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촌 강남영어회화학원 하나리퍼블릭 싸이월드 클럽 http://club.cyworld.com/hanarepublic
신촌 강남영어회화학원 하나리퍼블릭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hanarepubluc
신촌 강남영어회화학원 하나리퍼블릭 다음 카페 http://cafe.daum.net/hanarepubluc
신촌 강남한국어회화학원 하나리퍼블릭 홈페이지 http://krlanguage.com
독창적인 실전 영어회화 훈련 전문 스터디 하나리퍼블릭 신촌강남영어회화 학원은 기존 한국 영어회화학원의 고질 적인 문제인
시험영어식의 문법적 영어회화 교육, 학생의 실력을 고려하지 않은 무조건적인 원어민 프리토킹 영어회화수업을 지향하고,
오직 학생의 영어회화 능력 향상만을 위한 수준별 교육방식과 미드, 팝송, 토크쇼 등 영어회화 감각을 끌어올리는
다양한 연습클래스, 영어정모와 외국인친구사귀기 파티를 통하여 영어 회화 능력 향상 뿐 아니라 다양한 나라와 인종간의
문화를 이해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 영어회화학원과는 차별화 된 새롭고 효과적인 커리큘럼의 영어회화학원이다.
각 그룹 회사, 주한 외국인 기업체, 항공회사, 주한 외국인 은행에서는 면접도 영어로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헤드헌터를 통한 외국계 기업 취업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문이력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를 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외국기업에 근무할 사람이 영문이력서 한 장 쓰지 못하는 것은 정말 웃지 않을 수 없는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면 '영문이력서'의 실제에 대하여 실례와 함께 알아보기로 한다.
(1) 영문이력서의 특징
① 영문이력서는 Personal History, Personal History Statement, Curriculum Vitae, Personal Record, Resume 등으로 불린다.
② 영문이력서는 가급적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다.
③ 항목마다 공간을 비우는 것이 읽거나 보기에 좋다.
④ 영문이력서 내용에서 주어인 'I'는 생락한다.
⑤ 이력서는 우리 나라나 영국·미국에서 통용되고 있다.
(2) 기재 사항
① 인적 사항(Biographical data 또는 Personal data)
② 학력(Schools Attended 또는 Education 또는 Educational Background)
③ 경력(Experience 또는 Employment 또는 Work Experience)
④ 병력(Military Service)
⑤ 상벌(Reward and Punishment)
⑥ 기타
⑦ 인증(Certificate)
(3) 우리 나라와 영국·미국식의 차이점
인적 사항 학력 경력 등이 주요 내용인 점은 우리 나라나 영국·미국식이나 공통이지만 작성 형식에서 약간 다른 점이 있다.
① 우리 나라
인적 사항을 적은 후에 학력과 경력을 연대순으로 나열한다. 그 뒤에 상벌 관계를 적고 '상위 없음'이라고 적은 후에 그 밑에 서명·날인한다.
② 영국·미국식
인적 사항과 학력 경력을 적을 뿐만 아니라 스포츠 소속단체 종교, 병역 등을 쓰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성 양식은 연대순으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서술식 Essay 식으로 신상 및 경력을 써 내려가는 이력서도 많다.
(4) 항목별 기재사항의 실제
① 인적 사항(Biographical data 또는 Personal data)
이름(Name)
이름은 반드시 full name으로 써야 한다. 김인수를 기입할 경우, Kim In-su라고 하며 Kim. I. S.라고는 하지 않는다.
나이(Age) 생년월일(Date of birth)
나이는 만(滿)으로 쓰고 아라비아 숫자로 생년월일은 월, 일, 출생년도의 순으로 쓴다.
1970년 1월 10일생이라 하면 Jan., 10, 1970
1975년 8월 15일생이라 하면 Oct., 15, 1975
출생지(Place of birth)
태어난 곳을 쓰는 것으로 도, 시 정도만 쓰면 된다.
강원도 강릉이라 하면 Kangrung, Gangwon-do
결혼(Marital Status)
미혼이라 하면 'Single'로 기혼이라면 'Married'로 기재하면 된다.
성별(Sex)
남자는 'Male'로 여자는 'Female'로 기재한다.
본적(Permanent Address)
한글 이력서의 반대 순서로 쓴다. 즉 번지 동(리·읍·면) 구(군) 시 도의 순으로 쓰면 된다.
