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회계연도 국가결산」국무회의 심의․의결 - 감사원 검사를 거쳐, 5월 말 국회 제출 예정 - |
□ 정부는 오늘 국무회의를 개최하여 헌법과 국가회계법에 따라 작성된 「2019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에 대해심의․의결하였으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ㅇ 2019회계연도 결산 주요 특징은
❶ ‘19년 불용률(1.9%)은 재정집행점검회의, 적극적 재정집행관리 등으로 ‘06년(1.6%) 이후 최저치로 1%대 달성
< 연도별 불용규모(조 원, %) >
’06년 | ‘08년 | ‘10년 | ‘12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
▪불용액 | 3.3 | 5.6 | 5.5 | 5.7 | 17.5 | 10.8 | 11.0 | 7.1 | 8.6 | 7.9 |
(불용률*) | (1.6) | (2.4) | (2.1) | (2.7) | (5.5) | (3.2) | (3.2) | (2.0) | (2.3) | (1.9) |
* 불용률 = 세출예산현액 대비 불용액
❷ 재정수지는 세수결손(△1.3조 원), 세수증가세 둔화와 교부세 정산에 따른 세입세출외 지출 증가(+10.5조 원) 등으로 적자 확대
< 재정수지 추이 (단위 : 조 원, %) >
구 분 | ’15 | ’16 | ’17 | ’18 | ’19 | |
예산 | 결산 | |||||
◇통합재정수지 | △0.2 | 16.9 | 24.0 | 31.2 | 1.0 | △12.0 |
- GDP 대비(%) | (△0.01) | (1.0) | (1.3) | (1.6) | (0.05) | (△0.6) |
◇관리재정수지) | △38.0 | △22.7 | △18.5 | △10.6 | △42.3 | △54.4 |
- GDP 대비(%) | (△2.3) | (△1.3) | (△1.0) | (△0.6) | (△2.2) | (△2.8) |
❸ 국가채무는 재정적자 보전을 위한 국채발행이 증가함에 따라 전년 대비 47.2조 원 증가
< 국가채무(중앙정부) 추이 (단위 : 조 원, %) >
구 분 | '14 | ’15 | ’16 | ’17 | ’18 | ’19 |
◇국가채무(중앙정부) | 503.0 | 556.5 | 591.9 | 627.4 | 651.8 | 699.0 |
- GDP 대비(%) | (32.2) | (33.6) | (34.0) | (34.2) | (34.4) | (36.5) |
* 지방정부 포함 시 국가채무(D1, 잠정치)는 728.8조 원(GDP 대비 38.1%)
❹ 세계잉여금은 2.1조 원(일반회계 619억 원, 특별회계 20,609억 원)발생하였으며, 국가재정법(제90조) 등 관련법령에 따라 처리할 계획임
□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심의ㆍ의결된 「2019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국가재정법에 따라 감사원의 결산 검사를 거쳐, 5월 말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며,
ㅇ 결산 결과를 내년도 예산(안) 편성과정에 반영하는 등 재정지출의 효율성 제고노력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 2019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 주요내용 >
(단위 : 조 원, %)
구 분 | 2018년(A) | 2019년(B) | 증감(B-A) | ||
세 입 세 출 | 회계(일반․ 특별회계) | 총세입(a) | 385.0 | 402.0 | 17.0 |
총세출(b) | 364.5 | 397.3 | 32.8 | ||
결산상잉여금(c=a-b) | 16.5* | 4.7 | △11.8 | ||
차년도 이월액(d) | 3.3 | 2.6 | △0.7 | ||
세계잉여금(e=c-d) | 13.2 | 2.1 | △11.1 | ||
기 금 | 수입ㆍ지출 | 569.9 | 621.6 | 51.7 | |
