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단대
    2. 대종교천부경학회
    3. 슬픈고양이
    4. buff
    5. 1학년
    1. 솜소밍
    2. 상앙
    3. 고니24
    4. 빨강머리앤
    5. SAC현욱
 
 
카페 게시글
고구려 토론방 고구려-돌궐과의 관계와 고구려 멸망
김원식입니다 추천 0 조회 601 06.09.08 08:55 댓글 1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6.09.08 18:20

    첫댓글 참고로 옥저지역은 빼앗긴 정도는 아니고 신라가 일시적으로 '진출'했다가 금방 다시 수복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급선이 너무 길어진데다가 신라에게는 거기까지 점령할 능력은 없었거든요. 이후 연개소문이 집권 후 백제와 손잡기 전까지 신라는 한수유역까지를 세력권으로 유지합니다.

  • 06.09.08 18:21

    참고로 연개소문 집권 후 백제와 연합 한 고구려 군에 의해 신라가 진흥왕 때 확보한 한수 유역 30여성이 함락되는 것을 보면 두나라의 스케일이 다르다는 것을 확연히 알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작성자 06.09.08 18:30

    티얼님 말씀이 옳습니다. 옥저부분은 좀 고쳐야 겠군요.

  • 06.09.08 22:17

    진출이라는 표현보단 침략이 표현이 좋은것 같아요 신라는 역시나 비겁하네요 백제를 배신한것도 모자라 뒤퉁수를 때리다니 그런나라가 역사에 있는게 부끄럽네요 지딴에는 살아보겠다고 한짓일테지만

  • 06.09.09 21:27

    비겁하다고 할것까지야.. 너무 비하하시는거 아닌가요..

  • 작성자 06.09.08 22:47

    신라가 야비한 것은 사실이지만, 신라는 초창기부터 소국주의 노선을 걷던 국가라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그들은 고구려 백제 가야 수 당 외세가 강할 때는 조공을 바치면서 살았습니다. 대국주의 노선에 고구려는 절대 할 수 없는 일이지요. 그들은 안정적인 국가 건설을 위해서는 대국의 발바닥이라도 핥을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대국으로 성장할 수없는 약소국으로써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쩔 수가 없었지요. 그렇게 본다면 신라의 삼국통일(?)은 동북아시아의 균형 질서에 파괴였고 중화주의 세계관이 성립될 수 있는 불행한 길이 열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 06.09.09 14:20

    으음.. 주제와는 상관없는 내용이지만... 동아시아사에서 유목제국의 위력은 언제나 과장되어 있는 듯 하군요. 백만이라...;; 정착화하여 대제국을 이룬 오스만투르크도 정규군은 30만 정도였다던데... 물론 원정때는 잡병들 모아서 수를 뻥튀기긴 했지만요... 무조건 결과만 놓고 대단하다고 말하기 보다는 좀 더 넓은 각도에서 연구가 진행되면 좋겠네요.

  • 06.09.09 16:18

    돌궐 백만은 지나친 감이 없지 않아 있는듯 합니다. 말그대로 백만으로 받아들이면 곤란...

  • 06.09.10 18:31

    동감 ㅋ 백만대군은 과장임. 그냥 만리장성 북쪽만 장악했는데 어떻게 그런 대군이.. 받아들이기 곤란.

  • 06.09.09 21:28

    유목제국 군사 뻥튀기는 인구수를 기록한 자료가 그때 당시에도 없었기때문에 그런것이 아닐까요?

  • 작성자 06.09.09 23:03

    물론 한족들의 문언기록입니다만 정확히 썼다기 보다는 그정도로 돌궐이 강했다는 의견이 가까울 것입니다.

  • 06.09.10 10:27

    꼭 숫자뿐만 아니라 보통 유목제국은 엄청나게 강한 전투국가라는 것을 전제하고 있는 분이 많지요. 그런데 유럽쪽에서는 유목민들이 강세를 떨치지 못했거든요. 훈족은 대제국을 세웠지만... 게르만, 로마 연합군에게 패하고 멸망의 길을 걸었고... 그 외 아바르족이 제국을 세웠지만... 유럽방면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진 못했고... 페체네그, 쿠만족들 역시 잠깐 위세를 떨쳤을 뿐 결국 비잔티움에 패하여 소멸했죠. 그리고 돌궐의 일족인 투르크인들은 십자군기사들에게 상당기간 밀렸습니다. 물론 몽골인들이 유럽쪽에서도 강세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이는 예외라 칠 수 있겠죠. 그러고 보면 유목민들이 위력을 떨쳤던 곳은 동아시아

