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tt의 환경에 대한 조직의 대응전략(전략적 선택이론)
1. 완충전략(대내적 전략) : 환경의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하지 못할 경우, 조직과 환경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조직 내부적으로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소극적 전략이다.
⑴ 분류(coding) : 환경의 요구를 투입하기 전에 사전 심의하여 그 요구를 배척하든지 아니면 처리할 부서를 결정하는 것
⑵ 비축(stock-filing) : 필요한 자원이나 산출물을 비축하여 환경으로 방출되는 과정을 통제하는 소극적인 전략(곡물, 유류 비축)
⑶ 형평화(평준화 : leveling) :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서 환경에 적극 접근하여 투입이나 산출요인의 변이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환경수요의 진폭이 심할 때 이를 고르게 하는 전략(심야전기요금할인 제도, 10부제의 채택, 비수기 할인판매, 특정시간대를 정하여 순차적으로 행정요구를 접수시키는 경우 등)
⑷ 예측(forecasting) : 비축이나 형평화로 해결이 곤란할 때 자원 공급이나 수요의 변화를 예견하고 그에 적응하는 것(장마철 수해에 대비하여 행정적 준비를 하는 경우, 계절적 수요변화 파악)
⑸ 할당(배급 : rationing) : 수요에 비하여 공급이 부족한 경우에 사용하는 마지막 수단(비상시에 곡물이나 유류를 우선순위에 따라 공급)
⑹ 성장(growth) : 가장 일반적 방법으로 조직의 기술적 핵심을 확장(조직의 성장)하는 것으로 대규모조직이 환경변화 대응에 더 유리하다는 논리이다.
2. 연결전략(대외적 전략) : 서로 연계하여 공동문제를 해결하며 한편으로 서로의 활동을 통제하는 적극적 전략으로 조직간 상호의존성이 강화되는 경우에 활용된다.
⑴ 권위주의 : 중심조직이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여 외부조직이 필요로 하는 자원과 정보를 통제하는 전략(정부가 기생충박멸협회에 기생충박멸에 대한 업무를 위임할 때 소외계층에게 우선적 서비스를 제공하게 요구)
⑵ 경쟁 : 타조직과의 경쟁을 통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지방의료원의 공사화, 민영화 전략 등)
⑶ 계약 : 두 조직 간에 공식적․비공식적으로 자원교환을 협상하여 합의하는 전략(경찰이 비행청소년에 대한 사회교육을 종교단체나 YMCA, YWCA 등에 위탁하는 경우)
⑷ 합병 : 여러 조직이 자원을 통합하고 연대하는 전략(TVA)
⑸ 적응적 흡수 : 외부의 유력 인사를 받아들이는 경우
⑹ 로비활동 : 자기들의 유리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제3자를 통해 탄원하는 행위
⑺ 광고 : 잠재적 소비자들에게 자사(自社)제품이 타사(他社)제품보다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려 호의적 태도를 갖게 하여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환경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