재 정 수 지 | 통합재정수지(f) | 31.2 | △12.0 | △43.2 | |
사회보장성기금수지(g) | 41.7 | 42.4 | 0.7 | ||
관리재정수지(h=f-g) | △10.6 | △54.4 | △43.8 | ||
국 가 채 무 등 | 국가채무(중앙정부) | 651.8 | 699.0 | 47.2 | |
국가채권 | 342.8 | 379.3 | 36.4 | ||
국유재산 | 1,081.8 | 1,124.5 | 42.8 | ||
물 품 | 12.5 | 12.9 | 0.4 | ||
재 무 제 표 | 자 산(i) | 2,126.6 | 2,299.7 | 173.1 | |
부 채(j) | 1,683.4 | 1,743.6 | 60.2 | ||
순자산(k=i-j) | 443.2 | 556.1 | 112.9 |
* 국가재정법 제90조 1항에 따라 초과세수를 활용한 국채상환(’18년 4.0조 원) 차감
** 구성항목별 금액은 단수 조정으로 상이할 수 있음
1 | 국가결산보고서 요약 |
◇ [세입세출] 총세입 402.0조 원, 총세출 397.3조 원, 결산상 잉여금 4.7조 원, 세계잉여금 2.1조 원 발생 ◇ 통합재정수지: 12.0조 원 적자(’18년 31.2조 원 흑자)(GDP 대비 비율 △0.6%, 전년 대비 △43.2조 원) ㅇ 관리재정수지: 54.4조 원 적자(’18년 △10.6조 원 적자)(GDP 대비 비율 △2.8%, 전년 대비 △43.8조 원) ◇ [국가채무(중앙정부)] 699.0조 원(GDP 대비 36.5%)으로 전년(651.8조 원, GDP 대비 34.4%) 대비 47.2조 원 증가 * 증감현황(조 원) : ('15) 53.5 → ('17) 35.4 → ('18) 24.4 → ('19) 47.2 ** 지방정부 포함 시 국가채무(D1, 잠정치) : 728.8조 원(GDP 대비 38.1%) ◇ [재무제표] 국가 자산은 2,299.7조 원, 부채는 1,743.6조 원, 순자산은 556.1조 원임 |
2 | 국가결산보고서 세부 내용 |
Ⅰ. 세입․세출 |
□ (총세입․총세출)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의 세입세출 결산 결과, 총세입은 402.0조 원, 총세출은 397.3조 원으로 결산상 잉여금이 4.7조 원 발생
< 2019회계연도 결산 총세입 및 총세출 현황(조 원) >
구 분 | 총세입 (A) | 총세출 (B) | 결산상잉여금 (A-B) | 차년도이월액(C) | 세계잉여금 (A-B-C) |
합 계 | 402.0 | 397.3 | 4.7 | 2.6 | 2.1 |
일반회계 | 332.2 | 330.9 | 1.4 | 1.3 | 0.1 |
특별회계 | 69.8 | 66.4 | 3.4 | 1.3 | 2.1 |
* 구성항목별 계산금액은 단수 조정으로 상이할 수 있음(이하 표 동일)
□ (세계잉여금) 일반회계 0.1조 원, 특별회계 2.1조 원으로총 2.1조 원 발생
* 결산상 잉여금(총세입–총세출) 4.7조 원 - 차년도 이월액 2.6조 원
ㅇ 일반회계 세계잉여금은 국가재정법 제90조에서 정한 순서에 따라 지방교부세(금) 정산에 사용할 계획
ㅇ 특별회계 세계잉여금은 개별법령에 따라 다음연도 자체세입 처리 예정임
< 2019회계연도 결산 일반회계 세계잉여금 처리순서 및 규모(억 원) >
세계 잉여금 | ① 지방 교부세(금)정산 | 채 무 상 환 | ④ 세입이입 등 | |
② 공적자금 상환 | ③ 채무 상환 | |||
619 | 619 | - | - | - |
Ⅱ. 재정수지 |
□ (통합재정수지) 12.0조 원 적자(GDP 대비 △0.6%)로 전년(31.2조 원) 대비 △43.2조 원(△2.3%p) 감소
□ (사회보장성기금수지) 42.4조 원 흑자*(GDP 대비 2.2%)로,전년(41.7조 원) 대비 0.7조 원 증가
* 국민연금(42.7조 원), 사학연금(0.3조 원), 고용보험(△2.2조 원), 산재보험(1.6조 원)
□ (관리재정수지*) 54.4조 원 적자(GDP 대비 △2.8%)로 전년(△10.6조 원) 대비 △43.8조 원(△2.3%p)
* 통합재정수지(△12.0조 원) –사회보장성기금수지(42.4조 원)
⇨ ‘19년 재정수지 적자는 기업실적 부진 등에 따른 총수입 증가세 정체와 확장재정 및 적극집행(불용률 1.9%) 등에 기인
< 2019회계연도 결산 재정수지 현황(단위: 조 원, %) >
