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의 농토 일천만평~ 현 고려대학교의 창립자 김성수는 요즘도 ‘항일 투사’들에게 친일파로 매도되고 있다. 친일 인명사전에 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넣으려고 혈안이 되어있는 자들은 매일 그런 궁리 만 하고 있는 듯하다. 내가 전해들은 이야기에 의하면 대한민국 헌법 기초위원 중에 한 사 람이던 고려대학교의 유진오가 ‘농지 개혁법 86조’를 들고 애국 애족 운동의 선봉장이나 다름없던 인촌 김성수를 찾아갔다고 한다. 그리고 “선생님, 농지 개혁법의 제정은 대한민 국 토지의 8할을 점유하는 지주와 소작농 농민들과의 대립을 줄이게 되니 민심을 달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김성수는 조상이 물려준 넓은 농토를 갖고 있는 대지주의 후손이었다. 개혁법이 시행되면 그는 앉은자리에서 조상이 물려준 그 넓은 농토를 다 잃어버릴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될 것이 었다. 그 농토가 얼마나 방대했는가 하면, 면적이 무려 3,247정보, 평으로 환산하면 대략 일 천만 평에 가까운 넓은 땅이었다. 김성수는 눈 하나 끔쩍 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그렇게 하 셔야지요”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진실한 애국자는 보통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농토는 농민에게”라는 대원칙을 내걸고 신생 대한민국은 안간힘을 다 쓰던 때였다. 김성수가 “No” 했으면 아마 당시 좌익들이 온갖 시비를 걸어 신생 공화국은 또 다른 시련을 면치 못하였 을 것이다. 그런 애국자를 ‘친일파, 민족 반역자’로 내몬다는 것은 천부당만부당한 일 아닌가. 이 나라의 앞날이 걱정이 된다... -김동길- |
첫댓글 지금도 친일 노래를 부르고 있는 정치인들의 주장에 동조하는 국민들이 많다는 게 큰 문제입니다.
마산역에 가면 우리나라 유명 어느 시인의 노래비 옆에다 그 분의 친일 행적을 적은 또 다른 비를 세워 놓았습니다.
꼭 그래야 하는지 볼 때마다 기분이 상합니다. 백선엽 장군도 박정희 대통령도 모두 친일파라 몰아붙이는 그들이 참 한심스럽습니다.
공은 공이고 과는 과대로 인정해야 하는데도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