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http://cafe.daum.net/chunzamkorea/7sbE/1
21세기를 향한 대체의학의 발전 방향과 전망 <1>
전주대학교 대체건강관리학부
김 현 교수
우리나라의 경우 9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대체의학에 대한
일반인과 보건의료계에 종사하는 전문인들의 시각은 아직 미심쩍기만 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인식은 이제 9개의 전공을 포함한 커다란 단과대학으로 성장한 대체의학대학이 있는 우리
전주대학교의 구성원들 사이에도 폭넓게 자리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의 대체요법 혹은 대체의학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영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없는 가운데서
오는 것 같다.
특히, 우리 학교 구성원들의 경우, 한국 대체의학에 대한 명확한 개념, 영역 그리고 위상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가운데 대체의학에 대한 나름대로의 이해만을 가지고 논의들이 되고 있음에 비추어 구성원 전체가 볼 수 있는 이 지면을 통해 대체의학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과 분류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한국 대체의학의 현황과 발전을 위한 교육에 대해서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의미 깊은 일이 될 것이다.
1. 대체의학의 국제적 정의
대체의학(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에 대한 정의는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미국 국립대체의학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NCCAM)에서 2005년에 발표한 안에 따르면, 대체의학이란 서양 의학(conventional medicine: CM)을 제외한 모든 치료법이나 원리들로 정의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대체의학을 그림 1과 같이 4개 분야로 나누었고 이 4개 분야의 바탕에 고루 걸쳐있는 종합적인 의료체계(whole medical system)로 1개를 분야를 두고 있다.
2. 국제적 기준의 대체의학 분류 체계
대체의학의 분류는 1992년 미국 대체의학센터의 전신으로 미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 내의 소속 기관이던 OAM(the office of alternative medicine)의 특별 자문위원회에서 대체의학에 대한 각 종 사업 추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체의학을 6개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이 시안이 2002년 미국 백악관 대체의학 정책위원회(WHCCAMP: white house commission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policy)의 수정 및 보완을 거쳐 2005년 미국 대체의학센터에서 표 1과 같이 확정하여 정리된 것이다.
① 종합의료체계(Whole Medical Systems)
표 1에서 종합의료체계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대체의학에서 종합의료체계를 갖추었다는 의미는 서양 정통의학인 양의학과는 다른 자체의 독자적인 진단 및 치료 이론과 시술 방법론이 하나의 독립적인 의학 체계로 완전하게 갖추어진 형태의 의료 체계를 말한다.
여기에 속하는 민족전통의학 체계로는 중국전통의학, 아유르베다, 동종요법, 미국 원주민 의학, 자연의학 등 이외에도 한국의 한의학(韓醫學), 티벳의 장의학(藏醫學), 몽고의 몽의학(蒙醫學), 위구르족의 회골의학(回鶻醫學), 중동지방의 Unani tibb(회교의학), 태국과 베트남 전통의학 등 세계의 각처에 거주하는 민족이나 혹은 거주민들의 전통의학이 모두 포함된다.
이 영역의 특징인 민족전통의학은 그동안 양의학 중심의 서양 의학계에서는 이해와 정보의 부족 그리고 문화적 이질성 등에 의해 경시되거나 폄하되어 왔다.
그러나 다른 대체의학의 영역들과는 달리 대개가 한 민족이나 한 지역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이 철학, 과학, 문화, 예술들이 집약된 형태로써 수천 년 동안 계승해 온 독자적인 의학체계이고, 현대의 질병들을 퇴치하는데 결정적인 치료 원리나 치료법들을 포함하고 있음이 알려진 후로는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전문가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민족전통의학은 성격상 단편적인 접근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워 WHO를 비롯한 선진 외국에서는 다학문적인 혹은 학제적인 조사팀을 이루어 활발한 연구들을 꾸준히 수행시켜온 결과, 현재는 세계 보건 의료 환경을 개선시키는 많은 결과들을 내놓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조류에 힘입어 인도와 티벳의 경우, 자신들의 고유한 치료법과 의학을 다양한 웰빙과 의료 비즈니스로 모델화하여 미주지역과 유럽에 관련된 다양한 상품들은 물론이고 많은 인력을 파견하고 있다.
