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빠알리공부모임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satiyā adhivacanaṃ 기억에 대한 비유
봄봄 추천 0 조회 57 24.11.06 12:32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11.07 07:41

    첫댓글 부처님처럼 수행이 먼저 있었기에 그에 대한 니까야 언설이 있답니다.
    "마노가 문지기sati를 의지한다"는 이러한 경문을 수행에서 체험할 수가 있답니다. 이렇게 함 해보세요.
    손 등에 숨을 후하게 불어보세요. 이렇게 닿아 사라지는 느낌처럼 붓다의 호흡 명상이라는 '아나빠나 사띠(안반선)'를 개발하세요. 즉, 긴 들숨과 긴 날숨과 긴 들숨 및 날숨 등의 3가지로 구분해서 15분 연습하면서 입술위에서 숨이 닿아 사라지는 촉감(니밋따)만을 문지기로 삼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다면 비로소 사띠sati를 확립한 것이랍니다.
    이때, 촉감이 일어나 사라지는 것을 법이라고 말하고,
    그 법을 대상으로 헤아리는 감각기능根을 마노意이라고 하죠.

    여기서, 마노意가 일어나 사라지는 촉감의 니밋따에 대한 관찰인 문지기sati에 의해서 드러나게 되었죠.
    그래서 마노意는 사띠sati를 의지하고 있다고 말씀하신 거랍니다.

    sati를 다시 봅시다.
    " Tattha saraṇalakkhaṇā sati, asammussanarasā, ārakkhapaccupaṭṭhānā(
    문지기sati는 기억하는 특징을 가진다. 잊어버리지 않는 역할을 한다. 보호함으로 나타난다.)"

  • 24.11.07 07:16

    //samatittiko telapattoti kho, bhikkhave, kāyagatāya etaṃ satiyā adhivacanaṃ.
    비구들이여, 기름으로 가득 찬 단지는 몸에 대한 문지기 (sati)을 두고 한 말이다.//
    기름 특성을 비유하신 부처님 의도는 지수화풍 이라는 사대물질로 구성된 몸에서 들어 있는 물水과 같이 기름이 서로 구분이 된다는 뜻으로서 문지기 역할인 sati의 중요성을 말씀하시네요.

  • 24.11.07 07:52

    사띠sati가 문지기 역할을 하므로 기억에 대한 통제가 일어납니다.
    지금 여기에서今 집법즉멸법(불고불락)의 마음心을 문지기로 삼아 즉, sati 문지기를 통해서
    satima라고 하는 기억 통제가 됩니다.

    이제 sati를 아래 청정도론의 문구 처럼 다시 이해 해봅시다.
    " Tattha saraṇalakkhaṇā sati, asammussanarasā, ārakkhapaccupaṭṭhānā(
    문지기sati는 기억하는 특징을 가진다. 잊어버리지 않는 역할을 한다. 보호함으로 나타난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