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갈 근(謹)자는 의부(義符)로 말씀 언(言)자에 성부(聲符)로 노란 진흙 근(堇)자를 했습니다. 노란 진흙 근(堇)자는 누를 황(黃)자의 변형입니다. 모두 땅의 누런 색깔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노란 진흙 근(堇)자에는 흙 토(土)자가 들어 있습니다. 흙 토(土)자 위에는 누를 황(黃)자의 윗부분과 흡사합니다. 근고(謹告) 근후(謹厚) 근정(謹呈) 근하신년(謹賀新年) 근조(謹弔) 근엄(謹嚴)
부지런할 근(勤)자는 진흙 근(堇)자에 힘 력(力)자 변을 했습니다. 땅(堇)에서 부지런히(力) 일한다는 글자(勤)이지요. 진흙 근(堇)자는 땅의 색깔을 나타내는 누를 황(黃)자를 닮았습니다. 무궁화나무 근(槿), 삼갈 근(謹), 옥 근(瑾), 흉년들 근(饉), 겨우 근(僅)자들은 진흙 근(堇)자가 들어 있어서 ‘근’으로 읽습니다. 부지런할 근(勤)자는 형성(形聲) 글자입니다. 근면(勤勉) 근검(勤儉) 근행(勤行) 근사(勤事) 근무(勤務) 전근(轉勤) 출근(出勤)
힘줄 근(筋)자는 의부(義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갈비 륵(肋)자를 했습니다. 갈비 륵(肋)자는 육달 월(月)변에 힘 력(力)자를 합해서 만들었습니다. 힘 력(力)자 세 개를 써서 옆구리 협(脅,脇)자를 만들었습니다. 력(力)자가 발음을 나타내지마는, 그 이상의 뜻이 있을 것도 같습니다. 갈비나 옆구리, 특히 옆구리는 힘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옆구리가 약하면 힘을 쓰지 못합니다. 인체에서 힘이 나오는 곳이 어깨 팔 옆구리 같은 곳이라고 봅니다. 한자(漢字)를 상하 또는 좌우로 겹쳐 쓸 때 같은 글자로 보는 경우도 있고, 다른 글자로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옆구리 협(脅,脇)자는 같은 글자로 보았습니다. 그러나 벌거벗을 라(裸)자와 쌀 과(裹)자와 같이 서로 조합하는 글자의 위치가 바뀌면 전혀 다른 글자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지런할 근(勤), 흙벽 근(㘦), 힘줄 근(觔), 힘줄 근(筋)자들은 힘 력(力)자가 들어 있어서 ‘근’으로 읽습니다. 근골(筋骨) 근육(筋肉) 근력(筋力) 근통(筋痛) 무문근(無紋筋) 평활근(平滑筋)
뿌리 근(根)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어긋날 간(艮)자를 했습니다. 어긋날 간(艮)자는 볼 견(見)자에 비교하여 보면 외면한 모습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우스울 근(哏), 발꿈치 근(跟)자들은 어긋날 간(艮)자가 들어 있어서 ‘근’으로 읽습니다. 근본(根本) 목근(木根) 초근(草根)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