② 심신의학(Mind-Body Interventions)
심신의학은 인체 내 기능과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기능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을
사용하는 대체의학의 하나로 세계 대체의학에서 큰 축을 형성하고 있다.
이 분야에는 이제 우리나라에도 널리 알려져 있는 문학, 영성, 음악, 미술, 무용 등을 포함하는
예술치료와 함께 기도, 명상, 최면 및 정신 치료는 물론이고
특히, 양의학에서 많이 언급이 되는 플라시보 효과도 여기에 포함된다.
현대인들은 삶의 구조상 피할 수 없는 수많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고 이러한 스트레스는 결국에는 다양한 질병들의 원인이 되어 현대인들의 건강 유지에 큰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 심신의학은 이러한 정신적 질환의 치유에 이미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는 개인이나 의료기관이 많아지고 있다.
③ 생물학적 치료(Biologically Based Practices)
생물학적 치료는 그 성격이 대체의학의 다른 영역과는 달리 치료에 이용되는 재료를 중심으로 분리된 분야이다.
따라서 이 영역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 다양한 생물들에서 추출되거나 얻어진 생체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건강보조식품을 포함하여,
다양한 경로로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물을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식물을 이용하는 치료법에는 아시아 민족전통의학에서 많이 이용하는 식물약재요법과 미국과 유럽에서 많이 이용하는 꽃요법과 허브요법이 대표적이고 원예요법도 널리 알려져 있다. 영양요법에는 민족 별 혹은 지역 별로 다양한 식이요법이 있으며 미국을 중심으로 비타민 요법이 있다.
이외에 자연계에 아주 다양한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많은 요법들이 포함된다.
사실, 생물학적 치료는 지구상의 무수히 다양한 생태계와 이곳을 삶의 터전으로 많은 생물들을 이용하여 살아가는 다양한 원주민들이 각각의 특성에 맞게 오랜 세월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그 수는 헤아릴 수 없다.
④ 수기요법(Manipulative and Body-Based Practices)
수기요법은 손, 발과 같은 인체의 일부나 전부를 이용하여
통증이 있는 부위나 질병이 발생한 부위를 자극하여 치료하는 물리적인 치료법이다.
이 영역에 속하는 치료법들도 역시 지역별 인종별로 다양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대표적으로 카이로프락틱(Chiropractic), 마사지(Massage) 요법, 지압
그리고 오스테오패티요법(Osteopathy: 整骨療法) 등이 있다.
수기요법은 현대 양의학에서 가장 오랫동안 연구된 분야들 중 하나이며, 이에 걸맞게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대체의학적 치료법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양의학에서는 정형외과에서 시술하며, 한의학계에서는 추나요법 속에 모두 포함하여 시술되고 있다.
⑤ 에너지 의학(Energy Medicine)
동양에서는 기(氣)로 알려진 자연 속의 에너지는 서양의 양자 과학에서는
미세 혹은 미약 에너지(subtle energy)로 밝혀졌으며,
이를 물질계에서는 에너지, 생체에는 생체에너지(bio-energy),
정신 부분에는 정신에너지(psychoenergy)로 나누어 연구되어 왔고,
이렇게 얻어진 연구 결과들을 이용한 치료원리와 방법들이다.
에너지 의학은 크게 생체 미약에너지를 이용하는 치료법, 생체 미약에너지의 전기적인 성질을 이용하는 치료법 그리고 생체 미약에너지의 양자적인 성질을 이용하는 치료법 등으로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현대 양자 물리학의 발전으로 개발된 양성자 암치료법도 결국에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치료법이므로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생체 미약에너지를 이용하는 치료법에는 Tai chi(태극권)를 포함한 기공요법, 레이키(Reiki: 靈氣) 요법, 약손 요법(Theapeutic Touch) 그리고 생체 치료법(Bio Therapies) 등 생체 속의 미약 에너지를 이용하는 영역이 있다
.