구분 | ’18년 결산 (A) | ’19년 | 증감 | ||
예산 (B) | 결산 (C) | 전년 대비 (C-A) | 예산 대비 (C-B) | ||
1. 총수입 | 465.3 | 476.4 | 473.1 | 7.8 | △3.3 |
2. 총지출 | 434.1 | 475.4 | 485.1 | 51.0 | 9.7 |
3. 통합재정수지(1-2) | 31.2 | 1.0 | △12.0 | △43.2 | △13.0 |
(GDP 대비)* | (1.6) | (0.05) | (△0.6) | (△2.3%p) | (△0.7%p) |
4. 사회보장성기금수지 | 41.7 | 43.3 | 42.4 | 0.7 | △0.9 |
5. 관리재정수지(3-4) | △10.6 | △42.3 | △54.4 | △43.8 | △12.1 |
(GDP 대비)* | (△0.6) | (△2.2) | (△2.8) | (△2.3%p) | (△0.7%p) |
* ’19년 결산 기준 명목 GDP: 1,914.0조 원 (한국은행 ’20.3.3일 발표 잠정치)
Ⅲ. 국가채무 등 |
□ (국가채무) 중앙정부 채무는 699.0조 원(GDP 대비 36.5%)으로 전년(651.8조 원) 대비 47.2조 원 증가
* 지방정부 포함 시 국가채무(D1, 잠정치)는 728.8조 원(GDP 대비 38.1%)
ㅇ 주요 증가요인은 국고채권(44.5조 원), 국민주택채권(3.2조 원), 외평채권(0.3조 원), 차입금(△0.7조 원) 등에 기인
< 2019회계연도 결산 국가채무 현황(단위: 조 원, %) >
구 분 | ’18 결산 (A) | ’19년 | 증감 | ||
예산(B) | 결산(C) | 전년 대비(C-A) | 예산 대비(C-B) | ||
◇ 중앙정부(A) | 651.8 | 701.9 | 699.0 | 47.2 | △2.9 |
(GDP 대비) | (34.4) | (35.7) | (36.5) | (2.1%p) | (0.8%p) |
▪ 국 채 | 648.4 | 698.9 | 696.3 | 47.9 | △2.7 |
- 국고채권 | 567.0 | 614.9 | 611.5 | 44.5 | △3.3 |
- 외국환평형기금채권 | 8.0 | 8.0 | 8.3 | 0.3 | 0.3 |
- 국민주택채권 | 73.3 | 76.0 | 76.4 | 3.2 | 0.4 |
▪ 차입금 | 3.2 | 2.8 | 2.6 | △0.7 | △0.3 |
▪ 국고채무부담행위 | 0.2 | 0.1 | 0.1 | △0.1 | 0.0 |
◇ 지방정부(B, 잠정)1) | 28.7 | 29.7 | 29.8 | 1.1 | 0.2 |
□ 국가채무(A+B, 잠정 D1) | 680.5 | 731.5 | 728.8 | 48.3 | △2.7 |
(GDP 대비)2) | (35.9) | (37.2) | (38.1) | (2.1%p) | (0.9%p) |
1) 지방정부 채무에서 중앙정부에 대한 채무 차감,
2) ’19년 명목 GDP: (예산) 1,967.4조 원, (결산) 1,914.0조 원
□ (국가채권) 국가채권은 379.3조 원으로 전년(342.8조 원) 대비 36.4조 원(10.6%) 증가
ㅇ 주택도시기금 임대주택건설사업 및 저소득층 전세자금 대출 증가 등의 융자회수금(11.9조 원), 국민연금기금 단기금융 투자자산 증가 등의 예금및예탁금(21.1조 원) 증가가 주요 원인임
< 2019회계연도 결산 국가채권 현황 (단위 : 조 원, %) >
구 분 | ’18년 결산 (A) | ‘19년 결산 (B) | 증감(B-A) | ||||
구성비 | 금액 | 증감률 | |||||
합 계 | 342.8 | 379.3 | 100.0 | 36.4 | 10.6 | ||
융자회수금 | 154.2 | 166.1 | 43.8 | 11.9 | 7.7 | ||
예금및예탁금 | 132.3 | 153.4 | 40.5 | 21.1 | 16.0 | ||
조세채권 | 41.5 | 44.1 | 11.6 | 2.6 | 6.3 | ||
경상이전수입 | 10.5 | 11.1 | 2.9 | 0.6 | 5.3 | ||
사회보장기여금 | 2.3 | 2.5 | 0.6 | 0.2 | 8.8 | ||
기타채권* | 2.0 | 2.1 | 0.5 | 0.01 | 2.4 |
* 재산수입, 재화 및 용역판매수입, 관유물매각대, 기타수입 등