광주시 금남로2가 10번지라면 10-2ga, Keumnamlo, Kwangju-shi
현주소(Present Address)
현주소도 한글이력서와 역순으로 쓴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1가 90-4라면 90-4, 1ga Bomun-dong, s ngbuk-gu, Seoul.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0번지 현대아파트 2-9이라면 3-9, Hyundai Apt, 40, Youido-dong Yondeungpogu, Seoul
전화번호(Telephone Number)
전화 번호는 그냥 아라비아 숫자로 쓰면 된다.
516-2475
호주와의 관계(Family Relation)
∼의 차남, ∼의 장녀라고 적는다.
김일수의 차남이라면 Second son of Kim Il-su
이영호의 장녀라 하면 First daughter of Lee Y ng-ho
종교(Religion)
종교는 각자의 경우에 따라 적는다.
교회 : Christian
천주교 : Catholic
불교 : Buddhism
② 학력(Education, Educational Background, Schools attended)
연도 순서 대로 쓴다.
초등학교 졸업 이후 또는 중학교 졸업 이후부터 쓴다.
∼년 ∼월 입학 :
March 1995 Entered (Admitted to)∼
∼년 ∼월 졸업 :
Feb. 1999 Graduated from∼
∼년 ∼월 2학년 수료 :
June 1993 Finished the two-year course at∼
1990년 2월 수송초등학교 졸업 :
Feb. 1990 Graduated from SuSong Elementary School
1992년 2월 서울 중학교 졸업 :
Feb. 1992 Graduated from Seoul Middle School
1992년 2월 서울 고등학교 입학 :
March. 1992 Entered Seoul High School
1995년 2월 동교(同校) 졸업 :
Feb. 1995 Graduated from the above High School
2000년 2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예정 :
Feb. 2000 Will Graduate from Department of Law, Seoul University, College of Law
③ 경력(Experience, Work Experience, Employment)
직장명 직위 근무기간 등을 연대순으로 적는다.
1998년 3월∼10월까지 영일상사에서 임시직 사무원으로 근무한 경우라면,
March-Oct. 1998 Had an experience as a clerk on a temporary base to Yong-il Corporation.
1993년 3월∼사원으로 입사 :
Markch, 1988 Appointed clerk of ∼ company
1990년 4월 ∼1998년 9월까지 진흥무역상사에서 사무원으로 근무 :
Apr. 1990∼Sep. 1998 Had an employment as a clerk at Jingheung Trade Company
④ 병역(Military Service)
입대 연월일, 군별, 제대 연월일, 부대, 계급 등을 적는다.
1990년 6월 육군 입대 June 1990 Entered the Army as a private.
1993년 2월 제대 Feb. 1993 Discharged from service
군별 육군 Branch of service the Army
군번 1234567 Service number 1234567
복무 기간 1995년 4월 ∼ 1998년 4월 Period of service April 1995∼April 1998
계급 하사 Rank Sergeant
1996년 2월 육군 입대 Feb. 1996 Enlisted in the Army as a private.
1999년 5월 백마사단 제대 May 1999 Discharged from service on the White Horse Division
⑤ 기 타
영문이력서는 연대별로 내려 쓰는 경우가 많지만 에세이 식으로 쓸 때 자기의 취미·스포츠 등을 적을 때가 있다.
제 취미는 독서와 등산이며 그림 그리기입니다.
스포츠는 농구와 탁구를 좋아하며, 고등학교 때는 농구부에서 활약했습니다.
My hobbies include reading, mountain climbing, and I have a taste for painting.
My favorite sports are basketball and ping pong, and I was active in the basketball team high school days.
⑥ 인증(Certificate)
'위의 사실에 틀림 없음'
'상기(上記)와 여(如)히 상위(相違) 무(無)함.'
이렇게 끝 부분에 쓰는 것이 인증이다.
위에 기재한 사실에 틀림이 없음을 스스로 인증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하여 틀림이 있다 하면 어떠한 제재도 달게 받겠다는 말이다.
이 경우에 많이 쓰는 문장들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Reward and Punishment
a. I hereby certify the above statement to be true and correct in every detail.
b. I hereby certify upon my honor the above to be a correct statement.
c. I affirm that the above statements are true and correct in every respect.
d. I declare that the above information is true and correct to the best of my knowledge.
e. I hereby declare that the above statement is correct and true in all details.
f. I hereby that the for regoing statements are true, correct and complete to the best of my knowled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