두 번째, 생체 미약에너지의 전기적인 성질을 이용하는 치료법에는 생체 전자기 응용치료법(Bioelectromagnetic-based Therapies)과 자기 치료(Magnet Therapy) 등이 있다.
세 번째는 Radionics로 알려진 생체 미약에너지의 양자적인 성질을 이용한 치료로서 생체 미약에너지의 상호 공명 현상을 이용하는 치료법이 있다.
이와 같이 에너지 의학 분야는 대체의학의 다양한 치료법의 핵심으로 수천 년 동안 민족전통의학 체계 속에서 이용되어 온 에너지를 이용한 원리가 현대의 양자 과학을 만나 접점을 이루는 영역으로 대체의학과 양의학이 경계를 이루며 날로 발전하고 있다.
3. 한국 대체의학의 현재와 전망
전통적으로 중의학의 영향권 안에 놓여 있으며, 한의학(韓醫學) 체계가 법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에서의 대체의학은 양의학 이외에 모든 치료법을 대체의학으로 간주해온 유럽과 미국 등 선진 외국과는 영역과 위상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
그림 2에서 보여 주는 바와 같이 법적으로 양의사와 한의사 이외에는 치료를 할 수 없는 우리나라와 달리, 치료의 개념이나 시술자에 대한 규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하거나 혹은 폭넓게 적용되어 다양한 대체요법사들이 시술에 임할 수 있는 유럽과 미국 등 선진 외국의 대체의학과 한국 대체의학의 입장은 다를 수밖에 없다
.
특히, 여러 분야에서 대체의학계와 영역 다툼을 벌일 수밖에 없는 한의학계에서는
침, 뜸, 식물약요법, 동양의학요법, 동종요법, 카이로프락틱, 요가 등도
자신들의 영역으로 확고히 하고 있다.
이렇듯 한국에서의 대체의학의 영역은 법적으로 양의사, 한의사 그리고 치료적인 마사지를 부분적으로 할 수 있는 안마사만이 담당할 수 있는 치료 개념의 진단, 치료 및 시술 이외의 부분일 수밖에 없으므로 일면 그 영역이 작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사실은 대체의학의 경우, 질병의 예방, 치료 후 관리 및 노후(장수) 관리 등이 포함되어, 사람의 일생을 놓고 볼 때 질병 치료 기간 이외에 모든 기간을 담당할 수 있으므로 오히려 폭넓은 분야가 포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비침습적인 치료를 선호하는 현대인의 성향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는 현실과 많은 대체의학의 영역이 치료의 영역으로 넓혀지고 있는 선진 외국의 많은 사례들을 볼 때, 우리나라에서도 다소간의 진통이 예상되기는 하지만, 멀지 않은 시기에 법적으로 치료와 시술의 개념이 폭넓게 적용되어 다양한 대체의학 요법들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을 고려하여 보면 한국 대체의학의 영역은 양의학과 한의학의 치료 범주에 포함되는 5개의 대체의학 분류 영역(표 1) 중 종합의료체계 중에서 한국의 한의학을 포함한 절반정도의 부분, 생물학적 치료의 식물약재요법 부분 그리고 수기요법 부분 등을 제외한 부분으로 정리되며, 따라서 법적인 제약 없이 우리나라에서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대체의학의 영역도 그림 2와 같이 자연스럽게 요약할 수 있다.
① 민족전통의학 영역
아유르베다(인도)의학, 藏(티벳)의학, 蒙(몽골)의학 등 6개 정도의 민족전통의학이 포함되며, 이들 분야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아이템과 비즈니스 모델로 유럽과 미국의 보건의료 관련 시장에 소개되어 적지 않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그림 3과 같이 아유르베다 의학은 다양한 형태로 특급 호텔의 웰빙 부서에서 고객 유치를 위한 주요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법 중 일부인 시로바드티(sirovasti)는 “샤니즈(http://www.shahnaz.co.kr)”라는 회사가 두피관리법으로 소개하여 프랜차이즈에 크게 성공하고 있다.