□ (국유재산) 국유재산은 1,124.5조 원으로 전년(1,081.8조 원) 대비 42.8조 원(4.0%) 증가
ㅇ 토지, 건물, 공작물 등에서 매입 등 취득, 신규등록 등으로 43.7조 원 증가, 매각 등 처분, 감가상각 등으로 0.9조 원 감소
< 2019회계연도 결산 국유재산 종류별 증감 현황 (단위: 조 원, %)>
구 분 | ’18년 결산 (A) | ‘19년 결산 (B) | 증감(B-A) | |||
금 액 | 증감률 | |||||
합 계 | 1,081.8 | 1,124.5 | 42.8 | 4.0 | ||
토 지 | 467.7 | 483.1 | 15.4 | 3.3 | ||
(면 적) | (25,062㎢) | (25,158㎢) | (96㎢) | |||
건 물 | 69.9 | 72.7 | 2.8 | 4.0 | ||
공 작 물 | 288.8 | 288.9 | 0.1 | 0.0 | ||
유 가 증 권 | 241.8 | 267.0 | 25.2 | 10.4 | ||
기 타* | 13.5 | 12.8 | △0.7 | △5.4 |
* 입목죽, 선박․항공기, 기계기구, 무체재산
□ (물품) 물품은 12.9조 원으로 전년(12.5조 원) 대비 0.4조 원(3.6%) 증가
ㅇ 운반건설기계 및 차량 2,605억 원, 사무용 기기․집기1,914억 원 등이 증가하였고,전기 통신기기 1,555억 원, 산업기계 726억 원 등이 감소
< 2019회계연도 결산 물품 종류별 증감 현황 (단위: 조 원, %)>
구 분 | ’18년 결산 (A) | ‘19년 결산 (B) | 증 감(B-A) | |||
금 액 | 증감률 | |||||
합 계 | 12.5 | 12.9 | 0.4 | 3.6 | ||
전기․통신기기 | 3.0 | 2.8 | △0.2 | △5.3 | ||
운반건설기계및차량 | 2.4 | 2.6 | 0.3 | 11.0 | ||
사무용 기기․집기 | 2.3 | 2.5 | 0.2 | 8.3 | ||
물리시험및측정기기 | 1.2 | 1.3 | 0.1 | 6.7 | ||
산업기계 | 0.7 | 0.6 | △0.1 | △10.2 | ||
기 타* | 2.9 | 3.1 | 0.1 | 4.9 |
* 기계요소및공작기계, 의료및화학분석기기, 인쇄사진및시청각기기, 기타잡기기 등
Ⅳ. 재무제표 |
□ (재무제표) 국가 자산은 2,299.7조 원, 부채는 1,743.6조 원이며, 순자산(자산-부채)은 556.1조 원
ㅇ (자산) 2,299.7조 원으로 국민연금기금 등에서 유동․투자자산(148.0조 원), 토지 등 일반유형자산(19.9조 원) 증가 등으로 전년(2,126.6조 원) 대비 173.1조 원 증가
ㅇ (부채) 1,743.6조 원으로 국공채 등(48.5조 원), 기타 발생주의 부채(7.4조 원) 증가 등으로 전년(1,683.4조 원) 대비 60.2조 원 증가
< 2019회계연도 결산 자산․부채 현황(조 원, %) >
구 분 | ‘18년 결산(A) | ‘19년 결산(B) | 증 감(B-A) | |||
금액 | 증감률 | |||||
재 무 제 표 | 자산 | ㅇ 현금ㆍ예금 및 유가증권 | 996.4 | 1,126.5 | 130.1 | 13.1 |
ㅇ 토지ㆍ건물 등 | 1,130.2 | 1,173.2 | 43.0 | 3.8 | ||
소 계 | 2,126.6 | 2,299.7 | 173.1 | 8.1 | ||
부채 | ㅇ 국채ㆍ주택청약저축 등 | 743.5 | 799.4 | 55.9 | 7.5 | |
ㅇ 연금충당부채 | 939.9 | 944.2 | 4.3 | 0.5 | ||
- 공무원연금충당부채 | 753.9 | 758.4 | 4.5 | 0.6 | ||
- 군인연금충당부채 | 186.0 | 185.8 | △0.2 | △0.1 | ||
소 계 | 1,683.4 | 1,743.6 | 60.2 | 3.6 | ||
순자산(자산-부채) | 443.2 | 556.1 | 112.9 | 25.5 |
붙임 : 1. 재무제표 상 부채 증가 원인2. 재무제표 상 부채와 국가채무와의 차이3. 2019회계연도 결산자료 특이사항
|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
|
붙임 1 | 재무제표 상 부채 증가 원인 |
□ 2019회계연도 재무제표상 부채는 1,743.6조 원으로 전년(1,683.4조 원) 대비 60.2조 원(3.6%) 증가
