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조한 겨울철엔 누구나 입이 마르고 눈이 뻑뻑해지는 느낌을 받는다. 그러나 이런 증상이 너무 심하다면 난치성 질환인 ‘쇼그렌증후군(Sjogren’s syndrome)’을 의심해 봐야 한다. 국내서만 25만~50만 명의 쇼그렌증후군 환자가 있을 것으로 전문의들은 추정하고 있다.
이 병은 외부에서 침입하는 세균을 잡아야 할 면역체계가 엉뚱하게 자기 몸을 공격해서 생기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주로 중년 여성에게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침샘과 눈물샘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겨 침과 눈물이 마르는 증상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염증이 피부, 질, 기관지, 신장, 폐, 심장까지 번져간다.
강남성모병원 류머티즘내과 박성환 교수가 쇼그렌증후군 환자 151명을 조사한 결과 환자들은 안구건조증(98%), 구강건조증(94.7%), 관절염(68%), 근육통(36%), 말초신경통(25%), 손끝이 희게 변하는 레이노증상(23%), 피부건조증(16%), 갑상선 기능저하증(13%), 간기능 이상(7%), 피부자반증(5%), 폐질환(4%) 등을 갖고 있었다. 병이 깊어져 염증이 심장이나 폐에 광범위하게 침범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최대한 빨리 류머티즘내과 전문의를 찾아가야 한다. 침샘 조직 검사 등 정밀 진단을 통해 쇼그렌증후군으로 진단되면 스테로이드 종류의 약물과 면역 억제제를 이용해서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완치는 불가능하다.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쇼그렌증후군을 이기는 최선의 방법이지만 환자들은 대부분 나이가 들어 생기는 가벼운 증상으로 여기고 정밀 진단을 받지 않고 있다. 한양대병원 류머티즘내과 배상철 교수는 “환자들은 발병하고 보통 4~5년 만에 병원을 찾아온다”며 “초기증상이 단순 안구건조증이나 구강건조증과 비슷하고 병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병원을 늦게 찾게 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쇼그렌증후군 환자 수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아직 없다. 전문가들은 25만~50만 명 정도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은 400만 명 이상, 일본은 30만 명 이상이 쇼그렌증후군을 갖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병이 생기는 이유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여성환자가 남성환자의 9배에 이르고 중년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특징으로 미뤄 호르몬 변화나 환경·유전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집에서는 물 자주 마시기, 침 분비를 자극하기 위해 당분 없는 껌 씹기, 인공 눈물 자주 넣기, 피부 보호를 위해 적절한 습도 유지하기, 질 건조를 막는 수용성 윤활제 사용, 산책 등이 필요하다. 감기약이나 항우울제 등 쇼그렌증후군을 악화시킬 수 있는 약물은 전문의의 지도를 받아 복용해야 한다.
/심재훈 헬스조선 기자jhsim@chosun.com
도움말: 박성환·강남성모병원 교수, 배상철·한양대병원 교수, 배영덕·강동성심병원 교수

◇ 이럴 때 의심하라
눈물이 부족해져 눈이 쉽게 피로해 진다.
눈이 쉽게 충혈되고 가려워진다.
햇빛을 보기 어려워지고 사물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침이 마르고 충치가 많이 생긴다.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지고 소화가 잘 안 된다.
말을 오래 하기 힘들고 입 냄새가 심해진다.
땀샘과 피지선 분비가 줄어 피부가 건조해진다.
질(膣) 분비물이 적게 나와 성교 시 통증이 심하고 질염에 잘 걸린다.
비강과 기관지의 분비물이 줄어 기침, 진한 가래,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피곤하고 몸에 열이 난다.
관절통, 두통이 심하다.
머리가 어지럽고 기억력, 집중력이 떨어진다.
◇ 쇼그렌증후군 환자 생활수칙
① 감기약, 우울증치료제 등 쇼그렌증후군을 악화시킬 수 있는 약
은 반드시 전문의의 지도를 받는다
② 산책 등 가벼운 운동 하되 건조한 날은 외출을 줄인다
③ 피부 보호를 위해 실내 습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④ 피부에 수분보충제를 충분히 바른다
⑤ 질 내 윤활 젤리를 사용한다
⑥ 자주 인공 눈물을 넣는다
⑦ 물을 자주 마시고 침 분비 자극 위해 당분 없는 껌을 씹는다
⑧ 술·담배를 피하고 마른 음식물 섭취를 줄인다
⑨ 구강을 청결히 유지한다
⑩ 검증되지 않은 치료 방법을 피한다
첫댓글 좋은 건강 정보에 감사 합니다
환절기 건강 조심 하세요
낚시가 좋아 님 안녕하세요.
함께해주셔서 감사하고
부처님 오신 날 행복한 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