민족전통 체질분석은 약 15년 전부터 이와 관련한 식이요법 시장이 큰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였으며, 티벳의 장의학 경우도 10여 년 전 부터 뇨진과 뇨요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뜸요법과 약욕법(藥浴法)은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며 이외에도 명상, 생약 등 다양한 웰빙 관련 아이템으로 적지 않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마사지로만 주로 알려져 있는 태국의 전통의학과 미국 원주민 의학은 생약요법과 허브요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 소개되기 시작하였지만, 이제 우리 일상생활에 흔하게 이용되고 있어 현재의 시장성을 논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 되었다.
② 에너지 치유 영역
생체에너지에 대한 실체를 분명하게 모르거나 혹은 양자 과학의 눈부신 발전상을 놓친 사람들에 의해서 가장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인 대체의학의 영역으로 취급되던 에너지 의학도 그림 4에서 볼 수 있듯이 양방과 한방을 가리지 않고 이용하고 있다.
전국의 많은 병원과 의원에서는
생체에너지의 양자적인 성질을 이용한 전자침(EAV), 파동치료기(Zapper), 생체공명치료기(Bio-radionics), 생체에너지 진단기(GDV), 초전도간섭진단기(SQUID) 등 다양한 기기들을 이용하여 진료하거나 치료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와 건강 관련한 다양한 제품의 효과 검증과 보증 분야까지도 이미 수년 전부터 다양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듯 에너지 의학은 이제 학문적으로도 무생물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에너지학(energetics), 생체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생체 에너지학(bio-energetics) 그리고 정신과 인식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 에너지학(psycho-energetics) 등으로 세분화되어 발전되고 있다.
NLP, 영혼치료, 레이키, 자기 변형게임, 자가지지 그룹(self-help group) 등 정신 에너지를 이용한 시장은 질병의 치유를 원하는 개인은 물론이고 생산성을 높이려는 기업이나 기관들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교육을 하고 있어 날로 그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미국 시장의 경우 대체의학적 치료를 경험한 미국인의 1/4이 생체 및 정신 에너지 치료를 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시장이 수십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전통의 약손요법의 경우 미국의 간호 관련 고등 교육기관에서는 필수과목이 되고 있는 상황일 정도로 시장이 활성화 되어 있다고 한다.
특히, 자연계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양성자 에너지 암 치료기는 이미 국내에서도 가동되어 많은 암환자들을 치료하고 있으며, 부작용과 고통이 없는 치료를 갈망해 온 암환자들에게 커다란 희망이 되고 있다.
③ 생물학적 요법과 심신요법 영역
우리나라에서 이용되는 생물학적 요법은 전통이 가장 오래된 식이요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최근에 소개되어 각광을 받고 있는 허브 요법과 비타민 요법 등이 중심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여기에 다양한 대체의학적 요법을 가미한 개인 기반 생물치료 등이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인 요법 시장은 웰빙 시대를 시작으로 로하스 시대를 거쳐 비만과 피부 관리 등 미용시대에 들어서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영성, 문학, 음악, 춤, 미술 등을 포괄하는 예술치료는 물론이고 명상, 최면, 기도, 정신적인 치유를 지향하는 심신요법의 경우도 이제 전국에 면단위 지역까지 없는 지역이 없을 정도인 명상원, 휴양원, 요양원 등에서 핵심적인 치유법으로 활용되고 있어 현재도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산업이 고도화되어 정신적인 질환이 늘고 있으며 노인 인구의 증가로 앞으로 더욱 큰 보건의료 서비스 산업으로 발전될 것이 틀림이 없다.
4. 한국 대체의학 교육의 방향
한국 대체의학의 교육은 오랫동안 민간 부분에서만 이루어져 오다가 4~5년부터 대학과 대학원 교육이 되면서 고등 교육기관에서 담당하는 제도권 교육과 민간단체에서 담당하는 비제도권 교육으로 나누어서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교육은 양의학과 한의학이 있어서 담당해야할 영역과 위상이 다른 나라들의 경우와 의료법 상 많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지 않고 실시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 대체의학 교육에 진단과 치료 교육을 포함시킬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교육을 받는 모든 사람들은 사실상 시작부터 끝까지 실정법에 어긋나는 직업 교육을 받고 있는 난감한 현실이 지속되고 있다.