ㅇ 재정적자 보전 등을 위한 국채 발행잔액 증가(50.9조 원)* 등으로 국·공채 등 확정부채는 51.2조 원 증가
* 국가채무관리보고서 상의 국채증가(47.9조 원)에 현재가치평가를 적용한 회계상의 잔액
ㅇ 충당부채 등 발생주의 부채는 9.0조 원 증가
- 연금충당부채의 4.3조 원 증가와 주택도시기금 청약저축 4.0조 원 증가 등
< 2019회계연도 재무제표상 부채 증감 요인 (단위 : 조 원) >
'18년(A) | '19년(B) | 증감(B-A) | |
■ 부채 총계(1+2) | 1,683.4 | 1,743.6 | 60.2 |
1. 국공채 등(①+②) | 554.8 | 606.0 | 51.2 |
① 국·공채(a+b-c) | 551.2 | 603.0 | 51.8 |
a. 국채 | 650.5 | 701.4 | 50.9 |
- 국고채권 | 569.2 | 616.8 | 47.6 |
- 국민주택채권 | 73.3 | 76.4 | 3.1 |
- 외국환평형기금채권 | 8.0 | 8.2 | 0.2 |
b. 공채 | 19.1 | 18.2 | △0.91) |
c. 자기국·공채 | 118.4 | 116.6 | △1.8 |
② 차입금 | 3.6 | 3.0 | △0.6 |
2. 발생주의 부채(③+④+⑤) | 1,128.6 | 1,137.6 | 9.0 |
③ 연금충당부채 | 939.9 | 944.2 | 4.32) |
④ 기타 충당부채 | 58.7 | 56.0 | △2.73) |
⑤ 기타 발생주의 부채 | 130.0 | 137.4 | 7.44) |
1)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2.0조 원), 중소기업창업및진흥기금(1.1조 원)
2) 공무원연금충당부채(4.5조 원), 군인연금충당부채(△0.2조 원)
3) 퇴직수당충당부채(공무원 2.4조 원, 군인 0.3조 원) 감소 등
4) 주택도시기금 청약저축(기타민간예수금) 4.0조 원 증가 등
붙임 2 | 재무제표 상 부채와 국가채무와의 차이 |
□ 재무제표상 부채는 국가채무와 포괄범위, 인식기준 등에서 차이
ㅇ (포괄범위) 재무제표상 부채는 공공기관 관리기금(21개) 포함, 이들 기금의 차입금 및 공채발행액 등 반영
* 중소기업진흥채권,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채권
ㅇ (인식기준) 발생주의 방식인 재무제표상 부채*는 현금주의 방식인 국가채무에 비해 인식범위가 넓음
* 국가채무에 반영되지 않는 연금충당부채, 보증ㆍ보험충당부채, BTL(임대형민자사업), 예수금, 미지급금 등 반영
ㅇ (내부거래제거) 중앙관서 회계ㆍ기금과 공공기관 관리기금과의 거래, 자기 국ㆍ공채 등 내부거래 제거
* 국가채무에서는 공공기관 관리기금과의 거래, 자기 국채도 채무로 인식
ㅇ (비확정부채) 재무제표상 부채는 연금충당부채 등 발생주의 회계에 따른 비확정 부채*(1,137.6조 원)를 포함
* 연금충당부채(944.2조 원), 퇴직수당충당부채 등 기타충당부채(56.0조 원),주택도시기금 청약저축(72.3조 원) 등
<국가채무와 재무제표상 부채 비교>
구분 | 국가채무 | 재무제표상 부채 | |
규모 (’19년말 기준) | 699.0조 원 | 1,743.6조 원 | |
근거 법률 | 국가재정법 제91조 | 국가회계법 제11조 | |
확정부채 | 포괄범위 | 공공기관 관리기금 제외 | 공공기관 관리기금 포함 |
인식기준 | 내부거래* 제거前 금액 | 내부거래 제거後 금액 | |
액면금액 | 현재가치평가금액 | ||
비확정부채 | 미포함 | 포함 |
붙임 3 | 2019회계연도 결산자료 특이사항 |
1 | 국유 건물 중 재산가액이 가장 높은 것은? |
□ 2019년 말 현재 국가보유 건물 중 장부가액이 가장 큰 재산은 ‘정부세종청사 1단계’ 4,400억 원임
ㅇ 2013년 말 입주한 ’정부세종청사 2단계‘는 4,005억 원으로 건물 중 2위를 차지
(단위: 억 원)
순 위 | 자 산 명 | 장부가액 | 소재지 | |
`19년 | `18년 | |||
1 | 정부세종청사 1단계 | 4,400 | 4,502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
2 | 정부세종청사 2단계 | 4,005 | 4,068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