  • 06.09.10 10:31

    방면으로 한정되는 것 같습니다. 그건 동아시아의 유목민집단의 전투력이 서방의 유목민들보다 뛰어나서 그런 것은 아니겠지요. 이런 사실을 종합하여 볼 때, 동아시아에서의 유목민들의 엄청난 위력은 서방과 다른 특수한 정치적 사정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또 한 예로, 동방과 서방에 대제국을 세웠던 오스만투르크의 경우... 메소포타미아, 레반트, 이집트, 북아프리카지역의 광대한 영토를 정복했지만 서방진출에 있어서는 겨우 발칸과 헝가리 일부를 정복했을 뿐이죠. 게다가 유럽지역 영토에 대한 진출은 수십년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이런 사정을 종합하여 볼 때, 무조건 동아시아에서의 결과만 놓고 유목민들은 엄청나게 강했다, 라

  • 06.09.10 10:32

    고 하기 보다는 다양한 지역사정을 비교 고찰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06.09.10 13:49

    일단 양쪽에서 다굴맞는데 배겨낼 재간이없죠.

  • 06.09.10 17:33

    벨리사리우스님 그건 약간 결과론적 해석이 아닌가 싶군요. 훈의 경우 게르만 로마 연합군에게 패하여 멸망의 길을 걸었던 것이 아니라 유럽 초토화의 길을 제지당한 것에 불과합니다. 훈이 망한 것은 훈왕 아틸라 사후 후계자 문제가 제대로 정립이 되지 않은 내분 탓이 더 큽니다. 비슷한 예로 2세기 즈음에 북흉노를 격파하고 선비제국을 세운 단석괴가 죽은 이후에 같은 형태의 후계자 쟁탈 내분으로 선비족은 지역 유목민으로 추락합니다. 또한 투르크의 경우는 투르크가 이슬람화, 즉 정주문명화 했기 때문에 유목민 특유의 감각이 무뎌졌다고 보는 것이 옳지요.

  • 06.09.10 17:36

    서돌궐 제국 시대에 중앙아시아에 진출하면서 이슬람화 되었던 일부 투르크는 카라키타이. 즉 서요 시대가 되면 불교인이었던 거란인에게 배척이 되기도 하고 여러 일련의 과정을 거쳐 노예 병사나 용병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이것은 유목생활의 정지를 뜻합니다. 부족단위의 용병이 아니라 개개인이 용병이 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군대의 행동 지침에 속박되어 이전과 같은 유목생활을 할수 없게 되고 이것은 유목민 특유의 마인드나 감각을 무뎌지게 하지요. 또한 이슬람화 하면서 점차 일부 투르크인들은 유목민의 생활과는 조금씩 동떨어지게 되었습니다. 셀주크 투르크 제국이 쇠퇴하고 난 후 소규모 국가단위로 쪼개진 후에는

  • 06.09.10 17:39

    이렇다할 대규모 전투를 경험하지 못한 투르크 기사들에 비해 전문적으로 전투기술을 닦아온 십자군 기사들(사실 깡패집단이라고 불러야 할 사람들이지만)에게 당해낼 수가 없지요. 유목민의 감각이 사라진 뒤에 전투경험이라도 많아야 했는게 그렇지 못하니 패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던 것입니다. 사실 십자군 기사와 같은 중무장한 중장기병은 동양에도 있었고 기술적, 전술적 분야에서 보자면 십자군 기사들 보다도 우위에 있다고 평가받기도 하지요. 그런데도 불구하고 유목민에게 우위에 점하진 못했습니다. 그런데 왜 십자군은 이슬람화한 투르크인을 격파한 것일까요? 투르크라고 해도 다 같은 투르크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 06.09.10 17:41

    또한 서방에서는 스키타이 이후로 자체적인 유목제국이 성립한 일이 없었습니다. 그건 왜 그럴까요? 이것은 해당 정주문명의 재화 차이, 그리고 상대 정주문명의 국력 규모 때문에 발생합니다. 스키타이와 상대하는 페르시아 제국과 훈제국 이후의 유럽을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흉노제국 성립이 언제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도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