웰빙 바람을 타고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대체의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하루가 다르게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에 배타적인 치료권을 가진 양의학과 한의학계의 대체의학 교육에 대한 다각적이고 날 선 견제는 날로 강화될 것이라는 점은 명확한 사실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요인들은 우선적으로 민간단체의 교육에 큰 영향을 주어 장기적으로 볼 때, 이들이 담당하고 있는 교육은 제도권의 교육으로 편입될 것이 분명한 것 같다.
그러므로 제도권 교육에서는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첫째, 국제적인 정의와 기준 둘째, 한국 대체의학의 위상을 충분히 반영하여 세워져야 할 것이다. 이럴 경우 교육 목표는 질병의 예방, 치료 후 관리 및 노후(장수) 관리가 될 수밖에 없다
.
교육의 영역은 민족전통예방 ․ 치료 후 관리 관련 요법, 건강관운동 ․ 웰빙 ․ 로하스 관련 요법, 미용 ․ 피부 관련 요법, 요양 ․ 휴양 ․ 명상 관련 요법, 재활 ․ 영양 ․ 식이 관련 요법 등이 되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위상을 가지는 대체의학 교육 영역의 내용은 그림 2와 같이 민족전통의학, 에너지 치유, 생물학적 요법, 심신의학 등으로 다양하게 짜여져서, 이전의 정체성이 부재된 교육에 비해서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더욱 폭넓은 사회 분야에 기여할 것이 분명하다.
그림 1. 2005년 미국 대체의학센터에서 발표한 대체의학 분류도표
그림 2. 한국에서의 대체의학
그림 3. 아유르베다의학을 응용한 사례
그림 4. 에너지의학을 응용한 사례
표 1. NCCAM(2007년)의 CAM(대체보완의학) 분류
범 주
내 용
예
종합의료체계
(Whole Medical Systems)
서양 정통의학과는 다른
자체 이론과 시술체계가
하나의 틀로 완전하게
갖추어진 형태의 의료
체계를 의미
∘중국전통의학(태국, 베트남, Kampo
(일본)전통의학, 포함)
∘동종요법(Homeopathic Medicine)
∘자연의학(Naturopathic Medicine)
∘한국의 한의학(Traditional Korean
Medicine)
∘아유르베다(인도) 의학
∘장(티벳)의학
∘몽(몽골)의학
∘Unnai-tib(회교)의학
∘태국, 베트남 전통의학
∘미국 원주민 의학(Native American Medicine)
심신의학
(Mind-Body Interventions)
심신의학은 인체 내
기능과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기능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을 사용
∘기도 및 정신치료(Prayer and Mental Healing)
∘명상요법(Meditation)
∘최면요법(Hypnosis)
∘춤치료(Dance Therapy)
∘음악치료(Music Therapy)
∘플라시보효과(Placebo Effect)
생물학적 치료
(Biologically Based Practices)
허브 건강보조식품 등
다양한 동식물을 비롯한
천연물을 이용한 치료기법
∘식물약재요법
∘허브치료(Herbal Therapy)
∘특이 식이요법
∘비타민 요법(Megavitamin Therapy)
∘개인 기반 생물 치료(Individual Biological Therapies)
수기요법
(Manipulative and
Body-Based Practices)
인체의 일부 또는 전신을
이용하는 물리적 치료법
∘추나요법(Chiropractic)
∘마사지(Massage)
∘오스테오패티요법(Osteopathy: 整骨療法)
에너지 의학
(Energy Medicine)
의학적 목적으로 인체
내외의 미세한 에너지를
이용하는 치료법
∘기공요법
∘레이키 요법(Reiki: 靈氣)
∘생체 치료법(Bio Therapies)
∘생체 전자기 응용치료 (Bioelectromagnetic-based Therapies)
∘접촉 치료(Theapeutic Touch)
∘자기 치료(Magnet Therapy)
※음영부분은 법적으로 양의사, 한의사 및 안마사만이 담당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