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일본 캠샤프트 시장동향 | |||||||||||||||||||||||||||||||||||||||||||||||||||||||||||||||||||||||||||||||||||||||||||||||||||||||||||||||||||||||||||||||||||||||||||||||||||||||||||||||||
---|---|---|---|---|---|---|---|---|---|---|---|---|---|---|---|---|---|---|---|---|---|---|---|---|---|---|---|---|---|---|---|---|---|---|---|---|---|---|---|---|---|---|---|---|---|---|---|---|---|---|---|---|---|---|---|---|---|---|---|---|---|---|---|---|---|---|---|---|---|---|---|---|---|---|---|---|---|---|---|---|---|---|---|---|---|---|---|---|---|---|---|---|---|---|---|---|---|---|---|---|---|---|---|---|---|---|---|---|---|---|---|---|---|---|---|---|---|---|---|---|---|---|---|---|---|---|---|---|---|---|---|---|---|---|---|---|---|---|---|---|---|---|---|---|---|---|---|---|---|---|---|---|---|---|---|---|---|---|---|---|---|---|
게시일 | 2015-03-05 | 국가 | 일본 | 작성자 | 박은희(도쿄무역관) | |||||||||||||||||||||||||||||||||||||||||||||||||||||||||||||||||||||||||||||||||||||||||||||||||||||||||||||||||||||||||||||||||||||||||||||||||||||||||||||
품목 | 전동축[캠샤프트(cam shaft)와 크랭크샤프트(crank shaft)를 포함한다], 크랭크(crank), 베어링하우징(bearing housing)과 플레인 샤프트베어링(plain shaft bearing), 기어(gear)와 기어링(gearing), 볼이나 롤러 스크루(roller screw), 기어박스(gear box), 그 밖의 변속기[토크컨버터(torque converter)를 포함한다], 플라이휠(flywheel)과 풀리(pulley)[풀리블록(pulley block)을 포함한다], 클러치(clutch)와 샤프트커플링(shaft coupling)[유니버설조인트(universal joint)를 포함한다] | |||||||||||||||||||||||||||||||||||||||||||||||||||||||||||||||||||||||||||||||||||||||||||||||||||||||||||||||||||||||||||||||||||||||||||||||||||||||||||||||||
품목코드 | 8483 그 외 1건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일본 전동축부품(848310) 시장규모는 2014년 3억3,225만달러를 기록, 전년대비 19.5% 증가
(단위: US$ 백만,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시장전망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CO2 배출량 규제로 인해 신형엔진개발이 필요하여 엔진부품 생산증가
○ 수요 감소 예상 요인 - 자동차 생산거점의 해외이전에 따른 현지 조달 확대 - 소비세 증세 후 지속적인 자동차 판매대수 감소로 인한 자동차 생산 감소
○ 무역관 전망 - 엔진의 경우 자동차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부품으로 거래처 변경에 대한 리스크를 생각하면 변경하기 힘듦. 다만, 신형엔진 개발에 필요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는 판단됨. - EV차량이 늘어날수록 캠샤프트의 부품은 필요치 않아 앞으로 점유율이 계속 줄어들 가능성이 높음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구매 계층
- 2013년 일본자동차부품산업의 실태에 따르면 엔진 부품의 경우, 다른 자동차 부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종 완성차 제조사에 의한 구매가 많은 품목임. - 다만, 거의 자동차용 캠샤프트 시장이 독점인 상태이며 대부분의 엔진부품은 완성차 내부에서 제작을 하고 있음
○ 구매 동기: 신형엔진개발, 유지보수 목적
□ 수입동향
○ 일본 자동차 샤프트부품(HS848310)의 2014년 수입은 3억3,225만달러로 전년 대비 19.5%가 증가했음. 태국과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증가한 반면, 한국에서부터의 수입은 변함이 없음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일본 캠샤프트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848310 기준) (단위: US$ 백만,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규제 제도
○ 규제내용(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 특별히 없음 ○ 필수 인증: 특별히 없음
□ 관세율
○ 관세율: HS 코드 848310 기준 무세
○ 통관 시 유의사항: 특별히 없음
□ 주요 유통채널(온라인 시장, 현지 딜러망, 대형유통업체 등)
○ 해당 부품의 생산은 완성차 업체와 아래 부품업체, 소재를 공급하는 제조, 개발 및 생산에 사용되는 설비(금형 포함) 및 공구 관련 제조업 등 많은 관련 산업에 의해 움직이고 있음. - 해당 부품은 직접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1차 벤더, 1차 벤더에 납품하는 2차 벤더, 거기에 2차 벤더의 부품 협력기업이나 직접 납품하는 3차 벤더로 크게 구분할 수 있음. - 완성차 제조사를 포함 각 벤더는 생산 공장 내부에 재고를 가지고 싶어 하지 않음. 적기 공급생산을 위해 1일1회 혹은 1주일에 1회 등 납품을 해주길 원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일본 내 창고 등을 운영해주길 원함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③ 보통: 일본 완성차 제조사의 한국산 자동차 부품 채택과 검토가 늘고 있으나, 엔진 부품의 경우 아직까지는 기존 공급자의 공급률이 높으며 대부분은 내부에서 제작되고 있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해당부품은 엔진부품으로 제품특성상 바이어가 구입처 변경이나 외부구입을 꺼려하는 품목임. - 또한, 완성차조차 내부 제작율이 높아 진입이 어려운 시장임
○ 현지 바이어 구매 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가격, 품질, A/S, 공급자와의 신뢰관계, 친밀도 등) - 일본 완성차 제조사와 해외 부품 제조사가 글로벌 조달을 실시하고 있어 경쟁사는 일본기업이 아닌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쪽의 부품업체임. - 생산능력에 관해 기존 고객사의 물량이 늘어나도 대응이 가능함을 어필할 필요성이 있음 - 엔저로 인해 한국기업의 가격경쟁력이 많이 떨어진 만큼 원가절감의 노력이 필요함
□ 마케팅 방안 및 타겟 고객층
- 중요부품인 관계로 완성차 제조사에의 소개를 통해 경쟁력을 확인시킨 후 벤더를 소개받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됨 - 1차 벤더 고객사의 경우 가격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해 가공품의 해외구매가에 대해 정보수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내부제작을 제외한 2개사가 5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어 RIKEN과 Nippon Piston Ring을 타켓으로 할 필요성이 있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