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에게 혼나는 것을 진심으로 즐거워하라.
애정 없는 상사는 야단도 치지 않는다.
혼내는 상사에게 감사하라.
그러나 두 번 이상은 혼나지 마
라.
맞은 곳을 또 맞으면 두 배로 더 아프고, 자존심도 두 배 더 상한
다.
어느 중견기업에서 전략기획팀
장으로 근무하는 강 팀장은 회사
생활 13년 동안 특진을 두 번이
나 했다.
국내에서 알아주는 대학교를 졸
업한 것도 아니고, 든든한 인맥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어떻
게 실력을 인정받고 팀장의 자리
까지 올을 수 있었을까?
강 팀장의 대답이다.
“처음 입사했을 때, 제 선임은 고
집스러운 원칙주의자였습니다.
신입 사원이라고 봐주기는커녕 실수 하나 놓치지 않고 콕콕 집
어내는 통에 두 손 두 발 다 들고 퇴사한 신입사원도 꽤 여러 명이
었으니까요.
아니나 다를까. 제가 밤새 쓴 기
획안이 뜬구름 잡는 소설 같다며 꾸짖는 것은 예사였고, 제가 쓴 보고서를 검토하고는 같은 자리
에서 설명을 들었는데 어떻게 자
신이 해석하는 것과 내용이 전혀 다르냐며 다른 신입사원 앞에서 면박을 주시더군요.
제가 덩치만 작았다면 쥐구멍에 수백 번은 들어가고도 남았을 겁니다.
하지만 앞으로 5년간은 ‘죽었다’
고 생각하고 선임으로부터 혹독
하게 훈련받기로 이를 악물었죠.
그래서 선임이 해주는 말은 절대
로 흘려듣지 않고 무조건 가슴에 새겨 넣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자나면서 보니까.
선임이 괜히 혼낸 게 아니더라는 겁니다.
제가 실수했던 것들을 있는 그대
로 지적한 것이었으니까요.
지금 생각해보면 선임으로부터 참 많은 것을 배웠고, 그분 덕분
에 제가 이 자리에 오를 수 있었
던 것 같습니다.
강 팀장이 성과를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은 선임의 꾸지람을 흘
려듣지 않고, 한발 나아가 배우는 기회로 전환시켰기 때문이다.
남에게 꾸중 듣는 것은 누구나 싫어한다.
동료가 볼까봐 부끄럽고, 새파란 신입사원 앞에서 여간 망신이 아
니다.
이래저래 꾸중을 듣지 않으려면
CEO가 되는 수 밖에 없지만, CEO는 아무나 되는가?
혼나기 싫다고 섣불리 뛰쳐나갔
다가는, 더 무시무시한 사장의 혹평에 무너지기가 십상이다.
상사의 꾸중을 인상 쓰며 들을 게 아니라.
꾸중 속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을 골라서 듣고 보완해야 한다.
업무수행 과정에서 벌어지는 모
든 것은 당신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긍정적인 자극들이다.
그러한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는
가에 따라 성장의 길이 되기도 하고, 무더진 삶으로 가는 길이 되기도 한다.
꾸중을 들을 때는 한쪽 귀를 막
아라.
나의 발전을 위한 다시없는 디딤
돌인데, 그걸 한 귀로 듣고 한 귀
로 흘려버린다면 어리석은 짓이
다.
회사는 ‘신병훈련소’라고 스스로
에게 끊임없이 세뇌시켜라.
먹고살기 위한 생계(生計)판이라
고 생각하면 온갖 것들이 다 못마
땅해 보인다.
하지만 나의 미래비전을 달성하
기 위한 역량향상의 연수원이라
고 생각하면, 업무수행과 관련된 모든 것들이 배울 점투성이다.
혼나는 것이 싫어서 상사를 피하
고 회사를 옮겨 다니는 사람은 어
딜 가서든 평생 윗사람에게 계속 얻어터지는 인생을 살 수 밖에 없다.
상사로부터 꾸지람을 들으면 누
구나 만감이 교차하면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어디서부터 무엇
을 다시 해결해야 할지 감은 잡
히지 않고, 걱정과 수치심에 눈앞
이 캄캄해지게 마련이다.
그러나 어쩔 수 없다.
아무리 속상해도, 제삼자가 보기
엔 혼날 만하니까 혼난 것이다.
