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HBV) 면역검사 | B형간염 바이러스 항원(HBsAg)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우리나라 B형간염 양성률은 약 2~4%이며, 성인기에 B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만성보균자가 되는 빈도는 약 5~10%입니다. |
B형간염(HBV) 핵산증폭검사 | B형간염 바이러스 핵산(DNA)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우리나라 B형간염 양성률은 약 2~4%이며, 성인기에 B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만성보균자가 되는 빈도는 약 5~10%입니다. |
C형간염(HCV) 면역검사 | C형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CV)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바이러스 보균자는 약 1%이며,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만성간염으로 진행되는 빈도는 약 55~89%입니다. |
C형간염(HCV) 핵산증폭검사 | C형간염 바이러스 핵산(RNA)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바이러스 보균자는 약 1%이며,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만성간염으로 진행되는 빈도는 약 55~89%입니다. |
사람T세포림프친화바이러스 (HTLV) | HTLV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백혈구 중 T림프구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 감염되어도 대부분 질병이 발생하지 않지만 약 5%에서 수십년 후 성인T세포백혈병이나 척수병증과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HTLV는 모유수유, 수혈, 성교 등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검사결과가 양성인 경우 모유수유, 헌혈, 장기기증 등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백혈구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이므로 혈장성분헌혈에서는 검사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
ALT (알라닌분해효소) | 간세포 내에 주로 존재하는 ALT의 혈중 수치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바이러스 간염, 지방간 등 간기능 저하와 음주, 근육질환, 과격한 운동, 과체중 등에 의해서 혈중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매독 항체 (STS) | 매독균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과거 매독균 감염 경력이 있거나, 기타 바이러스 감염증과 같은 급성질환, 자가면역질환, 임신 등에서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총단백 (Total protein) | 혈중 함유된 단백질(알부민, 글로불린 등)의 총량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단백질 합성 기능 및 영양 상태나 간 기능, 신장, 장의 상태에 따라 수치가 변할 수 있습니다. 총단백 수치의 증가, 감소는 특별한 질환이 없어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비예기항체 | ABO 혈액형 관련 항체(항A, 항B 항체) 이외의 다른 혈액형에 대한 항체(비예기항체)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비예기항체는 자연발생적으로도 생기며 일상생활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혈액형아형 | 적혈구항원의 아형(항원이 약하거나 일반적인 것과 다르게 표현되는 경우)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대부분 유전적 요인에 의하며 일상생활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