대표하는 하나의 연합협의회를 설립할 수 있다.
26회차 7번
문 7. 주민조례발안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주민청구 조례안의 수리 및 심사 절차에 관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①지방의회의 의장은 주민조례청구를 수리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지방의회의 의장 명의로 주민청구조례안을 발의하여야 한다.
②지방의회는 주민청구조례안이 수리된 날부터 1년 이내에 주민청구조례안을 의결하여야 한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본회의 의결로 1년 이내의 범위에서 한 차례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③주민청구조례안은 주민청구조례안을 수리한 당시의 지방의회의원의 임기가 끝날 경우 폐기된다.
④주민조례청구의 수리 절차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지방의회의 회의규칙으로 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