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와 맥주 가격이 올해 또 한 번 오를 것으로 보인다. 오는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세금이 오르는 데 더해 생산 비용 인상 등의 여파로 주류회사가 출고가를 올리면 식당과 주점에서의 인상 폭은 훨씬 커지기 때문에 소주 1병 6000원 시대에 돌입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난 19일 기획재정부와 주류 업계 등에 따르면 오는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세금이 작년보다 리터(L)당 30.5원 올라 885.7원이 된다. 이는 지난해 L당 20.8원이 올랐을 때보다 더 큰 인상 폭이다. 비싸진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어려움에 세금까지 더해져 출고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지난해 하이트진로는 테라와 하이트 출고가를 각각 7.7%, 롯데칠성음료는 클라우드 출고가를 8.2% 인상했다. 올해는 출고가 인상폭이 더 커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주의 경우 맥주처럼 주세가 인상된 것은 아니지만, 원가 부담이 출고가 인상을 압박하는 상황이다. 소주는 주정(에탄올)에 물과 감미료를 섞어 제조한다. 에탄올 공급 업체들은 지난해 2월 주정 가격을 7.8% 가량 올렸다. 소주병 공급 가격도 180원에서 220원으로 올랐다.
업계에서는 주류회사가 출고가를 100원만 인상해도 실제 식당에서는 1000원가량 술값이 오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공장에서 출고된 소주와 맥주는 각 지역마다 허가를 받은 주류 도매업자를 거쳐야 마트와 편의점, 식당 등에 납품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운송과 보관비, 인건비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도매업자들의 마진도 필요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고가 인상분에 인건비와 전기료 등의 상승분을 추가로 반영하면 식당 판매 가격은 출고가 인상 폭보다 훨씬 커지는 것이다.
지난해 소주 1병당 출고가가 85원 오르자 마트와 편의점 판매 가격은 병당 100~150원 뛰었다. 이때 식당과 주점에선 소주 가격을 병당 500~1000원가량 올렸다.
지난해 외식산업연구원이 일반음식점 외식업주 1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5.4%가 소주 출고가 인상에 따라 소주 판매 가격을 올렸거나 올릴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미 올린 업주들은 병당 500~1000원을 인상했다고 답하기도 했다. 만약 올해도 비슷한 추세라면 식당에서는 ‘소주 1병 6000원’ 가격표를 보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첫댓글 술용량도 그대로인데 왜 유통에 추가비용이 든다는지 하나도 모르겟네
이미 강남은 6천원... 진짜 왜 한번올릴때마다 천원씩 올리냐고
이제 포장하거나 집에서 먹으려고 ㅠ
주말에 압구정갓는데 소주 7천원 맥주 8천원이었음 ㅅㅂ
왜 이렇게 되는지 아는 여시..?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안가넼ㅋㅋㅋㅋ
난 아직도 소주 3500원이 맞ㄴ느거같은뎈ㅋㅋㅋㅋ ㅜ 부산 요즘 5천원이더라
작년인가 제작년에 유통가 거의 천 원대로 올랐다고 들었는데 ㅋㅋ 얼마나 남겨먹는 거임
술값때메 술집안가게됨... 그냥 포장해서 하이볼해마시는게 훨씬이득.... 하이볼 한잔에 몇천원하는것도 너무 비싸ㅜㅜㅜ
그냥 지들이 많이 남겨 쳐먹는거지
술값 올리지마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여성시대 인기글 알림 봇 v1.2.0
※ 연속으로 인기글에 등극할 경우 최대 3회까지 기록됩니다.
※ 업데이트 등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
2023년 02월 22일(수) 12시 - 인기글 67위 🎉
나 맥주 한짝먹는다고 시발럼드라ㅠㅠ
난 그래서 3300원인 동네 식당 자주감 존나 약았어 뭔 ㅋㅋㅋ
오잉 기사 전문이 없는거 같은데!
강남 8천원도 봤음…기겁함 진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