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웹툰 미생2, 요르단에 대한 설명 중
요르단은 어떻게든 내륙국 신세를 면하기 위해서 1965년에 사우디 아라비아와 영토를 교환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즉, 녹색 지역은 원래 사우디 아라비아의 영토였고빨간색 지역은 원래 요르단의 영토였지만, 요르단이 사우디 아라비아에게서 항구 도시 지역을 얻어내는 대신 자신들의 영토를 내준 것이다.즉. 쉽게 말하자면 요르단은 원래 내륙국 신세였던 국가였고, 항구가 없으면 손해가 막심하다고 생각한 요르단은 영토를 교환하자는 제안을 사우디 측에 한 것이다.그런데 요르단이 사우디 아라비아에게 내준 저 빨간색 영토에서 나중에 석유가 나왔음에도 요르단은 항구를 얻었다는 생각에 그리 아까워 하지 않았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8/read/34460584
항구를 얻기 위해서 자국의 영토까지도 교환했던 나라.jpg | 정치유머 게시판 | 루리웹
요르단은 어떻게든 내륙국 신세를 면하기 위해서 1965년에 사우디 아라비아와 영토를 교환하...
bbs.ruliweb.com
첫댓글 다른데서도 나오니까 안 아까웠던거 아닐까요?저기서만 나오는 거였으면 엄청 아까웠을듯...그나저나 마이클 요르단 씨가 이제 석유도?
거의 없다고 합니다.
석유가 물론 좋지만 바다와 항구가 없는 내륙국들 입지가 좋지 않죠
결국 항구가 더 중요한 순간이 오지 않겠나 라는 생각이 드네요.
항구없는 나라치고 크게발전한나라는 없습니다.(스위스.오스트리아정도) 수출수입을자유롭게못한다는것은 국가발전에 치명적입니다. 러시아도 그래서 항구에 무지신경쓰기도했죠. 땅덩어리 넓은 나라들도 결국 내륙한가운데보다는 외각중심으로 발전했습니다.
거기서 나오는 스위스 빼면 오스트리아도 뭐 스위스는 남 서 동 을 연결하는 유럽의 중심 느낌이라
그러고보니 호주도 인구밀도가 바닷가쪽으로..
첫댓글 다른데서도 나오니까 안 아까웠던거 아닐까요?
저기서만 나오는 거였으면 엄청 아까웠을듯...
그나저나 마이클 요르단 씨가 이제 석유도?
거의 없다고 합니다.
석유가 물론 좋지만 바다와 항구가 없는 내륙국들 입지가 좋지 않죠
결국 항구가 더 중요한 순간이 오지 않겠나 라는 생각이 드네요.
항구없는 나라치고 크게발전한나라는 없습니다.(스위스.오스트리아정도) 수출수입을자유롭게못한다는것은 국가발전에 치명적입니다. 러시아도 그래서 항구에 무지신경쓰기도했죠. 땅덩어리 넓은 나라들도 결국 내륙한가운데보다는 외각중심으로 발전했습니다.
거기서 나오는 스위스 빼면 오스트리아도 뭐 스위스는 남 서 동 을 연결하는 유럽의 중심 느낌이라
그러고보니 호주도 인구밀도가 바닷가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