혼난 것은 혼난 것으로 정리하고
, 다음 행동을 어떻게 할지 구체
적으로, 발전적으로 고민해라.
꾸중받기를 피하지 말고 강 팀장
처럼 이를 악물고 다음 날 바로 자료를 보완해서 발전적인 반응
을 보여줘야 한다.
신입시절 선임의 질책을 호된 훈
련과정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면, 오늘의 강 팀장은 없었을 것
이다.
가만히 보면, 일반적으로 상사의 꾸지람에 대응하는 유형은 대략 다음과 같이 3가지 정도다.
당신은 어떠한 유형에 속하는지 한번 생각해 보자.
첫 번째 유형은 ‘馬耳東風(마이
동풍)형’이다.
상사가 뭐라고 하건 간에 듣는 시늉뿐, 소귀에 경 읽기처럼 상사
의 말에 전혀 관심이 없이 그때마
다 대충 넘기는 유형이다.
2007년 포춘(Fortune)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상사를 가장 힘
들게 하는 부하직원은 상사의 말
을 귀 기울여 듣지 않고 딴소리하
는 사오정 같은 유형이라고 한다.
상사의 충고를 귀담아 듣지 않기 때문에 같은 문제로 계속 지적받
고 문제점을 전혀 개선되지 않는
, 매우 골치 아프고 위험한 유형
이다.
두 번째 유형은 ‘유치원생형’이
다.
상사의 한마디에 주눅이 들어 일곱 살 유치원생처럼 위축되어 있거나, 심지어 울기까지 한다.
또 하루 종일 혼난 생각에 새로 잡혀 업무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허둥댄다.
그야말로 일곱 살짜리 정신연령
이다.
조그마한 꾸지람조차 넘어설 수 없을 만큼 정신이 너무나 약한 유형이다.
세 번째 유형은 ‘꽈배기형’이다.
상사의 꾸지람을 감정적으로 받
아들여 자신과 상사의 관계에 개
입시키는 유형이다.
업무의 잘못된 점을 지시하는데 왜 감정적으로 대응하는가?
물론 적절하지 못한 방식으로 꾸
짖는 상사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감정에만 사로 잡혀 있다면 상사
와의 관계는 점점 더 악화되고,
결국은 내 업무에 안 좋은 관과를 미치게 될 것이다.
회사에서 꾸지람 한번 듣지 않는 직원은 아무도 없다.
심지어 임원들도 사장이나 회장
실에 보고하러 들어갔다가 소위
‘깨지고’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
사람들은 혼나는 상황도 싫고 자
존심이 상하는 것도 싫으니 혼나
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고 생각하겠지만, 결코 아니다.
상사의 꾸지람이 없다면 나의 업
무역량도 발전이 없어 1년, 2년
이 지나도 실력은 그대로이고,
만년 신입사원 꼬리표가 따라다
닐 것이다.
그때가 되어서야 한 번도 혼내지 않고 나를 편하게 해주었던 상사 사실은 나를 망쳐놓은 주범인 것
을 깨닫고 원망해도 소용이 없다
.
이미 역량을 계발할 소중한 시간
을 놓쳐버리고 만 것이다.
초소형 모터 제조기업인 일본전
산의 나가모리 사장은 ‘호통경영’
으로 유명하다.
남들이 칭찬을 펼치는 동안 그는 오히려 눈물 쑥 빼는 호통으로 직
원들을 키웠다.
그런데 그 이유가 걸작이다.
“회사가 직원들을 호통 쳐서 바
로 잡아주고 혹독하게 가르치지 않았다고, 경기가 어려워지면 구
조조정 운운하는 건 자격이 없다
!”
그는 혼내야 할 때 따끔하게 혼
내지 않는 건 상사로서 직무유기
라고 말한다.
곱씹어 생각할수록 고개가 끄덕
여지는 대목이다. 인격적으로 문
제가 있지 않는 한, 상사가 꾸지
람하는 것 그만큼 직원의 미래에 애정 어린 관심이 있기 때문이다.
상사에게 꾸지람을 들으면 만회
하기 위해서, 아니면 자존심이 상해서라도 오기를 가지고 노력
하게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상사의 꾸지람은 나의 ‘발전촉진
제’이기도 하지 않을까?
꾸지람을 듣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발전의 기회를 상실하는 것이다. 꾸지람을 들어야 더욱 발전할 수 있다.