3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3,009 | 3,076 | 광주광역시 광산동 |
4 | 정부대전청사 | 2,045 | 2,117 | 대전광역시 둔산동 |
5 | 국회의원회관 | 1,976 | 2,072 | 서울특별시 여의도동 |
2 | 국가 무형자산 중 재산가액이 가장 높은 것은? |
□ 2019년 말 무형자산 중 취득가액이 높은 것은 관세청이 보유한 4세대 국가관세종합정보망으로 1,007억 원임
(단위: 억 원)
순 위 | 무 형 자 산 | 취득가액 | 취득년월 | 부처명 |
1 | 4세대 국가관세종합정보망 | 1,007 | `16년 5월 | 관세청 |
2 | 차세대 국세행정시스템(2단계) | 694 | ‘15년 7월 | 국세청 |
3 |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 353 | ‘06년 12월 | 기획재정부 |
4 | 취업후 학자금상환전산시스템 | 301 | ‘11년 12월 | 국세청 |
5 | 국립대학자원관리시스템 응용SW | 286 | ‘17년 5월 | 교육부 |
3 | 고속국도의 재산 가치는? |
□ 2019년 말 현재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12.2조 원, 서해안고속도로 6.8조 원 순으로 금액이 높음
(단위: 억 원)
순 위 | 도로명 | 장부가액 | 비고 |
1 | 경부고속도로 | 122,087 | 서울~부산 |
2 | 서해안고속도로 | 68,408 | 서울~목포 |
3 | 남해고속도로 | 63,168 | 부산~순천 |
4 | 당진ㆍ영덕 고속도로 | 57,428 | 당진~영덕 |
5 | 통영ㆍ대전 중부고속도로 | 55,274 | 하남~통영 |
4 |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물품 중 가장 비싼 것은? |
□ 2019회계연도 결산 결과 물품 중 가장 비싼 것은 기상청의 컴퓨터서버로 520억 원임
(단위: 억 원)
순 위 | 물 품 명 | 장부가액 | 부처명 |
1 | 컴퓨터서버(슈퍼컴퓨터 5호기) | 520 | 기상청 |
2 | 재난 경보 시스템 관련 통신SWⅠ | 187 | 행정안전부 |
3 | 전자통관시스템 서버 | 176 | 관세청 |
4 | 컴퓨터서버(슈퍼컴퓨터 4호기) | 172 | 기상청 |
5 | 재난 경보 시스템 관련 통신SWⅡ | 143 | 행정안전부 |
※ 각 부문별 담당자 및 연락처
◇ 세부내용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아래의 각 부문별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부문별 | 담당과 | 담당자 연락처 | |
세입세출 | 회계결산과 | 과 장 | 김선길과장(044-215-5430) |
담당자 | 서동진 사무관(044-215-5431) | ||
담당자 | 이남희 사무관(044-215-5436) | ||
재무제표 (연금충당부채) | |||
인사혁신처 연금복지과 | 과 장 | 이찬희 과장(044-201-8410) | |
담당자 | 정해준 사무관(044-201-8415) | ||
국방부 군인연금과 | 과 장 | 배인영 과장(02-748-6660) | |
담당자 | 장재영 주무관(02-748-6665) | ||
세계잉여금 국가채권 | 국고과 | 과 장 | 이용욱 과장(044-215-5110) |
담당자 | 박세웅 사무관(044-215-5112) 손정준 사무관(044-215-5113) | ||
재정수지 국가채무 | 재정건전성과 | 과 장 | 강미자 과장(044-215-5740) |
담당자 | 이금석 사무관(044-215-5742) 이지영 사무관(044-215-5745) | ||
세입 | 조세분석과 | 과 장 | 장영규 과장(044-215-4120) |
담당자 | 김만기 사무관 (044-215-4122) | ||
국유재산 | 국유재산 정책과 | 과 장 | 김구년 과장(044-215-5150) |
담당자 | 조윤기 사무관(044-215-5154) | ||
물품 | 국유재산 조정과 | 과 장 | 노중현 과장(044-215-5250) |
담당자 | 강유신 사무관(044-215-5262) |