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증시. 역대 최장 상승 도전하는 코스닥
미국에서 넘어온 재료는 부담과 완화 반복
고용 지표 이 후 금리 전망치 계속 상향
1개월 전에 없던 상단 6%도 등장했음
연준 인사들 발언도 대체로 강한 편
0.5%p 이슈 제기되며 한동안 고전
그러나 대부분 0.5%p를 주장하는 것은 아님
상황에 따라 검토할수 있다는 소수 의견 정도
따라서 0.5%p 인상 전망은 다소 무리라고 봐야
라파엘 보스틱 발언은 주목해 볼만
이틀 연속 발언을 했는데 내용에 의미가 있음
0.5%p 올리고 내년까지 유지해야 한다고
0.5%p가 튀지만 그 이상은 없다는 발언이었음
다음날은 5~5.25% 최종 금리. 여름에 인상 중단
인상 마무리 주장이 일부 있다는 의미
연준 인사들 발언은 의도적이라고 봐야
증시 상승은 특히 물가 상승 요인으로 보는 듯
이에 강한 발언하는 위원들은 여전히 많을 듯
다만 5.5% 이상 주장하는 위원은 거의 없음
이 점에 하단은 제한적인 재료로 봐야
고비는 이번주부터 시작되는 지표
고용 지표 예상치는 3.4%, 비농업 21만명
1월 워낙 튄 숫자라는 점에 이번에는 내려갈 듯
다만 수치가 20만 이하로 가는지가 중요
그 이상 나올 경우 CPI, FOMC 모두 부담 일정
다만 봄 이 후에는 임대료 등 안정 가능성이 있음
그 전까지 막바지 고비 구간이라고 봐야
중국 재료는 한숨 돌리는 계기
중국 제조업 지표로 금융 시장 반응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제조업지수
소매, 서비스업에 이어 제조업도 회복
일부에서 제기되던 성장 의심이 제거됨
철강 화학 등 제조업 관련주들 강세로 반응
우리나라 수출 최대 감소는 반도체
중국 경기 회복시 무역수지 적자 축소 기대도
또 환율 안정 요인으로도 작용
아시아 통화 강세 요인으로도 작용
이 점은 이번주에도 증시 지탱 요인으로 판단
2월 매수 축소한 외국인 일단 매수 출발
목요일 매수가 큰 영향을 주었음
2월에도 매도 보다는 매수 축소였다는 점
악재에 대해 반응이 매도가 아니라 매수 자제
여기가 중요한 고비라고 봐야
매수 자제 넘어 매도 강화로 넘어갈 가능성도
이 경우 증시가 추가로 큰 타격을 받게 되는 것
2월 중순 이 후 외국인 3일 연속 매수나 매도없음
이번주 연속 매수가 붙는지 여부 주목
일단 글로벌 펀드 자금 동향은 나쁘지는 않음
미국은 유출이나 아시아는 연속 유입 중
대량 매도 전환 조짐은 아직 없는 것
특히 환율이 1320원 정점 확인된 것인지
하락세로 돌아 설 경우 외국인 수급 회복 요인
FOMC 전 추가 안정되는지 주목
코스닥은 그간 특이한 형태를 보임
이차전지와 로봇주 중심의 강세
지수는 작년 8월 이 후 고점 돌파
종목들은 한달 가량 부진한 경우가 많음
거래대금은 증가했으나 거래량은 감소
즉, 대형주 중심의 강세, 거래 집중 양상
이 구도에 변화가 생기는지 주목
지난주 이차전지 외 종목들 순환이 있었음
중국 제조업 및 소비, 제약 바이오 등
종목 확산 혹은 분산 조짐이 있는 것
이번주 이 흐름이 더 강해지는지 주목
코스닥은 올해 주간 한 번도 하락하지 않음
9주 연속으로 2000년 이 후 10주는 한 번뿐
이차전지 흐름에 따라 지수는 연동
대안주 나올지, 그대로 갈지 주목해야
코스피는 삼성전자가 움직이는지 중요
이번주 동시 만기 전후 변화가 생기는지
미국 반도체 법안 관련 이슈는 부담
그러나 실적 바닥론에도 무게
특히 중국의 제조업과 소비 회복은 기대 요인
외국인이 만기 전후 컴백하는지 보며 가늠
시장은 비교적 강한 편이라고 봐야
금리 이슈 불구 고점 대비 3% 수준 하락
코스닥은 연중 고점 경신 중
지수에 의미 두기 보다 종목 장세 집중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