‘꾸중을 발전’으로 상쇄하는 공식
은 단순하다.
한번들은 꾸중을 끊임없이 되새
기고, 똑같은 지적을 연발하지 않는 것이다.
나름대로 한다고 밤늦게 야근까
지하면서 완성했는데도 상사에
게 가차 없이 깨지면 섭섭할 수 있다.
사람이다 보니 누구를 막론하고 기분 나쁠 것이다. 그러나 상사가 구성원들의 인정사정 다 봐줬다
간 정작 필요한 충고의 말까지 아
끼게 되고, 결과적으로 구성원은 한걸음 더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꾸중을 들었을 때는 내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훈련받는다고 생각
해야 한다.
그리고 상사가 나를 한 번 꾸짖었
다면, 세 번을 칭찬받을 수 있도
록 노력해서 내 업무를 완수하자.
똑같은 꾸중을 상사 입 밖으로 나
오게 해서는 절대 안 된다.
동일한 실수를 반복하는 순간, 일
을 제대로 못하는 사람으로 낙인
찍히고 만다.
같은 지적을 두 번 받았다면, 그
때는 정말 부끄럽게 생각해야 한다.
상사의 첫 번째 꾸지람을 나에게 피가 되고 살이 되는 것으로 받아
들이고, 내용을 되뇌고 또 되뇌어
야 ‘발전’이 있다.
한 번 혼나고 세 번 칭찬받는 사
람들의 퍼포먼스 웨이 꾸중을 듣
고 나면 5분 명상을 하자..
입에 쓴 약일수록 효과가 좋다고 했다. 상사의 꾸지람이 막혀 있는 나의 혈을 뚫어 기를 통하게 하는 한의사의 ‘침’과 같다고 여겨보자
. 상사의 호되게 꾸중할수록 약효
가 올라간다고, 혼난다고 기분 나
쁘게만 받아들이지 말고, 꾸지람 속에 ‘쓴 약’이 무엇인지 잘 구분
해서 들어야 한다.
상사의 지적을 들은 다음에는 먼
저 심호흡을 하고, 5분간 명상을 하면서 이상적으로 생각해 보자
. 처음에는 자존심도 상하고 욱
하는 반발심도 든다.
후배나 동료들에게 체면도 구기
고, 기분 나쁘다는 생각에 상사가 하는 말이 귀에 들어오지도 않는
다.
하지만 차분하게 5분만 생각해
보라.
결국은 나의 업무에 도움이 되는 말뿐이라는 점을 인정하게 될 것
이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지적에 바로 대꾸하고 토 달지 마라.
상사도 기분이 안 좋은데, 불난 집에 기름 붓는 꼴이다.
사람은 감정의 동물이기 때문에 누구나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미세하게나마 얼굴이나 몸짓,
기운에 언짢은 감정이 묻어나올 수 있다. 이것까지 숨기라고 하
지는 않겠다.
대신 더 중요한 것은 야단맞고 난 후의 행동이다.
야단맞고 나서는 곰곰이 생각해
보고, 문서를 잘못했고,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정
리해서 상사에게 반드시 피드백
을 재주자.
그래야 나를 바라보는 상사의 마
음에 신뢰감을 쌓을 수 있다.
하루 정도 지난 후 상사가 지적했
던 부분에 대해 정리하여 의견을 제시하면, 상사도 그때는 좀 더 차분한 마음으로 당신의 말을 듣
고 개선점을 지적해 줄 것이다.
비온 뒤 땅이 굳는다고, 서로의 관계도 한층 단단해질 수 있다.
상사의 꾸지람은 1일 이내로 개선하라.
상사에게 들은 꾸지람은 듣는 즉시 메모하고 체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시간도 지나고 눈앞의 업무에 바빠서 무엇 때문
에 혼이 났는지, 심지어는 혼난 적이 있었는지조차 희미해진다.
그러면 같은 것으로 또다시 지적
받는 악순환이 이어지게 된다.
상사에게 욕먹은 ‘보람’이 있으려
면 지적당한 내용을 꼼꼼히 메모
하고, 메모한 것을 빨간 펜으로 체크해가면서 하나씩 개선해야 한다.
상사의 지적은 내가 미처 생각하
지 못한 허점을 콕콕 집어준 것이
므로 듣는 즉시 반영해야 한다.
그래야 빠른 시간 내에 상사의 요
구를 수렴하여 제대로 된 성과를 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